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이부리말 아이들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양장본
김중미 지음, 송진헌 그림 / 창비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V 프로그램에서 선정도서가 되면서 웬만한 사람들은 다 듣고 그중 많은 사람들이 읽었을 이 책. 내용이 좋다는 말을 많이 들었지만 난 웬지 이상스럽게 이 책을 읽기를 꺼려했다. 곰곰히 생각해보면 그냥 책읽기가 귀찮아서일수도 있었고 또, 남들이 다 읽는 책 꼭 읽을 필요있나 하는 고집스러움도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왜 사람들이 이 책을 절망속에서 피어나는 희망이라고 말하는지 알 수가 있었다. 어둡고 쾌쾌한 공기가 뒤덮고 있는 음지의 사람들의 삶을 너무나도 절망스럽게 그러나 그것이 너무나 지독한 현실임을 알게 하는 정말 슬픈 사람들의 얘기였다.

그 도시가 인천임이 웬지 더 슬프다. 고양이를 부탁해에서 주인공들은 서울의 바로 옆이지만 그 주류에 속할 수 없는 변두리의 이미지인 인천시민을 그렸다. 그런데 그 변두리 인천에서도 더 변두리인 절망적인 도시의 뒷골목 같은 괭이부리말은... 읽으면서도 정말 여기가 실제인지 믿기 어려울 정도였다. 가난하고 힘든 사람들이 있다지만 우리 삶 한켠에 이 정도로 어려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지 믿고 싶지 않았다. 그 들에게 정말 희망이 찾아올까? 하는 의심이 너무나도 강했다. 가난은 가난대로 부는 부대로 세습이 되는 이 세상에, 가난함, 그것도 아주 밑바닥에 눌린 사람들에게 다른 희망은 찾아오는 것일까? 숙자의 아버지가 죽었을 때는 나도 모르게 분노 같은 것이 치밀어 올랐다. 어째서 현실은, 그렇게 잔혹하게 행복을 빼앗아가는 것인지..

나는 종종 TV에서 어려운 사람들을 만나곤한다. 그리곤 너무 슬퍼 같이 울어준다. 그러나 잠시일 뿐, 난 다시 나의 삶만큼 고통스러운 삶은 없을거라고 내 삶에 대한 슬픔만을 쏟아 놓는다. 난 왜 태어났으며, 왜 살아가는지... 그러나 괭이부리말의 사람들은 그럴틈도 없이 그저 하루벌어 하루 살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그 삶을 뺏아가는 잔인함 앞에서도 절대 약자일 수 밖에 없다.

군대로 가는 남자아이가 우스갯 소리로 '나라가 나에게 해준게 무어야?' 했다는데 정말 나라는 그들에게 무엇을 해주고 있는 걸까? 몇몇 사람만 부자이지 아직 가난한 우리나라이기에 그런건지. 부자들의 배채우기 위한 거름이 되는 것이 더 중요한 건지. 난 갈수록 심해진다는 빈부격차에 겨우 혼자 분노할 수 밖엔 없는 소시민일 뿐이다. 그래도 그들에겐 희망이 찾아온다고 사람들은 말했다. 그런데도 왜 내겐 희망보단 슬픔이 그들에게 더 많이 남아있을 거라 생각 되는지 아직도 수없이 남아있을 힘겨움이 그들을 다시 막다른 길에 몰아 넣는 것은 아닐지 그리고 선생님이 될 사람으로서 난 명희같은 사람이 될 수 있을지 내가 만날 아이들이 그렇게 아픈 아이들이라면 난 어떻게 해줄 수 있을지 다시금, 아픔속에서 반성하고 생각하는게 전부인 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