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말 마녀 네네칫 2 - 마운트 쿡 마법 학교 양말 마녀 네네칫 2
신현경 지음, 한호진 그림 / 요요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말 마녀 네네칫2


지금까지의 마녀 이야기와는 다르다!!!


 


 

양말 마녀 네네칫 2

저자

신현경

출판

요요

발매

2021.08.17.

뚝심과 용기의 마녀 !!!


양말 마녀 네네칫 ^^


화이팅!!! ^^



해리포터덕후 울 아들과 엄마인 으나가 ^^ 


개성 만점 캐릭터들과 마법 학교에서의 흥미진진한 하루하루 ^^ 


항상 평소 상상해 왔고 ^^ 동경 해 왔었던 마법 세계 !!! ^^ 가 양말 마녀 네네칫에서 익살스럽고 사랑스러운 일러스트로 묘사되어 생명력을 가진 생생한 세계로 구현되었네요.


https://m.blog.naver.com/rarrara19/222149024140



IB PYP 삼영초등학교 교내 책사랑어린이 표창장 평소에 책을 즐겨 읽고 바람직한 독후활동습관 (도서관행사참여 매일 독서록 독서목록 알감자 독서감상문쓰기)을 길러 크게 칭찬 ^^

#IB #PYP #삼영초등학교 #교내 #책사랑어린이 #표창장 평소에 #책을_즐겨_읽고 바람직한 #독후활동습...


m.blog.naver.com



#재치와 #상상력이 가득한 새로운 #마법판타지


<양말 마녀 네네칫> 시리즈 



1권은 주인공 네네칫이 양말 마녀로서 #정체성을 찾는 내용이다.


2권 #마법학교에 #입학하며 본격적인 #마법세계이야기가 펼쳐진다.





세밀한 설정과 새로운 #상상력으로 무장한 마법 학교는 #해리포터 #호그와트가 생각나게 했다 ^^ 


#해리포터덕후인 울 #아들에게 양말마녀네네칫은 #원픽 !!! ^^ 책이 되었다.


사실 해리포터덕후는 엄마인 내가 먼저인건 안 비밀 ^^;; 엄마와 아들의 가슴을 뛰게 할 요소로 가득한 책을 만나서 책을 읽는 동안 너무 행복했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감독

크리스 콜럼버스

출연

다니엘 래드클리프, 루퍼트 그린트, 엠마 왓슨

개봉

2001.12.14. / 2018.10.24. 재개봉


신현경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했다. 청소년 단편 소설로 제5회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을 받았고, 장편 동화로 '푸른문학상 미래의 작가상' 외 'KB창작동화제' 장려상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나의 강아지 육아 일기』 『쓰레기에서 레를 빼면 쓰기』 『귀찮아 병에 걸린 잡스 씨』 등이 있다.



한호진


#그림책작가


작품마다 유년 시절에 과수원이나 숲속에서 놀던 기억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그동안 『청소부 토끼』 『별별 달토끼』 등을 쓰고 그렸으며, 『꿈꾸는 인형의 집』 『단추 마녀의 수상한 식당』 『가끔은 미쳐도 좋다』 『그저 그런 아이 도도』 『친절한 악마 씨』 등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자기발견과 #자기결정권에 초점을 맞춘 #성장이야기



문지기 괴물, 보나콘 ● 10


솜사탕 운동장 ● 19


마법 학교 1번 규칙 ● 26


손금 만들기 수업 ● 39


마녀 망토와 우정 망토 ● 46


성 꼭대기 교장실 ● 57


골라 골라 카드 ● 66


네 개의 초상화 ● 74


마하하와 자장가 ● 82


오렌지레이스를 찾아서 ● 90



《양말 마녀 네네칫 1 가짜 마녀 진짜 마녀》의 내용


발에 맞춰 저절로 커지는 마녀 구두가 지루해서 마법 양말을 만들기 시작한 마녀 네네칫. 


스스로 양말 마녀라고 이름 붙이자 얼굴에 양말 모양 주근깨가 생기고 ‘선택받은 마녀’의 증표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네네칫, 마운트 쿡에 입학?!?!?!


그런데 반려 개 빅테일을 세쌍둥이 마법사 핍 형제가 데리고 떠나버렸다!!!



《양말 마녀 네네칫 2》의 내용


 잔뜩 약이 오른 네네칫이 빅테일을 찾으러 마운트 쿡 마법 학교에 왔다. 


빅테일만 데리고 돌아갈 생각이었던 네네칫


선택받은 마녀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마법 학교에 입학한다. 교장 바바티카에게 선택받은 마녀의 존재를 알아내려고 하지만, 바바티카는 규칙만을 강조하며 무시한다. 


룸메이트 아이샤와 함께 비밀을 캐내다가, 죽을 때까지 간지럽히는 괴물 마하하 앞에 서는 벌을 받게 된다. 바바티카에게 더 큰 #비밀과 #음모가 있다는 걸 알게 된 네네칫은 결국, 마녀 아이샤, 마법사 핍과 함께 삼총사가 되어 초대 교장 오렌지레이스를 찾는 모험을 떠난다. 




울아들이 ^^ 안경 쓴 아이샤를 보고는 해리포터의 #론이나 #헤르미온느의 역을 맡고 있는 것 같단다 ^^ 


그려 ^^


그려 ^^ 


엄마두 그런 생각을 했엉 ^^ 




P.17


“네가 선택받은 마녀인지 아닌지 확실히 안 다음에 결정하면 어떨까? 


자기 자신에 대해서 알려고 하지 않는 건 마녀답지 못해.”



모든 것은 자기 자신으로 부터 시작된다고 봐요.


나를 제대로 아는 것이 모든 일의 처음이자 끝인것 같아요. ^^ 




학교 문 앞에는 정수리로 똥 폭탄을 쏘는 #문지기 #괴물 보나콘이 지키고 있었는 데 울 아들 ♡ 해리포터에 나오는 머리 셋 달린 #개 #플로피가 생각난다고 하더라는 ^^ 




운동장에는 트램펄린 마법으로 만들어 통통 튀는 솜사탕 구름이 깔려 있다.




 



 


반려동물을 #입양해서 돌보고 싶어하는 #초3 #10살 울 #아들은 마녀와 마법사들이 #고양이 #개 #박쥐 #거미 등 #반려동물을 데리고 #마녀와 #마법사가 최초로 함께 공부하는 #마운트쿡마법 학교라는 신비로운 공간에 입학하는 내용을 읽으면서 얼마나 부러워하던지 ^^;; 하하하 ^^;;



P.30


“우리 학교의 목표는 #규칙을 잘 지키는 마녀와 마법사를 길러 내는 것이다. 너희가 규칙을 잘 지켜야, 마법 세계가 무너지지 않는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규칙


과연 이 규칙들은 누구를 위한 규칙인거죠? 


다 같이 고민 해 봐야할 이 시대의 큰 문제점이라고 생각해요.



https://m.blog.naver.com/rarrara19/222477865739



 

대한민국교육필독서 메리토크라시

#대한민국교육필독서 #메리토크라시 메리토크라시 이영달 행복한 북클럽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학교 ...


m.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rarrara19/222477961347



 

대한민국교육필독서 메리토크라시2

이 책을 읽으면서 자료도 많이 찾아보게 되더라구요 ^^ 미쳐 몰랐던 부분을 많이 알게 해 준 책입니다 ^^ ...


m.blog.naver.com




 


 



흔히 생각하는 점잖은 #교장선생님의 이미지를 단칼에 날려 버리는 #악당 #교장 바바티카를 본 아들 ^^ 


울 아들이 열 번도 더 본 영화 #마틸다에 나오는 교장이 생각난다고 하더라는 ^^;; 


#책_영화와_함께_하는_삶을 사는 #엄마아빠영향을 많이 받고 자란 아들다운 반응이였다 ^^ ㅎ


 

 

마틸다

감독

대니 드비토

출연

마라 윌슨, 대니 드비토, 레아 펄만, 엠베스 데이비츠

개봉

1997.08.09.


 



마법의 왕구슬을 깨우는 손금을 만들기 위해 손바닥을 자극하는(걸레질 같은) 수업도 받아야 한다.





 



 


울 아들 ♡ 


요건 해리포터에 나오는 #투명망토 ??? 란다 ^^ 






P.56


“저는 망토 없이 빗자루 운전하는 첫 번째 마녀가 될 거예요!”


당차고 독립적인 네네칫에게 반했다. 


#편견을 깨는 #도전에 박수를 보낸다!!!~^^ 






학교에 입학한 마녀들은 빗자루 운전 수업을 받는다.


마법사들은 양탄자 운전 수업을 받는다. 




 



 



 



 



 







 



죽을 때까지 간지럽히는 괴물 마하하 ^^





 




 



P.98


“영원히 한 몸처럼 지낼 수는 없잖아. 


네네칫이 망토 없이 빗자루 운전하는 첫 번째 마녀가 되겠다고 했을 때 멋져 보였어. 


네네칫이 운전 연습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도 멋진 마법사가 되고 싶어졌고.”



영화 마녀 배달부 키키가 생각나기도 했고 마녀에 대한 유서 깊은 편견을 깨부수는 책이라서 좋았다.


 

 

마녀 배달부 키키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출연

타카야마 미나미, 사쿠마 레이

개봉

2007.11.22. / 2019.06.26. 재개봉


해리포터가 #볼트모트를 무찌르기 위한 여정이 펼쳐진 것이라면 양말 마녀 네네칫 2 에서는 오렌지레이스를 찾아 모험을 떠나는 군요 


과연 이어질 3권에서는 어떤 모험이 펼쳐질지 너무 기대가 됩니다.




주제 :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하는, 자기발견과 자기결정권


네네칫과 친구들의 자신과 세상을 바라보는 단단하면서도 열려 있는 관점



운명은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것이다!!!



 마법 망토가 아닌 일반 망토로는 빗자루 운전을 할 수 없다는 말에 ‘망토 없이 빗자루 운전하는 첫 번째 마녀가 되겠다’고 선언하는 네네칫




함께 타던 양탄자를 가르며 한 몸 같던 형제 관계에서 자립하고자는 마법사 핍



자신이 위험에 처하더라도 친구를 돕고자 하는 마녀 아이샤 



매일매일이 모험인 울 아들에게 ♡ 


도전하기가 두렵겠지만!!!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주고 싶다



울 아들이 세상으로 한 발 한 발 걸어나갈 때 필요한 마음가짐을 배울 수 있는 책 



숨 쉴 틈 없이 전개되는 속도감 있는 스토리


진정한 독서의 즐거움을 깨닫게 하는 판타지 동화


 


특히 2권부터 등장하는 아이샤, 바바티카, 오렌지레이스, 보나콘, 마하하 같은 등장인물들은 이후에 더욱 확장될 마법 세계에 대해 큰 기대감을 준다.



 네네칫과 두 친구의 신나는 모험 이야기는 곧 출간될 3권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하니 기다려진다.


^^ 




#양말마녀네네칫


#마운트쿡마법학교


#신현경 글


#한호진 그림


#요요


#다산북스



#출판사도서무상증정 


#다산어린이서평단



#으나책빵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증정 받았으나 으나책빵 으나의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리토크라시 -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2
이영달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8월
평점 :
품절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소통과 협력이 필수다

효율성의 극대화

테크놀로지의 시대

선생님 교수님들은 조력자의 역할을 할 뿐이다

티칭이 아니라 코칭을 할 뿐이다

학생이 주도적으로 배우는 방법을 터득하게 하라

학재간융합이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리토크라시 -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2
이영달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8월
평점 :
품절


대한민국교육필독서 메리토크라시2

#대한민국교육필독서 #메리토크라시2


​대한민국교육필독서, 메리토크라시2, 이영달, 행복한북클럽, 리뷰어스클럽, 으나책빵, 


메리토크라시란?


#출신이나 #가문 등이 아닌 #능력이나 #실적 


즉 #메리트 merit 에 따라서 #지위나 #보수가 결정되는 사회체제



#meritocracy #능력주의 #능력주의사회



1958년 영국의 정치가이자 사회학자


#마이클영 Michael Young 1915 ~ 2002  


#능력주의_사회의_부상


 ( The Rise of Meritocracy )』을 출간


 귀족주의사회 ( aristocracy ) 에 상응하는 개념 



#meritocracy #능력주의 #능력주의사회


과연 무엇이 #능력( #merit )인가?


#배경 ( #background )보다는 #지능과 #노력 ( #intelligence_and_effort )을 #능력으로 본다.


#기회균등원칙 #equality_of_opportunity  #불평등하기_위한_기회균등  #equality_of_opportunity_to_be_unequal 



메리토크라시2


나와 자녀의 #미래삶을_위한_교육에 관한 새로운 사유


#신맹모삼천지교와 잃어버린 우리의 #아인슈타인


#불평등을 만드는 #교육격차


한국교육의_현실적_문제들을 놓고 매일 힘겹게 씨름하고 있다.


이키가이 그릿 노력주의의 함정


안드라고지 페다고지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실천교육


바꾸어야 할 것을 바꿀 수 있는 #용기


학사학위 없는 세계의 #와해적혁신가들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을 위한 짧지만 굵은 생각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소통과 협력이 필수다


효율성의 극대화


테크놀로지의 시대


선생님 교수님들은 조력자의 역할을 할 뿐이다


티칭이 아니라 코칭을 할 뿐이다


학생이 주도적으로 배우는 방법을 터득하게 하라


학재간융합이 중요하다


여러 분야의 협업이 중요하다


다방면 분야의 지식 습득이 중요하다


 

 

메리토크라시 세트(전2권)

저자

이영달

출판

행복한북클럽

발매

2021.08.09.

https://youtu.be/Ax5ehTYTR6U






메리토크라시


이영달 


행복한 북클럽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2.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https://youtu.be/T2GOTJ1QL4E





https://youtu.be/AEFulUnALtA





 

 

메리토크라시

저자

이영달

출판

행복한북클럽

발매

2021.08.09.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2권. 



#퇴행하는 우리의 #교육에 관한 쟁점과 #대안을 최신 #연구 결과와 다채로운 #경험을 토대로 날카롭게 제언하는 책



기업과 대학, 그리고 정부 부문 모두에서 #세계의_혁신현장을 직접 발로 뛴 #경영학자가 바라본 #세계의_미래교육을 말한다.



고3 입시생 자녀를 둔 한국 아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위원으로 활동


저자의 #한국교육에 대한 현실적 #고민



나와 자녀의 미래 삶을 위한 교육에 관한 새로운 사유


#이영달 (지은이) 


#기업가정신과 혁신, #글로벌경영전략 그리고 #금융을 전공한 경영학자이자 #CEO양성교육전문 


#동국대학교경영전문대학원 #기업가정신MBA과정주임교수 #강의 #연구활동 


현재


#과학기술특성화국립대학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이사


#기관경영참여


학생들이 자체 선정한 #최고의_교수 


#한국벤처창업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2회 수상 #한국벤처창업학회부회장


#한국중소기업학회이사


#한국경영학회이사


#학술활동


#KDI주관 #중등교사 및 #초중등교장단 대상 #경제교육연수과정에 수년 동안 참여


현장 일선의 선생님과 교장 선생님들께 #기업가정신교육소개


#KDI와 #초중등학생 #중소기업청과 #대학생들을 위한 #기업가정신표준교재개발


#한국최대규모은행 등 다양한 기업들의 혁신 및 #글로벌전략교육자문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정책개발활동참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위원 #기획재정부 #혁신성장추진단 1기 및 2기 위원, 


#중기부_여가부 #균형성장촉진위원회위원 등의 활동과 수십 편의 #정책연구보고서를 펴냈다. 


현재 뉴욕에 있는 #기업가정신연구 및 교육 기관인 #NYET원장 #Principal 으로 활동하며 뉴욕과 #실리콘밸리의 #세계적혁신기업들과 #교류하고 있다. 


또한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국가들정부 및 기업들과 #혁신생태계 관련 교류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학계에 몸담기 전


5년간 #육군항공대에서 #정비부사관근무 


#종합무역상사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력 


#상장기업의 말단 사원에서 #초고속승진을 거듭해 30대 초반에 #등기임원을 역임했다. 


#최고재무책임자 #CFO와 #글로벌비즈니스총괄 및 #러시아법인장을 지내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업활동경험을 지니고 있다. 


기업, 대학, 정부 차원에서 전 세계의 혁신 현장을 발로 뛰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대학 입시생 아빠로 여느 학부모님들과 같이 #한국교육의_현실적_문제들을 놓고 매일 힘겹게 씨름하고 있다.



공저로 #기업가정신의_이해 를 출간했다.


https://youtu.be/gmtnceEU6XY



추천사


프롤로그 바꾸어야 할 것을 바꿀 수 있는 #용기


https://m.blog.naver.com/rarrara19/222357769114



[서평-자기계발] 온택트시대비대면말하기수업

온택트시대비대면말하기수업 강은하 슬로미디어 온라인 환경에서 말하기가 어려운 독자들을 위한 대통령의 ...


m.blog.naver.com


1장 기업대학


01 #전통적_대학 vs. #기업대학


02 인도 #릴라이언스그룹의 캠퍼스 프로젝트


03 #칭텅대학과 #후판대학 그리고 중국의 기업대학들


04 일본의 #토요타공업대학과 #라쿠텐대학 그리고 기업대학들


05 #21세기공학교육의 새로운 표준, 영국의 #다이슨공과대학


06 #SAS 기업인가? 대학인가?


https://youtu.be/Z9D9bd-NlsI



07 다섯 개의 에피소드와 #인재개발패러다임의_변화


08 #기업의_대학화 vs #대학의_기업화 그리고 #혁신생태계


09 #애자일조직과 #클라우드시대의 #기업교육


10 #기업교육의 빅뱅, 클라우드가 이끄는 #개인화된_학습



2장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고등교육의 #스타트업


01 고등교육의 #경험혁신


02 #대학교육의 경험 혁신, #미네르바스쿨


https://youtu.be/yDtDQskrlFQ



03 기업 교육의 경험 혁신, #싱귤래리티대학


https://youtu.be/bcKYkMVHhek



04 미국의 #공짜대학 #피플대학


https://youtu.be/yPL9znjWkPU



05 스타트업 같은 대학, #올린공과대학


#대학혁신사례


#프로젝트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소통과 협력이 필수다


효율성의 극대화


테크놀로지의 시대


선생님 교수님들은 조력자의 역할을 할 뿐이다


티칭이 아니라 코칭을 할 뿐이다


학생이 주도적으로 배우는 방법을 터득하게 하리


학재간융합이 중요하다


여러 분야의 협업이 중요하다


다방면 분야의 지식 습득이 중요하다


https://m.blog.naver.com/rarrara19/222261761496



[서평] 대전환이 온다 협업만이 극단적 개인주의의 위기에서 우리를 구할 수 있다

대전환이 온다 지은이 더글라스 러시코프 세계적인 미디어 이론가이자 비평가 디지털 경제 전문가다. 뉴욕...


m.blog.naver.com


https://youtu.be/j7qq2uebNKI



https://youtu.be/X95u3TONmYM



 

 

정의란 무엇인가

저자

마이클 샌델

출판

와이즈베리

발매

2014.11.20.

 

 

10대를 위한 JUSTICE 정의란 무엇인가

저자

마이클 샌델, 신현주

출판

아이세움

발매

2014.11.30.

3장 #신엘리트주의와 메리토크라시


01 신엘리트주의



메리토크라시는 기회의 평등과 공정한 과정에 집중한다. 이것이 전제가 되면 그 결과는 #정당성을 갖게 되는 개념이다.


혁신의 영역은 논리상 메리토크라시고, 결과적으로 신엘리트주의다.



02 메리토크라시


03 #신맹모삼천지교와 잃어버린 우리의 #아인슈타인


04 #불평등을 만드는 #교육격차


https://youtu.be/t3zclpV0w5k



명견만리 - 소득의 격차가 만들어낸 교육 → 대학 → 취업의 격차.20180316

소득의 격차가 만들어낸 교육 → 대학 → 취업의 격차


youtu.be


https://youtu.be/FOtOOnmBVjM



4장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


01 #라이트형제 vs. #새뮤얼랭글리


02 #학사학위 없는 세계의 #와해적혁신가들


https://youtu.be/RHyIM5_aPiM



03 인도인과 유대인의 혁신 DNA, 그 뿌리를 찾아서


https://youtu.be/yOH-WbpTqwQ



https://youtu.be/ALeqiVSqxPo



https://youtu.be/dWNfuhJyeJw



https://youtu.be/rEbgN8V-LEQ



04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


https://youtu.be/QYt1-Z12K2E



https://youtu.be/oCOpcE8fK6s




https://youtu.be/qn8_P7YSbsY




5장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01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https://youtu.be/b1vutpefBVU



https://youtu.be/7KegCNBbM_4




02 위대한 삶을 이끄는 #이키가이 #그릿  ‘나의 인생 프로젝트TM’


https://youtu.be/FDWFl7pFOMs



03 #노력주의의함정


04 모두를 위한 #교육심리학


05 모두를 위한 #교육철학


06 #페다고지 vs. #안드라고지


07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08 한국의 미래 교육을 위한 짧지만 굵은 생각



#총균쇠


#환경결정론


우리나라 교육환경에 안타까움을 금치못하는 1인인지라...... 나는 울아들에게......♡ 과연 어떤 환경을......^^;; 얼마만큼의 지원을......^^;; 부모로...... 사회구성원으로...... 나의 외침이 얼마만큼의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이지만...... 나의 능력의 한계를 깨닫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도 애써본다......


 

 

총, 균, 쇠

저자

재레드 다이아몬드

출판

문학사상사

발매

2005.12.19.

https://youtu.be/T2GOTJ1QL4E



https://youtu.be/Am1i8c1bZto




https://youtu.be/D8IU-8ozdRY



https://youtu.be/x-u0uvlhJaA



https://youtu.be/srp8defXNNI



https://youtu.be/6vNLiTX_zPg






무언가에 대한 강렬한 호기심은 여러 제약 여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깊은 학습과 몰입을 이끌어 학습된 신념의 단계로 인도한다. 이때 위대한 질문, 즉 목적Why을 어떻게 정립하느냐는 위대함을 좇는 삶의 여부를 결정하는 가늠자가 될 것이다.



현대 교육, 특히 대한민국의 교육 현장은 유아기부터 표준화의 함정에 빠져드는 역설과 모순의 구조로 되어 있다.



교육에 국가주의와 정부 만능주의가 팽배할수록 미래 세대는 표준화의 함정에 깊이 빠진다.



교육으로 사회적 이동을 이루지 못한다면 우리 사회는 경제적·사회적 격차가 고착화되어 불평등 사회, 결정론적 사회의 모습을 띨 것이다. 불평등 사회를 극복하고, 사회적 이동성이 기능하는 역동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한 해결 방안에서 여전히 교육은 첫 번째 자리에 위치한다.



모두를 위한 교육 철학의 마지막 종착지는 집단이 아닌 개인이 국가 교육의 중심이 되는 것, 국가 주도의 표준화된 평가(예: 수학능력시험 및 경직된 대학 입시 제도)를 위한 교육이 아닌 개인의 고유한 개성과 강점을 살리는 교육이다. 개인의 자아실현을 뒷받침하는 국가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여기에 있음을 다시 한번 환기할 필요가 있다.



2021년의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는 만들어가야 할 명제이자, 구현해야 할 시대적 과업이다. 우리는 성취와 성공을 예측하는 단 하나의 변수를 찾기보다, 유전적-환경적 요인을 넘어 성취와 성공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교육의 힘을 강조해야 한다.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이 필요하다는 소리다. 그것은 삶의 변화와 사회적 이동성을 이끌어내는 사람을 세우는 교육이다. 실력과 매력이 업적으로 이어지고, 업적이 보상의 원천이 되는 ‘순기능적 메리토크라시의 시대’가 도래하는 현상이 분명 확인되고 있다. 기업의 대학화, 기업 대학의 출현은 유전적-환경적 요인을 극복하고 사회적 성취에 이르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경로를 제시한다. 기업가정신과 혁신의 영역에서는 오롯이 자신의 메리트(업적)으로 평가받는 비율이 더 높다.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을 모델링하고 실행하는 데는 기업가정신이 많은 도움이 된다. 현대 교육에서 가장 전인적이고 변혁적 교육을 추구하며, 실천 교육의 속성을 지닌 것이 바로 기업가정신 교육이다. 이는 자기 주도적 삶을 향한 교육으로, 자립을 경험하도록 하고 성인의 삶에서 자기 고용 가능성을 높인다.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개인의 자아실현과도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정신을 토대로 한 메리토크라시의 영역이며, 사회적 이동성을 창출하는 중요한 원천이라는 측면에서 포용적 교육의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다.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여기, 퇴행하는 우리의 교육에 관한 쟁점과 대안을 최신 연구 결과와 다채로운 경험을 토대로 날카롭게 제언하는 책이 출간되었다. 책은 기업과 대학, 그리고 정부 부문 모두에서 세계의 혁신 현장을 직접 발로 뛴 경영학자가 바라본 세계의 미래 교육을 말한다. 고3 입시생 자녀를 둔 한국 아빠이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저자의 한국 교육에 대한 현실적 고민을 따라가다 보면 ‘나와 자녀의 미래 삶을 위한 교육’에 관한 새로운 사유가 움튼다.



대학의 기업화 vs. 기업의 대학화


경계가 허물어지는 고등교육의 미래는?



여기, 관성적으로 받아들였던 교육 프레임을 완전히 뒤바꾸는 책이 출간되었다. 빈부격차와 불평등 문제가 점점 극으로 치닫고, ‘인공지능+로보틱스+사물인터넷’ 기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노동자는 빠른 속도로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교육 현장은 역동적인 시대 변화를 담아내기보다는 오히려 과거로 퇴행하고 있다. ‘교육 공정성의 회복’이라는 명제 아래 국제 중학교가 폐지되고 대학 입시의 수시전형은 축소되었으며 정시전형이 확대되었다. 코로나19 이슈까지 더해져, 단 한 번의 수학능력시험을 통해 대학 입학 여부가 결정되는 흐름도 확산되었다. 이러한 국가 주도의 획일화된 교육정책, 주입식 교육, 객관식 시험, 과도한 대학 입시 경쟁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을까?



교육은 기회의 평등을 넘어, 사람들 각자가 갖고 있는 기회를 추구하도록 돕는 데 그 본원적 목적이 있다. 지금의 고용 환경과 기업 세계의 조직 구성, 일하는 방식은 과거 산업화 시대와는 완전히 다르다. 이전의 교육이 고용을 위한 것이었다면, 앞으로의 교육은 ‘자아실현’과 ‘창의성의 극대화’를 통해 자기고용이 가능하도록 그 구체적인 방법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이 책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처한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고, 표준화의 함정과 불평등 구조에 빠진 교육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관점을 독창적이고 시의적절하게 제시한다. 지금까지의 교육은 정답을 빨리 알아내라고 요구해왔다면, 앞으로의 교육은 고도화된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가치 있는 문제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책에 담긴 교육 관련 다학제적 최신 연구 결과들은 스스로 미래를 창조하고 디자인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 가능함을 웅변한다.



세계의 혁신 현장을 직접 발로 뛴 경영학자가 바라본


교육 격차와 불평등에 대한 교육 솔루션



그가 이 책에서 강력하게 주장하는 것은 이 시대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바로 보는 것이다. 경영학자의 시각으로 유아 및 초중등 교육부터 대학과 기업 교육 영역까지, 한국 교육만이 아닌 미국, 중국, 일본, 영국과 유럽 등 전 세계적 시각에서 교육의 문제를 살폈다. 정의와 불공정 사회를 말하는 마이클 샌델, 경제적 불평등을 이야기하는 토마 피케티, 글로벌 세계를 말하는 토머스 프리드먼이 제기한 문제들에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이라는 유효한 대안으로 답하고 있다. 가능한 일일까? 가능성이 없다면 이 책이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미래 세대가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길과 방법론



실력과 매력이 학력과 재력을 이기는 시대를 왔음을 밝히며, 이에 필요한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을 말한다. 



기업들은 과거에 주어진 과업에 충실한 ‘표준화된 인력’으로 더 싸게, 더 낫게, 그리고 더 빠르게 비즈니스를 펼쳐왔다. 하지만 이러한 성공 방정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우리는 이제 새로운 기술, 새로운 지식,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새로운 조직의 운영 형태를 통해 기존 산업의 질서와 그 판을 송두리째 바꾸어버리는 ‘와해적 혁신’이 일상화되고 있다.



 기업과 대학 간 교육의 경계도 허물어지고 있다. 기업은 대학화되어가고, 대학은 기업화되고 있다. 기업교육과 대학교육 모두 혁신에 혁신을 거듭하고 있으며, 혁신 엘리트에 의한 새로운 엘리트주의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 책은 교육의 의미를 묻고 해답을 찾는 과정을 낱낱이 기록한 만큼 앞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는 사유의 출발선이 되어준다. 



한편 현실 세계에서 가능한 교육 경력 설계에 대한 사례를 다양하게 담아 독자들의 효과적인 교육 경력 개발도이 가능하도록 했다. 더불어 교육을 둘러싼 정부-기업-개인의 역할을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으로 명시한다. 



자녀의 교육 문제로 고민하는 많은 학부모님과 미래 세대들의 내일을 책임지고 있는 현장의 교육자들, 그리고 교육정책 관계자들과 이러한 문제와 그 무게를 함께 나누길 바란다. 



https://blog.naver.com/rarrara19/222477865739



 

메리토크라시1

메리토크라시 이영달 행복한 북클럽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2. 모두를 위한 ...


blog.naver.com


https://youtu.be/1CDa8sCiwNs



https://youtu.be/iGzyD6whnsQ



https://youtu.be/dYpRjUeGvLQ



https://youtu.be/yUCE5uneu34



https://youtu.be/gmtnceEU6XY



https://youtu.be/5UaJywOO6Mk




#메리토크라시


#이영달


#행복한북클럽



#미래사회와우리의교육


#미래사회와우리의교육


#학교교육의새로운미래


#모두를위한21세기실천교육



#출판사도서무상증정


#리뷰어스클럽서평단


#으나책빵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증정 받았으나 으나책빵의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리토크라시 -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이영달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육의 의미를 묻고 해답을 찾는 과정을 낱낱이 기록한 만큼 앞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는 사유의 출발선이 되어준다. 한편 현실 세계에서 가능한 교육 경력 설계에 대한 사례를 다양하게 담아 독자들의 효과적인 교육 경력 개발도이 가능하도록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리토크라시 -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이영달 지음 / 행복한북클럽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교육필독서 


#메리토크라시



 

 

메리토크라시 세트(전2권)

저자

이영달

출판

행복한북클럽

발매

2021.08.09.



메리토크라시


이영달 


행복한 북클럽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2.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메리토크라시

저자

이영달

출판

행복한북클럽

발매

2021.08.09.

메리토크라시 1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권. 


퇴행하는 우리의 교육에 관한 쟁점과 대안을 최신 연구 결과와 다채로운 경험을 토대로 날카롭게 제언하는 책



기업과 대학, 


그리고 정부 부문 모두에서 세계의 혁신 현장을 직접 발로 뛴 경영학자


세계의 미래 교육을 말한다.




고3 입시생 자녀를 둔 한국 아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저자


한국 교육에 대한 현실적 고민




 ‘나와 자녀의 미래 삶을 위한 교육’



추천사


프롤로그 


뉴욕의 잠 못 이루는 밤



1장 


실제 세상과 우리가 만날 미래


01 뉴욕에서 만난 #디지털노동자


02 중국에서 만난 #인공지능홀로그램영어교사


03 하노이에서 만난 #무인은행점포


04 #실리콘밸리에서 만난 #미래와 잠들지 않는 #혁신



P. 41


실리콘밸리 일대는 거대한 학교이자 실험장이라 할 수 있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일수록 실리콘밸리를 찾고, 여기에 정착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이들은 미래의 변화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미래를 창조하고 디자인하고자 한다.



05 10년, 판을 바꾸기에 충분한 시간: 파워의 이동


06 디지털 노동자와 중간 지대의 #소멸


07 밤 10시, 서울 대치동의 학원가



P. 54


어느 영역에서든 독점과 과점은 반드시 시장의 실패를 불러온다. 반세기 이상 지속된 교육부(시도교육청을 포함한 범정부 영역)가 전권을 갖고 모든 것을 통제하겠다고 하는 교육정책으로는 ‘학벌 중심 사회’를 ‘능력중심사회’로 전환할 수 있는 유효한 대안 모델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P. 55


국가의 교육정책은 기본적으로 수월성, 포용성, 혁신성, 다양성이라는 네 가지 방향을 균형 있게 추구하면서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반드시 챙겨야 할 영역이 있고, 시장이나 민간의 영역에 맡겨야 하는 영역이 있다.



08 #꼰대_라떼 공화국



P. 60


우리의 제도권 교육에 깊이 자리하고 있는 ‘꼰대-라떼’ 문화와 ‘미래교육’, 그리고 ‘교육혁신’ 등의 담론은 병립할 수 없는 관계처럼 보인다. 한국 교육 전반의 영역에서 교육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학교란 무엇이고 왜 존재하는 것인지 등 본질적이고 본원적인 문제들을 다시 살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장 


우리에게 교육이란 무엇인가?


01 #학교란 무엇인가?


02 우리는 왜 #대학에 가는가?


03 #대학이란 무엇인가?



P. 90


우리 사회에서는 여전히 ‘우리는 왜 대학에 가는가?’, ‘대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본원적이고 존재론적인 질문들이 주목받는다. 대학이 고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학생이나 사회의 요구 및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평가와 인식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들은 자신의 고유한 역할 정체성은 무엇인지 스스로 묻고 답해야 한다. 



04 대학을 떠나는 미국의 청년


05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설립하는 #아이비리그대학들


06 미국과 영국, 국가 #교육부의 #사명과 #비전





P. 110


지금의 고용 환경과 기업 세계의 조직 구성, 일하는 방식은 과거 산업화 시대와는 완전히 다르다. 이전의 교육이 고용을 위한 것이었다면, 앞으로의 교육은 ‘자아실현’과 ‘창의성의 극대화’를 통해 자기고용이 가능하도록 그 구체적인 방법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07 ‘모든 #아이는 우리 모두의 아이’ - #대한민국교육부의_사명은?


대한민국교육부의 사명은?


08 한국을 떠나는 고급 #두뇌들





P. 128


결과적으로, 우수한 한국인 박사들은 세계의 혁신 현장 일선에서 활동하는 반면, 한국에서 활동하는 박사들은 상대적으로 비생산적이고 관료적인 문화 가운데서 절치부심하며 지낸다.



09 세계의 #인재들은 왜 미국으로 향할까?


10 우리에게 교육이란 무엇인가?


3장 


K-12 교육과정


한국-뉴욕주-캘리포니아주 비교


3장 K-12 교육과정: 한국-뉴욕주-캘리포니아주 비교


01 왜 미국과의 비교인가


02 #학제시스템과 #기초법제시스템 비교






03 #학교유형의_비교





04 #교육과정_정책의_비교










05 #유아교육과정비교












06 #유아_초중등교육과정비교 ( #K_12 ) 









P. 204


무엇보다 중요한 포인트는 한국의 제반 교육과정의 구성과 편성 등에 대한 노력이 대학 입시 제도라는 하나의 블랙홀에 모두 함몰되는 구조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부분의 개선이 없다면 교육과정의 고도화를 위한 수많은 노력들도 현실적으로 효과를 거두지 못할 수밖에 없다.



4장


미국교육 다시 혁신의 시동을 걸다


01 #법률로 뒷받침되는 #개인화된 학습 : #모든학생성공법



P. 213


정부 차원의 ‘개인화된 학습’의 핵심은 ‘학업 성취 기회의 균등’이다. 일정한 학업적 성취를 이루는 과정에서 학습 참여와 학습 방법, 평가 방법이 획일화되어 상대적 피해나 손해를 보게 된다면 이는 공정하지 않다는 철학이 투영된 것이다.



02 #언어가 아니라, #언어활용법



P.221


미국의 K-12 교육과정에는 한국 교육과정에 없는 교과목이 있다. 그중 하나가 '영어 언어 교양 및 문해력 English Language Arts and Literacy, 이하 ELA’으로, 이는 우리의 국어에 해당하는 교과목이다.


물론 우리 고등학교 과정에서도 국어는 공통 교과인 국어와 일반


선택에 해당하는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진로 선택과목으로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로도 구분된다. 이것만 보면 우리 고등학교에서 국어 교과가 미국의 영어교육에서보다 오히려 더 세분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국의 관련교육과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언어가 아니라 언어를 활용하는 법을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세계에서 유의미한 학습 효과를 거두고, 이와 함께 직업적 성취도 도울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FLA는 한국에서처럼 고등학교 과정에서 세분화되는 것이 아니라 유치원 과정 부터 고등학교 과정12th Grade까지 동일한 교과목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뉴욕주와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유치원 이전 과정부터 교육하고 있다.


먼저 연방 정부의 공통핵심국가표준'을 통해 각 주 정부 교육부와


일선학교에 전달되는 ELA의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세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유치원 단계부터 5학년까지 적용되는 '언어로서의 영어와 기초교양으로서의 영어' 부문이다. 언어의 맥락에서 영어를 습득하고 학습하는 과정의 내용과 영어 기반의 기초 교양이 병합되는 구조다.


'영어 언어 교양 및 역사/사회학, 과학 및 기술교과 문해력 표준: 유치원ㅡ5학년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 Literacy in History/Social Studies,


Sclonco, and Tochnical Subjects K-5’으로 명명된 이 교과목은 언어 학습 외에 역사/사회, 과학, 기술 교과 영역의 기초 교양을 학습함으로써 문해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중점 목표로 두고 있다.


둘째, 교양 영어'의 개념으로 6학년에서 12학년까지 적용되는 부분이다. 읽기, 듣기 및 말하기, 글쓰기를 폭넓은 교양 분야와 결합하여정교하고 미려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교과목명은 '영어 언어 교양 6~12학년을 위한 표준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s


612이다.


셋째, '전문 영어'의 개념이다. 마찬가지로 6학년에서 12학년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역사/사회, 과학, 기술 교과목과 연계하여 전문적인 읽기와 쓰기에 중점을 둔다. 특히 각 분야의 문해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중심이다. 따라서 이 부문은 우리와 같이 국어 교사 1인이 일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과 교사와 영어(언어) 교


사가 함께 협력하여 수업을 이끌고, 학생들을 지도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대학의 교육과정을 무리 없이 수학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다지며, 또한 직업과 사회 활동에서도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대학 수준의 보고서나 학술논문을 작성하기도 하고, 전문 분야에 대한 기술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한다. 명칭은 '역사/사회학, 과학 및 기술 교과 문해력 표준 Standards for Lieracy in History/Social Studies, Science, and Technical Subjects' 0167.






03 #수학 즐겁고, 재미있고, #가치 있는 과목


04 미국 교육 혁신의 비전 : #STEM교육 #디지털 문해력




05 교육정책의 4원칙 : #수월성 #포용성 #혁신성 #다양성


06 #교육수월성 : #필립스엑시터아카데미













07 #교육의혁신성 : #스탠퍼드온라인고등학교

















08 #교육다양성 : #토머스제퍼슨과학기술고등학교


09 #교육포용성 : #카우프만스쿨


10 교사, 학생을 #실제세상’과_만나게 하라



5장 


대학의 새로운 미래


01 문 닫는 미국의 대학들


02 문 여는 중국과 아시아의 대학들


03 #박사과정은 늪인가, #기회의 창인가


04 대학을 떠나는 #교수들


05 #산업단지로 #탈바꿈하는 미국의 #커뮤니티칼리지


06 대도심 한가운데로 향하는 #경영전문대학원 캠퍼스


07 태국 방콕의 특별한 대학


08 #우주의 중심에 서 있는 듯, 중국의 #연구중심대학


09 러시아 모스크바에 #MIT캠퍼스가 ?


10 세상을 바꾸는 #세계의_기업가형_대학들


11 #혁신생태계중심에 자리하는 대학들


12 왜 미국의 대학들은 탁월한가? 대학의 #거버넌스


13 대학의 새로운 미래



경영학자의 시각으로 유아 및 초중등 교육부터 대학과 기업 교육 영역까지, 한국 교육만이 아닌 미국, 중국, 일본, 영국과 유럽 등 전 세계적 시각에서 교육의 문제를 살핀 역작이다.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정의와 #불공정사회를 말하는 #마이클센델


https://youtu.be/Q0AhTKnGKgA




#경제적_불평등을 이야기하는 #토마피케티


https://youtu.be/7hPRMQjhggY



글로벌 세계를 말하는 토머스 프리드먼이 제기한 문제들에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이라는 유효한 대안으로 답하고 있다. 


우리에게 다가올 변화를 혁신과 포용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교육이 바로 서야 한다. 그 중심에 설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이 책이 제언하는 대안을 읽고 실천하길 권한다.


코로나19 대유행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뛰어난 문제 해결력으로 위기를 극복해나가고 있다. 앞으로 닥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미래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 우리는 학교란 무엇인지, 교육이란 무엇인지 진지하게 성찰해봐야 한다.


미래 교육에 대한 최고의 역작이다. 미래 교육을 준비하는 학생, 학부모, 교육계 전문가에게 강력히 추천한다.


한국 교육은 우리를 현재의 성공으로 이끈 가장 큰 원동력이었지만 미래로의 발전에는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 국가 주도의 획일화된 교육정책, 주입식 교육, 객관식 시험, 과도한 대학 입시 경쟁 등의 결과가 우리가 겪는 많은 사회적 병리현상의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이 교육 혁신이란 점에서 이영달 박사의 이 책은 아주 시의적절하다. 교육정책을 만드는 사람들은 초등에서 고등교육까지, 생생한 경험과 방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저자의 혜안을 필히 숙고했으면 좋겠다. 이 책이 열정과 인내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자율과 책임, 그리고 다양성을 지향하는 교육 혁신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이 책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처한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고, 문제를 타개할 교육 방법을 방대한 자료를 근거로 명확히 제시한다. 이 책이 새로운 교육의 시작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https://youtu.be/iGzyD6whnsQ



이영달 (지은이) 


기업가정신과 혁신, 글로벌 경영전략, 그리고 금융을 전공한 경영학자이자 CEO 양성 교육 전문가이다. 동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에서 기업가정신 MBA 과정 주임교수로 강의와 연구 활동을 했다. 현재는 과학기술특성화 국립대학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이사로 기관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학생들이 자체 선정한 최고의 교수로 꼽힌 바 있고, 한국벤처창업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2회 수상했다. 한국벤처창업학회 부회장, 한국중소기업학회 이사, 한국경영학회 이사로 학술 활동을 하고 있다. KDI 주관 중등 교사 및 초중등 교장단 대상 경제 교육 연수과정에 수년 동안 참여하여 현장 일선의 선생님과 교장 선생님들께 기업가정신 교육을 소개했다. KDI와 초중등 학생, 중소기업청과 대학생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표준 교재를 개발했다.


한국 최대 규모의 은행 등 다양한 기업들의 혁신 및 글로벌 전략을 교육하고 자문했다.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의 정책 개발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혁신성장추진단 1기 및 2기 위원, 중기부-여가부 균형성장촉진위원회 위원 등의 활동과 수십 편의 정책 연구 보고서를 펴냈다. 현재 뉴욕에 있는 기업가정신 연구 및 교육 기관인 NYET의 원장(Principal)으로 활동하며 뉴욕과 실리콘밸리의 세계적 혁신 기업들과 교류하고 있다. 또한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정부 및 기업들과 혁신 생태계 관련 교류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학계에 몸담기 전, 5년간 육군항공대에서 정비 부사관으로 근무했으며, 종합무역상사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력을 지니고 있다. 상장기업의 말단 사원에서 초고속 승진을 거듭해 30대 초반에 등기 임원


을 역임했다. 최고재무책임자(CFO)와 글로벌 비즈니스 총괄 및 러시아 법인장을 지내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기업 활동을 한 경험을 지니고 있다. 기업, 대학, 정부 차원에서 전 세계의 혁신 현장을 발로 뛰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대학 입시생 아빠로 여느 학부모님들과 같이 한국 교육의 현실적 문제들을 놓고 매일 힘겹게 씨름하고 있다.



공저로 《기업가정신의 이해》를 출간했다.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여기, 퇴행하는 우리의 교육에 관한 쟁점과 대안을 최신 연구 결과와 다채로운 경험을 토대로 날카롭게 제언하는 책이 출간되었다. 책은 기업과 대학, 그리고 정부 부문 모두에서 세계의 혁신 현장을 직접 발로 뛴 경영학자가 바라본 세계의 미래 교육을 말한다. 고3 입시생 자녀를 둔 한국 아빠이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저자의 한국 교육에 대한 현실적 고민을 따라가다 보면 ‘나와 자녀의 미래 삶을 위한 교육’에 관한 새로운 사유가 움튼다.



‘표준화의 함정’에 빠진 교육을 살리는 새로운 개념!


완전하지 않은 교육에서 미래세대를 지켜내는 방법은?


여기, 관성적으로 받아들였던 교육 프레임을 완전히 뒤바꾸는 책이 출간되었다. 빈부격차와 불평등 문제가 점점 극으로 치닫고, ‘인공지능+로보틱스+사물인터넷’ 기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노동자는 빠른 속도로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교육 현장은 역동적인 시대 변화를 담아내기보다는 오히려 과거로 퇴행하고 있다. ‘교육 공정성의 회복’이라는 명제 아래 국제 중학교가 폐지되고 대학 입시의 수시전형은 축소되었으며 정시전형이 확대되었다. 코로나19 이슈까지 더해져, 단 한 번의 수학능력시험을 통해 대학 입학 여부가 결정되는 흐름도 확산되었다. 이러한 국가 주도의 획일화된 교육정책, 주입식 교육, 객관식 시험, 과도한 대학 입시 경쟁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을까?


<메리토크라시>라는 이 책의 제목에 주목해야 한다. 교육은 기회의 평등을 넘어, 사람들 각자가 갖고 있는 기회를 추구하도록 돕는 데 그 본원적 목적이 있다. 지금의 고용 환경과 기업 세계의 조직 구성, 일하는 방식은 과거 산업화 시대와는 완전히 다르다. 이전의 교육이 고용을 위한 것이었다면, 앞으로의 교육은 ‘자아실현’과 ‘창의성의 극대화’를 통해 자기고용이 가능하도록 그 구체적인 방법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이 책은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처한 상황을 정확히 분석하고, 표준화의 함정과 불평등 구조에 빠진 교육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관점을 독창적이고 시의적절하게 제시한다. 지금까지의 교육은 정답을 빨리 알아내라고 요구해왔다면, 앞으로의 교육은 고도화된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가치 있는 문제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책에 담긴 교육 관련 다학제적 최신 연구 결과들은 스스로 미래를 창조하고 디자인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이 가능함을 웅변한다.



세계의 혁신 현장을 직접 발로 뛴 경영학자가 바라본


교육 격차와 불평등에 대한 교육 솔루션


그가 이 책에서 강력하게 주장하는 것은 이 시대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바로 보는 것이다. 경영학자의 시각으로 유아 및 초중등 교육부터 대학과 기업 교육 영역까지, 한국 교육만이 아닌 미국, 중국, 일본, 영국과 유럽 등 전 세계적 시각에서 교육의 문제를 살폈다. 정의와 불공정 사회를 말하는 마이클 샌델, 경제적 불평등을 이야기하는 토마 피케티, 글로벌 세계를 말하는 토머스 프리드먼이 제기한 문제들에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이라는 유효한 대안으로 답하고 있다. 가능한 일일까? 가능성이 없다면 이 책이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미래 세대가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길과 방법론을 1권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편’과 2권 ‘모두를 위한 21세기 실천 교육 편’을 통해 상세히 나눈다.



1권은 표준화의 함정에 빠진 교육에서 미래세대를 지켜내는 새로운 교육을 말한다. 저자는 디지털 노동자가 언어, 수학, 데이터 분석, 법률 검토, 회계 및 세무 업무 등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데, 문제 푸는 기술을 배우는 대치동 학원에 아이의 시간과 에너지, 가족의 자산을 상당 부분 투자하는 것이 과연 합리적인 판단인지 의문을 제시한다. 시대 변화에 맞춰 개인의 직무, 나아가 직업적 삶이 어떻게 바뀔지 조망하며, 유아 교육에서 대학 교육까지 전반의 영역에 걸쳐 교육이란 무엇인지, 학교란 무엇인지 각각의 고유한 역할 정체성을 묻고 답한다.


이 책은 교육의 의미를 묻고 해답을 찾는 과정을 낱낱이 기록한 만큼 앞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는 사유의 출발선이 되어준다. 한편 현실 세계에서 가능한 교육 경력 설계에 대한 사례를 다양하게 담아 독자들의 효과적인 교육 경력 개발도이 가능하도록 했다. 더불어 교육을 둘러싼 정부-기업-개인의 역할을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으로 명시한다. 자녀의 교육 문제로 고민하는 많은 학부모님과 미래 세대들의 내일을 책임지고 있는 현장의 교육자들, 그리고 교육정책 관계자들과 이러한 문제와 그 무게를 함께 나누길 바란다. 



https://youtu.be/4hKvvNRVvEA




https://m.blog.naver.com/rarrara19/222477961347



 

메리토크라시2

메리토크라시 이영달 행복한 북클럽 미래 사회와 우리의 교육 1. 학교 교육의 새로운 미래 2. 모두를 위한 ...


m.blog.naver.com



#메리토크라시


#이영달 


#행복한북클럽



#미래사회와우리의교육


#미래사회와우리의교육


#학교교육의새로운미래


#모두를위한21세기실천교육



#출판사도서무상증정 


#리뷰어스클럽서평단 


#으나책빵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증정 받았으나 으나책빵의 개인적인 견해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