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김종성 著 '왕의 여자'는 그동안 역사의 베일에 싸여있던 궁궐 여인들의 삶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궁녀가 실은 공노비에서 선발되었으며 다들 기피하려고 했던 직업 중 하나라는 것이 의외였다. 지금까지 궁녀는 궁궐에서 일하는 신분이니 가난하거나 신분이 낮은 집안에서는 선호하였을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했었다. 그러나 타의에 의하여 어린 나이에 여러 가지 엄격한 심사를 거쳐 입궁한 후 외부와 단절된 채 일생을 궁궐의 잡일을 도맡아서 하고 언제 만날 지 모르는 임금을 바라보면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궁녀의 외롭고 힘든 삶을 보면서 어째서 기피 대상이었는지 알게 되었다. (궁녀의 삶을 되돌아보면 그녀들 사이에서 동성애가 성행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을지도 모르겠다.) 한편, 광해군으로부터 승은을 입었지만 스스로 상궁의 위치에 머물며 권세를 휘둘렀다는 김개시와 사도세자의 변명에 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희정이라는 궁녀 등 미천한 신분이라고 할지라도 궁녀는 당시 정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는 사실도 흥미로웠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뜻밖이었던 것은 영조의 어머니이자 드라마 '동이'로 잘 알려져 있는 최숙빈이 실은 숙종과의 만남을 주도면밀하게 계획하여 후궁의 자리에 올랐다는 것이었다. 숙종과 최숙빈의 만남은 '도 아니면 모' 성공 확률 50%였다. 한밤중에 진수성찬을 차리고 당돌하게 인현왕후의 탄신일을 축하하고 있다고 대답한 최숙빈의 모습은 지금까지 내 머리 속의 얌전하고 부드러운 이미지와는 정반대였다. (역시 드라마는 허구성이 짙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다...) 

드라마에서 임금의 사랑을 두고 암투를 하는 것이 주된 일인 것처럼 그려지는 후궁의 삶 역시 실상은 전혀 달랐다. 후궁의 주된 임무는 왕후를 보좌하고 후계자를 양성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정말 아름다운 외모로 임금의 마음을 사로잡은 후궁은 숙종 때의 장희빈과 중종 때의 홍희빈 정도였달까... 또한 후궁 역시 임금이 직접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내명부에서 조건을 보고 뽑은 경우가 많았다. (24시간 일거수 일투족을 궁녀 등에게 감시당하는 왕의 삶도... 고달팠을 것 같다.) 

여인으로서 최고 지위라고 할 수 있는 왕후의 삶 역시 만만치 않았다. 가장 의외였던 것은 딸이 왕후가 된다면 최고 권력을 가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혼이 있을 때 딸을 둔 일반인뿐만 아니라 사대부 가문에서도 처녀단자를 제출하기 꺼려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왕과 왕후의 동침은 후계자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으며, 두 사람의 동침 과정을 상궁이 지켜봤다고 하는데... 상상만 해도 민망하다. 또한 자신의 남편을 많은 여성과 공유하여야 하는 왕후의 삶이 너무 고독했을 것 같다. 

'왕의 여자'를 읽고 드라마, 영화 또는 소설 등에서 조금이나마 옅볼 수 있었던 궁궐 여인들의 삶이 실은 우리가 생각한 것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좀 더 사실에 입각한 역사적 시각을 가지게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