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것은 후세 연구자들이 선호한 분류 방식이고, 당시 로마인들은 이런 분류에 별로 집착하지 않았던 것 같다. 어쨌든 해마다 두 명씩 선출되는 집정관 가운데 한 사람은 평민 출신인 것이 통례였으므로, 이론적으로는 해마다 한 사람씩 새로운 귀족이 탄생한다는 계산이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마의 ‘귀족계급‘ (노빌리타스)은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신분은 아니었다.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파트로네스로서많은 클리엔테스를 거느리고 있는 ‘평민 귀족‘ 도 드물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이것은 후세 연구자들이 선호한 분류 방식이고, 당시 로마인들은 이런 분류에 별로 집착하지 않았던 것 같다. 어쨌든 해마다 두 명씩 선출되는 집정관 가운데 한 사람은 평민 출신인 것이 통례였으므로, 이론적으로는 해마다 한 사람씩 새로운 귀족이 탄생한다는 계산이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마의 ‘귀족계급‘ (노빌리타스)은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신분은 아니었다.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파트로네스로서많은 클리엔테스를 거느리고 있는 ‘평민 귀족‘ 도 드물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