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의 기술 - 머리보다 손이 먼저 움직이는 (양장본)
사카토 켄지 지음, 고은진 옮김 / 해바라기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보통사람의 뇌는 아주 뛰어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게 아니었다. 제 2의 뇌라고 불리는 메모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 자신도 머리가 뛰어나도 생각하지는 않으나 메모나 기록으로 정리된 것은 눈 씻고 찾아봐도 찾는 것은 어렵다. 메모가 얼마나 중요하길래 메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일까?

역사를 둘로 구분하면 선사시대와 역사시대로 구분된다. 말 그대로 기록역사의 존재유무로 판가름 지을 수 있다. 문화재들이나 추측되어 지는 사료들에서 확인이 되지만 실제 그랬다는 확실한 증거는 아니다. 그만큼 기록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는 객관적인 사실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도구이다.

나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도 여러가지가 있다. 사진도 있고, 문서로 남아있는 생활기록부나 성적표, 학적부 등 그 하나하나가 단서를 제공하여 인물의 평가 매개체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장기간 보관되어 있기에 쉽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허나 메모는 순간의 기록이기에 어떤 사건이 발생했던 것을 후에 다시 확인할 때 중요한 기록의 매체가 된다. 또 완료가 되면 폐기를 시켜야 하기에 장기적인 보관을 위해서라면 메모를 보관할 장소도 따로 마련해야하는 이중적 문제점이 있다.

메모의 기술을 읽고 나서 머리로는 뇌의 한 구석에 있는 기억을 되살리는데 메모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느끼고 있다. 중고등학교 시절에 배운 수필, 이하윤의 메모광에서 '쇠퇴해가는 기억력을 보좌하기 위하여, 드디어 나는 뇌수(腦髓)의 분실(分室)을 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나이를 떠나서 기억은 다시 꺼내지 않으면 묻혀버리기에 기록으로 남아있다는 것에 소중함을 느낀다. 머리로 기억을 해야 되는 내용이지만 완전히 기억하기 어려울 때는 짤막한 내용의 메모를 해서 기억을 다시 살리는 것이 좋을 듯하다.

꼭 이 책의 내용 전부를 따라 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한꺼번에 변화를 주면 오히려 역효과를 내기 십상이다. 조금씩 메모하는 습관을 길러 기억을 살리는 것이다. 비록 단시간이든 장시간이든 순간의 기록이 의외의 효과를 내는 것을 보지 못했지만 이 짧은 메모 하나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 것도 장담은 못한다. 알아야 할 것은 메모하나가 해저 2만리에서 잠들어 있는 기억을 되살려 유지시키는데 많은 공을 할거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