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 - 피할 수 없는 내 운명을 사랑하는 법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고등학교 시절, 국민윤리 시간에 들었던 철학자 니체. 그에 대해 아는 거라곤 "신은 죽었다"라고 내뱉은
말뿐이었습니다.
사실 내게 철학은 따분하고 재미없는 학문이었고 철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유일하게 좋아했던 철학자가 마르크스 아우렐리우스였습니다. 중학교때였나? 우연히 읽게 된 아우렐리
우스의 명상록을 읽고 그 책에 푹 빠져 살았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그를 제외한 다른 철학자들에겐 별로 관심도 없었고, "신은 죽었다"고 당당하게 선포했다던 니체
는 어쩐지 회의론자일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몇 년 전 물리치료 선생님께서 읽고 추천해주신 <초역 니체의 말>을 읽고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니체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일단, 책의 제목이 마음에 확 와닿았습니다.
"사는 게 힘드냐고- 니체가 물었다"
'아, 당연히 힘들지, 안 힘든 사람 있어?'
궁시렁대면서도 한편으로 이 책에서는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이 짊어진 짐이 버거워 삶을 포기하고 싶을 때 던질 수 밖에 없는 여러가지 질문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지치고 힘들 때 누군가 꼭 답을 해 줬으면 좋겠다 싶을 때, 니체라면 분명히 이렇게 대답했을 거라며
니체의 삶에 대한 철학과 함께 저자의 생각을 풀어놓고 있습니다.
삶이 힘들 때 니체에게 묻고 싶은 10가지 질문을 던져놓고 니체의 철학을 소개하면서 그 답을 찾아
가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일이 술술 잘 풀리는데 유독 나만 꼬인 실타래 같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사람들 사이의 갈등은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인생이 허무하게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니체가 신을 죽여야만 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나를 극복하고 진정한 내 모습으로 사는 게 무엇인
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니체는 '그대의 운명이 평탄하기를 바라지 말고 가혹할 것을 바라라'라고 외치고 있다는데, 솔직히
인생이 더 이상의 힘든 일 없이 그저 무탈하게 지나가기를 바라는 저에겐 니체가 말하고 있는 "초인"
이 멀게만 느껴집니다.
니체와 전 코드가 맞지 않는다는 걸 세 번째 만남에서 깨닫게 되네요.
아무래도 <초역 니체의 말>을 한 번 더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