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걸린 뇌도 좋아지는 두뇌 체조
가와시마 류타 지음, 오시연 옮김, 이주관 감수 / 청홍(지상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중에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는 말자"는 생각은 아마 거의 모든 부모들의 바람일 것입니다.

그래서 나이가 들어갈수록 건강에 더 신경쓰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건강에 신경을 쓴다고 해도 한계가 있습니다. 죽을 때까지 건강하게 살면 좋겠지만 세월을 피해갈 사람은 없을 겁니다.

어쩔 수 없이 병에 걸려야 한다면 제일 피하고 싶은 게 바로 치매입니다.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고 인지능력이 떨어져 누군가의 도움이 없으면 생활할 수 없는 상태.

제가 제일 걱정스러운 것도 치매입니다.
제가 다친 부위가 단기기억을 관장하는 전두전야 부위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제가 다친 부위가 "전두전야" 부위라는 것도 몰랐습니다. 막연하게 '해마 근처에서 출혈이 일어났기 때문에 "단기기억"이 안 좋은가 보다'라고 짐작하고 있었을 뿐입니다.

일단 치매가 진행되면 대부분 약으로 늦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치매가 생기기 전에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최고의 방어가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예방하고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을까요?

약은 치매가 이미 진행이 된 환자들에게 처방이 되는데, 아직 건강한 사람은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이미 치매가 진행중인 환자들은 나아질 수 없나?라는 고민을 조금은 덜어줄 수 있는 책인 것 같습니다.

몸의 근력을 키우기 위해 운동을 하듯이 뇌의 근력을 키우기 위해 두뇌 트레이닝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두뇌 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준비물이 많지도 않습니다. 종이와 연필, 하루에 10분에서 15분만 투자하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니, 정말 쉬운 방법인 것 같습니다.

저자가 제시하고 있는 학습요법은 단순 작업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어떤 일을 최대한 빨리 하는 것'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 두 가지에 특화된 두뇌 트레이닝을 하면 뇌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뇌 체조를 하게 되면 뇌의 회전 속도가 높아지고 작업 영역도 넓힐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여러 가지의 두뇌 체조가 있는데, 회전 속도와 기억력을 단련하는 두뇌 체조와 행동 제어 기능과 공간 인지 기능을 활성화하는 트레이닝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트레이닝을 소개한 후에 마지막으로 '회전 속도', '기억력', '행동 제어', '공간 인지'를 한 번에 사용하는 문제를 풀어보는 연습을 함으로써 종합력을 단련하고 있습니다.

3장에서는 뇌에 좋은 생활과 뇌가 쇠퇴하는 생활을 소개하고 있는데, 결론적으로 불편하게 생활하는 것이 뇌에 좋은 생활이라고 합니다.

외식이나 배달로 때우는 식사보다 힘들어도 직접 장을 보고 손수 만드는 것이 뇌에 좋은 방법이고, 로봇청소기를 돌리는 것보다 빗자루와 걸레로 청소하는 것이 뇌에 훨씬 좋다고 합니다.

치매를 예방하는 최고의 방법은 귀찮고 힘들더라도 몸을 움직이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