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리학자의 인문 여행
이영민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19년 6월
평점 :

장소라는 것은 참 중요하지만 또한 그만큼 당연해서 이를 중요하게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나 장소라는 것은 우리에게 무언가 발생하거나, 또는 무언가 하려 할 때 굉장히 큰 의미를 준다. 이 말은 즉, 무언가 발생하거나 무언가 하려 할 때 그 장소가 어디냐에 따라 그 의미가 많이 달라진다는 뜻이다.
그리고 여행이라는 것은 물론 아무 생각 없이 그저 쉬러 가는 여행도 있을 것이고, 그냥 그곳에 갔다는 것 자체에 큰 의미를 두는 여행도 있겠지만, 여행에서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얼마나 효과가 큰지는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무언가를 알고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것은 그 차이가 생각보다 크기 때문이다. 만약 내가 알아가지 못했다면, 이 책에서 하는 말처럼 어디를 가느냐보다는 어딜 가더라도 그곳을 어떻게 바라볼지 고민함으로써 그 차이를 줄일 수도 있다.

이 책은 지리학자가 장소가 갖는 의미를 조금 더 깊이 연구하고 생각하며 여행을 하는 책이다. 비단 여정을 기록했다고 하기는 조금 가볍다고 생각한다. 여행을 함으로써 그곳에서 어떤 것을 발견하는지, 꼭 유명한 관광지를 가지 않더라도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의 삶에서,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지켜나가는 문화에서도 많은 의미를 찾는 그러한, 에세이보다는 많이 깊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특별한 여행지뿐만 아니라 공항, 열차, 버스 등 꼭 여행을 가지 않더라도 이용할 수 있는 이러한 공간에서도 그 의미를 찾아낸다. 이렇게 의미를 끄집어내면 오랜 시간 이동하는 열차도, 버스도 분명 즐거워지지 않을까. 여행에서의 열차, 버스는 평소와 그 의미가 많이 다르겠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여행하면서도 열차나 버스 등과 같은 교통수단에서는 이동한다는 것과 도착지에 대한 설렘 정도는 찾아볼 수 있겠으나 더 나아간 의미는 좀처럼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인간이 오감을 통해 감지하는 장소의 분위기는 경관, 청관, 후관, 미관, 촉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한다. 내가 어떤 감각으로 이 장소를 담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는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사진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피사체의 어떠한 부분이 어떠한 감각에 가장 크게 감지되었느냐에 따라서 내가 보여주고자 하는 모습과 남들이 보여주고자 하는 모습이 달라질 수가 있는 것이다.
나 역시도 콜롬비아의 보고타를 갔을 때는 그곳에서 먹었던 커피가 정말 맛있고 인상 깊었기 때문에 보고타는 후관으로 담긴 곳이고, 멕시코의 바깔라르를 갔을 때는 태양이 너무 강해 발등에 화상을 입은 적이 있었기 때문에 촉관으로 담긴 곳이 된다.
여행을 떠나려 한다면 가이드북이 아닌, 이 책이 여행에 대한 진정한 마음 준비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미 알고 있는 "아는 만큼 보인다."를 실천하기 위해 역사를 알고 가려 한다면, 이 책을 통해 가려는 곳이 갖는 의미를 알고 가거나, 또는 그곳에 도착해서 그곳이 갖는 의미를 내 스스로 끄집어내본다면 훨씬 뜻깊은 여행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