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은 이기적인 게 아니라 독립적인 겁니다 - 조금 불편해도, 내 소신껏
최명기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월
평점 :
제목을 보고 내용이 궁금해 집어든 책입니다.
고등학교때까지 저는 늘 "무뚝뚝하다, 정이 없다, 이기적이다"라는 말을 듣고 살았습니다.
공부를 제법 했던 제게 부모님은 약대를 가라고 하셨습니다. 제가 싫다고 했더니 그 다음에 하신 말씀,
"하긴 네가 약국 하면 사람들이 약 사러 오지도 않겠다. 손님이 와도 생콩하게 말도 안 할텐데..."
그런 얘길 들어도 제 성격이 나쁘단 생각을 하진 않았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도 주지 않는데 그게
무슨 문제가 되지?'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고등학교 3학년때 같은 반 친구가 제게 "넌 개인주의의 표상이야!"라는 말을 했을 때 엄청난
충격을 받았습니다.
만약 그 친구가 제가 좋아했던 친구가 아니었다면 그렇게 심한 충격을 받진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유일하게 친해지고 싶었던 친구였기에 그 친구의 말을 듣고 제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랬더니 정말로 제가 주변사람들에게 관심이 없고 독불장군처럼 행동하고 있었습니다.
대학에 들어간 후엔 제 이기적인 성격을 바꾸려고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대학 친구들에게 먼저 웃으며
다가가고 생일도 챙겨주고 나보다 다른 사람을 더 먼저 배려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타고난 성격은 변하지 않는 것인지 아프고 나서는 원래의 성격으로 되돌아가게 되었습니다.
마음 한 편으론 '계속 이렇게 나만 생각해도 되나?'라는 마음 반,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야 하는데 세상
혼자 사는 사람 같잖아'라는 생각 반이었습니다.
지금 내가 살아가는 방식이 괜찮은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누군가 "그래, 지금 그대로의 너도 괜찮아!"라고 말해주면 좋을 것 같았는데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치료
해주는 '마음 경영' 전문의 선생님께서 "괜찮아!"라고 말해주니 위로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누군가의 딸, 아들, 누군가의 엄마, 아빠, 누군가의 형제, 누군가의 친구가 되어 살아갑니다.
어느 위치에 서 있느냐에 따라 나의 행동도 바뀝니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인
상을 주고 싶어서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자는 다른 사람에게 할 말을 하는 건 이기적인 것이 아니라 독립적이라고 말합니다.
내 인생의 주도권을 부모나 다른 사람에게 맡기지 말고 내 스스로 결정하는 것, 그 결과가 어떠하든
담담히 받아들이는 것이 바로 주체적인 삶, 독립적인 삶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