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어린이표 - 웅진 푸른교실 1, 100쇄 기념 양장본 웅진 푸른교실 1
황선미 글, 권사우 그림 / 웅진주니어 / 1999년 12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 시절은 아니지만 중, 고등학교 시절을 떠올리는 나에게 나도 모르게 나쁜학생과 좋은 학생이 딱 자리잡고 있었다. 난 아마도 좋은 학생이었을 테고 내가 싫어하는 아이들은 나쁜 학생이라는 아주 명확한 생각이 떡하니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날 스스로 좋은 학생이었단 생각엔 그다지 반문을 제기할 친구들은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왜냐면 내 친구들도 좋은 학생이었기 때문에... 이런 어의 없는 듯한 생각이 내 머리에 자리잡게 된 데에는 편견이란 것이 얼마나 자리잡았는지 난 알고 있었다. 하지만 굳이 그 편견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 것은 그 편견이 내 모습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난 언제까지나 좋은 학생이여야 하는 것이다. 난 모범생이고 누구는 날라리 인 것이다. 별거 아닌 말이 길어졌지만, 내가 이 책을 읽고 생각했던 것들이 이런 것이었다.

누군가에 대한 편견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 나쁜 어린이표를 하나 받게 되었을 때 주인공 건우는 그냥 속상하고 부끄러웠지만 그것이 쌓이고 쌓이면서 그아이는 정말 나쁜 어린이가 된다. 엄마는 아들이 좋은데 왜 그러는지 모르겠다고 말하셨지만 선생님에게 그 왜냐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나쁜 어린이표를 많이 받았단 대답을 하면 되는 것이었다. 선생님은 그 스티커를 꼭 그렇게도 많이 준비해 두셔야 했던 것일까? 학교의 일상을 담은 이 이야기는 (아마도) 미래에 교단에 서 있을 내게 하나의 좋은 본보기가 될 듯 했다. 학생이었던 내가 그렇게 생각했듯이 선생님이 되서도 난 아이들을 그렇게 바라볼 것이다. 좋은 아이, 바람직한 아이, 착한 아이 말썽 피우는 아이, 말 안 듣는 아이, 못된 아이. 편견을 갖고 편가르기를 하고.... 누구는 더 예뻐 보이고 누구는 더 못나 보이고...

초등학교 6학년 때, 선생님은 무척 철저하게 아이들을 지도하셨다. 의자를 안 넣고 일어나도 체크, 도시락에 인스턴트 식품이나 잡곡이 아니라도 체크 책이나 준비물을 안 들고 와도 체크. 한 번은 도시락 때문에 선생님한테 맞게 되었을 때 내 잘못도 아닌 엄마의 잘못으로 그렇게 된 거라는 생각에 무척 화가 났었다. 모르고 숙제를 안 해갔을 때도 난 나머지 공부를 하며 무척이나 자존심에 금이 갔던 기억이 있다. 규칙이라는 교사의 편의성으로 말미암아 상처 받는 아이들, 상처까진 아니더라도 교사를 이해하지 못할 권위적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면 그것 만큼 선생님으로서 가슴 아플 일은 없지 않을까? 이 책은 선생님과 아이가 화해를 하며 끝나지만 우리 일상에선 그렇지 못한 채 끝나버릴 때가 많은 것 같아 씁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