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인을 기다리며
존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들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09/02/03]

다음은 <야만을 기다리며>의 말미(273-274)에 있는 "옮긴이의 말"의 일부다.

ㅡ 그렇다면 왜, 치안판사(*소설 주인공)나 쿳시(*작가)는 그들에게 득이 될 것이 없는 질문을 하고 거기에 대한 답을 찾으려 하는 것일까? 이 질문을 쿳시 자신의 말로 옮겨보면 이렇다. "사람은 왜 그렇게 하는 것이 자신의 물질적 이익에 부합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의의 편에 서려고 하는가?" "나는 왜 진실이 내 이익에 부합되지 않는데 내 자신에 대한 진실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전자는 죨 대령(*치안판사와 대립하는 인물)의 편에 서서 자신이 늘 해온 직무를 수행하면 여생을 편히 살 텐데, 그걸 마다하고 온갖 고초를 자진해서 겪은 후 자기고백적인, 아니 자기고백적이어서 자신에게 더욱 득이 될 것이 없는 얘기를 하는 치안판사를 향해 쿳시가 던지는 질문이고, 후자는 톨스토이, 루소, 도스또엡스키에 관한 에세이에서, 자신에게 득이 될 것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백에 관한 문제를 반추하고 또 반추하는 자신을 향해 쿳시가 던지는 질문이다. 그에 따르면, 전자에 대한 답은 "우리가 정의에 대한 개념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이고, 후자에 대한 답은 "우리가 진실에 대한 개념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이다. 두 질문에 대한 쿳시의 '플라토닉한' 답변은 왜, 쿳시의 소설의 주인공들이 끊임없이 자신의 내면을 파고들면서 때로는 자멸에 가까운 고백을 하는지, 그리고 왜, 쿳시가 그러한 내러티브에 매달리면서 자신의 고뇌를 투영하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정의나 진실에 대한 개념을 갖고 태어났기 때문에 자신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는 행위를 할 수 있다는 쿳시의 말은 궁극적으로 글쓰기가 윤리적인 것일 수밖에 없음을 잘 말해준다.

부커상 수상작인 <추락>을 심사했던 보이드 톤킨(Boyd Tonkin)은 <추락>에 대해 "아이스 피켈(ice-axe)로 얻어맞은 느낌을 받았었다"라고 표현했다. 과연, 나는 아이스 피켈이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도 몰랐으나 <추락>을 읽고나서 그 느낌이 어떤 건지 짐작할 수 있었다. 이 느낌만 가지고 비교해 봤을 때, <야만인을 기다리며>는 조금 그 세기가 약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초반부만 해도 대단히 유사한 느낌이었으나 중반으로 갈수록 그 느낌은 확실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그 틈을 타고 대단히 오묘한 느낌이 발생했으니 그것은 유머였다. 하지만 단순히 유머라고 표현해버리면 내 느낌이 왜곡되어버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풍자나 아이러니나 조소라고 할 수도 없는 것이다. 이를테면 정색과 광기가 공존하는 유머랄까. 다음은 그것이 절정을 발하는 부분이다.

ㅡ 이번에는 다음 것에 무슨 말이 쓰여 있는지 봅시다. 아, 단어 하나만이 달랑 쓰여 있구먼, 야만인들의 말로 전쟁이라는 말이오. 그런데 이 단어에는 다른 의미들도 있소. 그건 복수를 의미하기도 하고, 이렇게 위아래를 뒤집어 읽으면 정의라는 말이 되기도 하오. 어느 것을 의미했는지 알 길은 없소. 그게 야만인들이 교활한 이유요. 그건 다른 나뭇조각들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말이오. (190)

소설 맥락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사실 이런 발췌 구절은 아무런 힘이 없다. 이 부분이 어떻게 절정이 될 수 있는지는 소설을 읽어보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을 듯하다. 그러거나 말거나 많지 않은 분량의 소설임에도 읽는 일은 쉽지 않았다. 이 글의 초반에 발췌한, 소설에서 보여지는 '윤리(혹은 진실이나 정의)'가 어둠 속에 갇혀 있는 우리네 심연을 밝혀주기 (밝혀보려 애쓰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평론가 신형철은 <몰락의 에티카>에서 자신만의 에티카(윤리학)를 말하며 문학이 종언하지 않았음을(종언할 수 없음을) 말하고자 하지만, 실은 윤리라는 것은 몰락했건 아니건 우리가 태어나면서부터 지니고 있는 바로 그것이다. 어떤 소설이 문학이 될 수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잠시 망각했거나 자연스럽게 모른 척했던 어떤 '윤리(윤리 시간에 배우는 윤리 말고)'를, 고스라니 드러내보여주기 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스스로에게 한 번쯤 해봄직한 질문.

ㅡ 소설을 읽는 이유는 단순히 교양이나 오락을 위한 것만이 아니다.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 겪을 수 있는 경험은 한정되어 있고, 더군다나 극한적인 상황을 경험하는 일은 더욱 드물 것이다. 소설은 그러한 우리의 인생에 예고 없이 침입하는 일종의 이물(異物)이다. 그것을 그냥 배제해버리고 말 것인지 아니면 잘 다듬어서 진짜와 같은 하나의 경험으로 만들 것인지는 독자의 태도 여하에 달려 있다. (히라노 게이치로, <책을 읽는 방법> 中)

내가 만약 치안판사와 같은 상황에 처해있다면 나는 어떤 선택을 했을까. 그처럼 말하고 행동할 수 있었을까. 내 성정에, 그저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는 심정으로 살아가지 않았을까. 어쨌거나 새삼, "한 나라가 위대한 작가를 갖는다는 것은 또 하나의 정부를 갖는 것과 같다"는 러시아 작가 솔제니찐의 말이 와 닿는다. 우리나라엔 언제쯤 위대한 작가가 탄생할까. (결론이 뭐 이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2-17 09: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2-17 2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