돈의 지혜 - 삶을 관통하는 돈에 대한 사유와 통찰
파스칼 브뤼크네르 지음, 이세진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에도 지혜가 있을까? 
"돈"을 노골적으로 원하면 어쩐지 돈에 집착하는 사람 같아서 되도록이면 돈에 초월한 척 하려고 한다. 

"먹고 살만큼만 있으면 되지. 남에게 아쉬운 소리 하지 않고."
평소에 이렇게 말하곤 하지만 솔직히 어쩌다 한 번씩 로또를 사곤 한다.
매번 꽝이지만 '1등에 당첨되면 엄마와 형제들에게 1억씩 주고 나머진 노후자금해야지'라는 허황된 꿈을 
꾸면서. 

동생의 로또 철학은 또 이렇다. 
"언니야, 당첨될 생각으로 일주일 기다리면 그 기간 동안 기분이 좋고, 안 된다고 해도 일주일에 천 원만 
투자하는 거니 괜찮지 않아?" 

평범한 사람인 나는 돈을 물건을 살 수 있는 것, 노후에 대한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것으로만 생각했는데, 
철학자가 생각하는 "돈"은 꽤 많은 의미가 있고 돈에 대해 접근하는 방식 또한 색달랐다.   

저자가 말하고 있는 <돈의 지혜>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번 째는 돈을 갖는 것 자체가 지혜라는 
의미, 두번 째는 돈에 의문을 가져보는 것이 지혜라는 의미라고 한다. 

하!!!
글의 서두에서부터 "어렵다"는 생각이 들면서 머리가 무거워진다.

책은 총 세 PART로 나뉘어져 있다. 
PART 1에서는 미국과 프랑스에서 생각하는 돈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 교회에서는 돈을 어떻게 다른 의미로 해석하고 있는지 이야기하고 있는데 프랑스와 
미국의 사정이 꽤 다르다.   

화폐에 찍힌 내용에 따라 국가별로 어떤 문화를 소중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다고 한다. 
달러에는 역대 대통령 초상화와 하늘(하느님에 대한 환기)이라는 두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고 한다. 
반면에 유럽은 공통화폐인 유로화를 진행하면서 결과적으로 집단소속감을 무시하고 기술적인 이익에만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내 생각엔 미국과 유럽이 뒤바뀐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작가가 내린 결론은 다른 것 같다.

목적으로서의 돈과 수단으로서의 돈을 딱 잘라 구분하는 게 쉽지 않단다.

어떤 영화의 여주인공이 한 말은 생각해봄직 하다.  
"돈 자체는 중요하지 않아. 돈이 있다는 게 중요하지."

책의 앞 부분을 읽으면서 저자가 돈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읽어갈수록 
돈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확하게 짚어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돈의 지혜는 '자유와 안전과 적당한 무관심'이라는 세 가지 덕의 조화로운 결합에 있다고 한다. 

돈은 꼭 필요한만큼만 가지고 있으면 유익이 되지만 필요한 것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 오히려 독이 되지 않나 싶다. 

돈 때문에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스스로 목숨을 버리기도 하니 말이다. 

돈은 내게는 여전히 어려운 숙제다. 

참, 이 책은 돈 버는 방법을 알려주는 실용서는 아니다. 

돈에 대해 철학적으로 접근해보고 싶은 사람들에겐 의미있겠지만 실용서를 원하는 사람들에겐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 


친구들에게 요령 있게 한턱을 내면서도 호의를 받아준 그들에게 오히려 고마워할 줄 아는 것이 지혜다. 선행의 
정책은 근본적이면서도 단순해야 한다. 베풀었으면 그뿐, 보답을 기대하지 말 것, 선물의 가장 좋은 보상은 선
물 그 자체, 누군가에게 기쁨을 주었다는 기쁨이다. (p 2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