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각본 살인 사건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첫 번째 이야기 ㅣ 백탑파 시리즈 1
김탁환 지음 / 황금가지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추리소설의 형식을 취해서인지 이책을 읽을 때의 몰입도는 대단했습니다. 책에서 손을 뗄 수가 없더군요. 2권의 책을 하루만에 다 보았을 정도입니다.
조선 정조시절 한양에서 연속살인사건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그 살인사건 현장에는 청운몽이라는 매설가(소설가)의 다양한 방각본소설(나무에 글을 새겨 인쇄한 책)이 항상 놓여져 있구요. 청운몽이라는 매설가는 당연히 의금부에서 조사를 받게 되는데 처음에는 완강히 혐의를 부인하다가 어느 시점에 가서는 갑자기 모든 것이 자신이 저지른 범행이라고 인정하고 능지처참을 당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를 비웃기나 하는 듯 다시 같은 수법의 연속살인사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궁지에 몰린 의금부도사 이명방(작중화자)를 돕기 위하여 백탑파의 서생이 나서게 됩니다. 여기서 백탑파란 그 당시 박지원, 박제가 등 실학자들의 모임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당시의 전통적인 유교사상과 폐쇄적인 보수세력에 반기를 들고 실학사상을 주장했던 사람들인 것은 잘 아실 것이구요.
이러한 실학자의 등장에 바로 이책의 작가가 하고 말하고 싶은 내용이 있습니다. 현재의 노무현정권의 등장과 386세대의 본격적인 정계진출 및 그들의 주장을 그 당시 백탑파로 지칭되는 실학자들의 등용 및 그들의 주장에 비교하고자 한 것 같습니다. 작가는 지금까지의 모든 역사소설에서 자신의 정치적인 정치적 견해를 밝혀왔다고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면을 사건의 발생과 범인의 추적에 할애해 버린 탓(그래서 책 읽는 내내 흥미진진하기는 했지만)에 백탑파가 현실의 문제점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견해와 그들의 주장을 통해서 현재의 상황을 비판하고 작가의 생각을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면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저의 이해력이 약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그리고 추리소설의 형식을 취하고 추리소설적인 내용에 상당히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지만 사건의 해결과정인 결말에 있어서의 내용이 추리소설로서도 상당히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책을 본격추리소설로 이해하고 범인이 누구일까? 어떤 트릭이 있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보시는 분들은 상당히 실망하실 듯..
따라서 이책에 대해서 아쉬운 점은 본격적인 추리소설은 아니면서 추리소설로서의 내용에 너무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약화되어버린 점이 아닐까 쉽습니다. 하지만 추리소설이 아닌 일반소설로서 읽어볼 만한 가치는 충분히 있는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책 뒷부분에 있는 작가의 글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글이 있어서 소개해 드립니다.
[이 책은 나와 동년배인 386세대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많이 담긴 작품이다. 초고를 집필할 당시인 2002년 가을과 겨울에는 분위기가 훨씬 밝고 희망에 넘쳤다. 참여정부를 표방한 새로운 대통령의 취임식 때는 이야기를 해피엔드로 끝낼 수도 있겠다고 여겼다. 그러나 2003년 봄. 퇴고를 하는 동안 소설은 점점 어두워만 갔다. ……….…… 특히 정치일선에 나선 386세대의 부침을 접하며 무엇인가 타산지석이 될 만한 문장을 쓰고 싶었다. ……..…… 백탑파가 보수세력의 방해를 뚫고 규장각에 들어가 제 역할을 한 것처럼 386세대 정치인도 초심을 잃지 말고 끝까지 역사적 소임을 다하기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