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홍세화 지음 / 창비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인터넷 채팅에서 어떤 인문학생에게 권유를 받고 처음엔 어려워도 참자고 읽었었다. 나와는 무척 다른 세계의 사람이 자신의 고뇌를 어렵게 쓴 책이라는 생각을 깔고 책을 대했다. 하지만 읽으면서 나의 생각은 달라졌다. 무척 재미있고 쉽고... 그러면서도 프랑스와 우리나라의 모습을 선명하게 비교하면서 자신을 그토록 고통으로 내몬 갈수 없었던 나라 꼬레를 꼬집고 있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앙갚음적인 비판은 아니다. 오히려 우리나라를 너무나 사랑하기에 우리나라 현실에 그토록 아파할 수 있는게 아닐까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이젠 한국에 돌아오셔서 집적 강연으로도 만나뵐 수 있었지만 책이 쓰여질 당시의 모든 나라에는 갈 수 있으나 자신의 모국엔 가지 못했던 슬픔이 잘 다가온다. 프랑스의 똘레랑스가 이 책을 대표한다고 말 할 사람도 있겠지만 난....갈 수 있는 모든 나라, 갈 수 없는 나라 꼬레가 무척 마음에 걸린 책이었다. 우리학교에 오셔서 강연을 하셔서 직접 뵌 그 분은 나의 생각보다도 훨씬 더 다정하고 친근하고 옆집 아저씨 같았다. 그러면서도 깨인분. 현실을 바르게 볼 줄 아는 분으로 보였다. 전태일 평전과 이 책을 함께 읽었는데 분명 우리나라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는데 도움을 줄만한 책일 듯 하다.

그 때(홍새화 선생님이 오셨을 때) 같이 술 한잔 못 나눈게 무척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