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편력하는 두 기사 이야기
베쓰야쿠 미노루 지음, 송선호 옮김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도 죽이고 싶어서 죽이는 게 아니야"

"그럼, 왜 죽이는 거죠?"

"죽이지 않으면 죽게 되니까"

 

 

 솔직히 말하자면 이 책은 어려웠습니다. 희곡이란 극의 특성 때문인 것도 있지만,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정확히 무엇인지 파악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제가 선과 악이라는 대립 구도만 생각했기 때문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에서는 선과 악의 대립 개념이 없습니다. 살인을 하는 이유도 누군가가 나빠서 죽이는 것이 아닙니다.  그저 "내가 죽이지 않으면 내가 죽게 된다"는 생각으로 두 기사가 다른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갑니다. 그들은 '돈 키호테로부터' 라는 작품의 부제처럼 세상을 심판하려는 현대판 '돈 키호테'와 같은 기사들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돈 키호테'와 같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돈 키호테'처럼 정의로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살기 위해 타인을 죽여야 한다는 믿음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타인을 죽여야 내가 산다는 그들의 모습은, 어쩌면 '약육강식'의 세계에 살고 있는 우리네 모습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타인이 죽어야 내가 산다는 극단적인 생각들. 같이 공생해도 되지만 그 두 기사의 머릿 속엔 그 생각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작가는 엉뚱한 두 기사와 그들의 종을 등장시켜 현대 사회의 부조리한 모습들을 염두에 두고 극을 전개 시켜나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더불어 작품에 등장하는 다른 인물 역시 현대의 부조리한 면을 부각시킵니다. 병든 이를 고쳐줘야 하는 '의사', 타인을 위해 기도하는 '목사'. 그들은 선한 행위를 상징하는 인물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자신이 치료해주고 기도해주기 위해 사람들이 아프거나 죽기를 바라는 어이없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그들에게 아픈 이가 없고 기도해 줄 사람이 없다면 그들의 존재 자체가 무색해지겠죠. 작가는 그런 그들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와 신의 대변인인 성직자의 타락한 모습을 보여주며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인 비윤리적이고 부조리한 모습을 꼬집어냅니다.

 

 

 

"하지만 우린 살아 있어"

"어쩔 수 없지"

"언제까지지?"

"저 쪽에서 올 때 까지..."

"뭐가?"

"우릴 죽여줄 상대가"

"올까?"

"기다리는 거지"

 

 

 

 하지만 그들은 기다립니다. 자신들이 살기 위해 누군가를 죽여놓고 자신들을 죽여줄 누군가를 기다립니다. 참 모순되어 보입니다. 강자가 되기 위해 타인을 죽여 놓고 자기를 죽일 누군가를 기다린다는 것이.. 약육 강식의 현실을 비꼰 것이라면 남을 짓밟고 끊임없는 경쟁을 하지만 결국 그 뒤에 오는 피곤한 현대인의 모습 같습니다.  나약한 현대인의 모습. 구원자를 기다리는 희망에 가득찬 모습이 아니라 자신을 죽여줄 누군가를 기다리는 슬픔으로 가득찬 기다림 같아 보입니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현대 사회를 냉소적으로 보며 경쟁을 일삼고 강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현대인들을 냉소적으로 꼬집은 작품이라 생각했고 그에 바탕해 서평을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