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티움, 빛의 모자이크
이덕형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비잔티움 문화는 다소 낯설다. 우리에게 소개된 많은 그리스, 로마 문화와는 달리 비잔티움 문화에 관한 소개는 전무후무하다. 따라서 그것을 문화사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비잔티움 문화 공부하기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비잔티움, 빛의 모자이크”는 비잔티움 문화에 목말라하는 사람에겐 단비 같은 존재의 책이다. 문화사나 종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쯤 읽어 봄 직한 책이다.

 


사실, 다른 책들에 비해 문화사에 대한 책의 서평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몰랐던 예술의 역사적 사실들을 읽으면서 그 예술에 깔린 전반적인 사상이나 이념적인 측면, 그리고 그 문화가 태동하는 과정 등을 보면서 그것에 대해 일응 수긍하긴 쉬워도 사실을 바탕으로 한 저자의 서술 내용이나 구성 방식에 비판을 가한다든가 감상을 적기가 곤란했기 때문이다. 자칫 잘못하면 그냥 내용을 요약하는 데 그칠 까봐 서평으로의 역할을 못할 것 같았던 이유도 있었다. 그러기에 이 글은 서평이라기 보다는 책을 읽은 후 감상평이라고 하는 게 좋을 듯 하다. 비잔틴 문화에 대해 하나씩 알아갈 때마다 찬란하고 아름답던 비잔틴 제국의 문화에 흠뻑 매료되어 어떤 비평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비잔티움 문화는 여느 문화가 그렇듯, 그 시대의 사회적 배경에 기인한다. 정치와 종교에 바탕을 두고 태동한 문화이기에 그 근원은 종교적 사상과 그리고 정치적 변동에 의해 문화 역시 쇠락을 거듭했다.  비잔티움 문화 자신만의 고유성과 더불어 지정학적 위치와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의해아프리카, 중동 지역, 소아시아, 시간적으로 그리스와 로마-헬레니즘 예술의 유산을 아우른다. 비잔틴 제국의 흥망성쇄와 문화가 어떻게 전성기를 누렸는지, 다시 암흑기를 거쳐 쇠락을 거듭하는 것을 이 책에서 잘 설명해 주고 있다. 특히나 책 속에 삽입 되어 있는 사진을 통해 본 이콘으로 형상화 되는 종교화와 교회 건축물들은 책의 이해를 돕는데 좋은 자료였다. 전체적인 역사적 이야기와 왜 그런 문화가 태동했는지 차근차근 설명해 놓고 있어 비잔티움 문화를 이해하기 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