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는 기술이고 매도는 예술이다."
누가 처음 한 말인지는 알 수 없으나 매매의 모든 원리가 압축된 명언이다. 실제 투자를 해본 사람들은 다들 공감할 것이다.
어느 정도 공부하고 경험이 쌓이면 저평가 구간 매수는 그나마 익숙해진다. 그러나 매도는 아무리 공부를 늘리고 경험이 쌓여도 감이 안 잡힌다. 소위 ‘타점‘을 못 잡는다. 정확히는 머리 꼭대기에서 파는, 상승 극점에서의 매도 타점은 정말 잡기 어렵다.
당장 팔자니 추가 상승 여력이 있는데 조급하게 파는 것 같아 꺼려지고, 그렇다고 더 보유하자니 괜히 욕심부리는 것 같아 찜찜하고....
나도 상승 극점에서 매도하는 정확한 타점을 잡아내기 위해무진장 애를 썼다. 그러나 몇 년간 온갖 시도를 다 해본 후 그냥포기하는 게 낫다는 결론을 냈다. 몇 번 정도 소 뒷발에 쥐 잡듯우연히 얻어걸린 적은 있지만 우연은 말 그대로 우연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전 투자는 이론과 현실의 괴리를 메우는 과정이라는 점에서중요하다. 4장-09에서 재료의 비유로 설명했듯 항상 들어맞는경제 이론이나 모든 종목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매매 기법은 없다. 그래서 투자 공부는 정답의 가짓수가 정해져 있고 모범 답안이 존재하는 시험공부보다 훨씬 더 어렵다. 많이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실제 투자에 적용해보며 하나씩 학습하는 수밖에 없다. 실전 투자를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와 첫 실전 투자에서 배워야 할 점에 관해서는 2장-04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생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생상품 시장을 공부하면 증권시장도 조금 더 깊게 이해할수 있고, 특히 기술적 분석을 주로 사용하거나 사용할 예정이라면 파생상품 매매 공부가 큰 도움이 되는 건 사실이다. 내가 기술적 분석에 입문했을 때도 관련 책을 여럿 추천받았었다. 그러나 현대의 파생상품 이론은 금융학보다는 응용수학에 가깝다.[36]따라서 파생상품은 금융적인 부분까지 제대로 이해하고 거래하기 위해서는 공부해야 할 분야도 너무 많고 그만큼 책도 많으므로 이공 계열 배경지식이 있는 주린이들을 위해 파생상품 공부에 필요한 추천 교재들만 적겠다. 242쪽의 수학 추천 도서는 다변수미적분·선형대수·미분방정식ODE·PDE·해석학·수리통계·확률미분방정식 순으로 공부하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근본적으로 차트도 재무제표도 각각 추세의 관성‘과 ‘기업가치로의 회귀‘라는 믿음을 공유하는 동일한 신앙공동체 내에서만통용되는 재료다. 이 믿음을 시장이 받아들여 주느냐는 별개의문제고 시장이 해당 믿음에 당위성을 부여할 때만 재료는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을 촉진하는 힘을 갖게 된다. 기법들의 우열을가리거나 투자와 투기로 구분하려 드는 것은 합리적이지도 않고무의미하니 투자의 본질에만 집중하라고 거듭 강조하는 이유다.
차트 매매와 가치투자 둘 다 나름의 장단이 있으니 자신에게 더잘 맞는 방법을 택하면 그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료를 통해 매수 또는 매도 판단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매수세 우위 또는 매도세 우위가 결정된다면 재료가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에 대한 이유인 게 맞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다. 대개 그런 경향을 보이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재료는 방향성이 거의다 정해진 주가의 움직임을 가속하는 촉매지만 방향성 자체의결정 요인은 아니다. 재료가 방향성까지 결정하는 종목들을 테마주라고 부른다. 말 그대로 재료 하나에 가격이 춤을 추는 투기종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