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신선과 귀신 이야기
임방 지음, 정환국 옮김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조선의 신선과 귀신 이야기' 를 읽으면서 생각난 것은 어릴 적 보았던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배추도사 무우도사의 옛날옛적에' 라는 만화였다. 그 땐 매일 한 편씩 꼬박꼬박 챙겨 보며 옛날 이야기 속에서 웃고 울었었다. 그 뿐이랴. 어릴 적 읽었던 던 동화책들의 대부분은 옛날 이야기가 많았었다. 그러나 언제 부턴가 우리의 옛날 이야기와는 멀어져버렸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고마웠던 것은 잊고 지냈던 내 어릴 적 즐겁게 읽고 보았던 옛 이야기들의 향수를 불러 일으켜 준 것이다.
'조선의 신선과 귀신 이야기' 는 평이하다. 등장 인물에 신선과 귀신이 등장할 뿐 급박한 갈등 구조나 격렬한 사랑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은 이러이러한 일들이 있었다는 정도의 단편들이다. 급박한 갈등 구조도 없고 격렬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지만, 옛날 우리네 삶이라든가 혹은 그 속에 담긴 옛사람들의 생각을 슬며시 볼 수 있는 책이다. 특히 서민들의 입으로 전해져 오는 민담을 담아 놓은 이 이야기들은 구수하고 소박하다. 귀신이 사람같고 신선이 사람같은 느낌. 서양에선 귀신을 '악마', '사탄'으로 규정하여 몹쓸 것, 나쁜 것으로 매도하지만 옛 사람들의 정서 속에서의 귀신은 그런 의미가 아니었다. 귀신이나 신선은 배척하고 몹쓸 것이 아닌 우리네 삶에 녹아 같이 지내는 정겨운 존재이며 은혜를 갚고 악을 응징하는 존재였다. 그런 관점은 이 책의 이야기들을 통해 명확히 나타난다. 혼을 내주는 귀신과 혼나는 사람들, 사람이 죽어 귀신이 되니 그 귀신이 은혜를 갚는다는 내용,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을 이루지 못하여 귀신이 된다는 내용 등은 귀신을 친근한 존재로 여겼던 우리네 옛 사람들의 정서가 뿌리깊게 담겨 있는 것이다.
귀신과 신선에 대한 내용 뿐 아니라 이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것은 서민들의 생활 모습이라든가 생각지 못한 소소한 사랑 이야기를 보며 슬며시 미소를 머금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책 사이사이에 있던 칼라판의 삽화는 내 생각이 미치지 못하는 그 옛날의 생활 모습으로 돌아가게 만들어 주는 것 같았다. 소박한 옛 이야기를 읽고 싶은 사람이라면 한 번 쯤 읽어 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