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디저트 - 전통과 현대를 품은 트렌디 한식 디저트
정운경.김정희.이수연 지음 / 북앤미디어디엔터 / 2022년 7월
평점 :

많은 사람들, 특히 여자들은 "밥 배와 디저트 배는 따로 있다"라는 말이 거의 학계 정설(?)인 것처럼 밥을 잔뜩 먹고도 디저트를 또 맛있게 먹는다. 애석하게도 나는 밥 배와 디저트 배가 따로 있질 않아, 디저트를 위해 밥을 덜먹곤 한다. 밥을 못 먹어도 디저트와 커피는 꼭 먹어야 하는 나로서는 까눌레, 마카롱 등 다양한 디저트를 사 먹곤 한다. 물론 떡이나 약과 같은 우리나라 전통 디저트도 좋아하지만, 이와 같은 디저트들은 접근성이 비교적 좋지 않다. 전문적으로 파는 곳도 없을뿐더러, 마트에서 사 먹자니 너무 달고 느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처럼 한류 문화가 유행하는 만큼 K-팝, K-드라마 등을 이어서 K-디저트를 유행시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전통 한식 디저트를 현대화시켜 와인과도 어울리도록 대중화된 K-디저트를 소개한다. K-디저트의 특징은 책의 표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매우 알록달록하고 정갈하다.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고, 하나를 만들더라도 정성을 다해 예쁘게 만드는 것이 바로 K-디저트인 것이다. 쿠키는 자주 만들어봤지만 우리나라 디저트는 괜스레 어려울 거란 느낌이 들어서 시도해 볼 생각조차 하지 않았는데, 이렇게 현대화된 K-디저트를 소개하는 레시피를 접하게 되면서 세련된 한식 디저트를 만드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재료도 쌀가루, 물엿, 달걀, 우유 등 쿠키를 만드는 재료와 크게 다르지 않을뿐더러, 도구 또한 쿠키 만들 때와 거의 비슷하다. 따로 구입해야 할 것이 있다면 주물틀 정도인데, 꼭 주물틀로 찍지 않아도 충분히 맛있는 디저트를 만들어낼 수 있다. 디저트뿐만 아니라 아카시아꽃 차, 과일 막걸리, 유자에이드 등 디저트와 잘 어울리는 몇 가지 음료 레시피도 제공한다.

50가지 주전부리, 마실거리 레시피 이외에 이 책의 또 다른 포인트는 부록으로 실려있는 와인과 한식 디저트의 페어링이다. 디저트들은 대부분 달콤한 맛이기 때문에 커피와 잘 어울린다. 하지만 한식 디저트는 달콤한 맛뿐만 아니라 상큼한 맛, 그리고 고소한 맛까지 느낄 수 있어서 그만큼 다양한 음료와도 잘 어울리는 디저트이다. 부꾸미와 화이트 와인, 호두강정과 레드 와인의 조화는 손님을 접대할 때 신선하고 독특한 디저트 상차림이 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