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 당연의 세계 낯설게 보기
정수복 지음 / 생각의나무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한국 문화적 문법, 중독의 꽃>

p.107

* 한국의 문화적 문법

- 근본적 문법 : 현세적 물질주의, 감정우선주의, 가족주의, 연고주의, 권위주의, 갈등회피주의

- 생적 문법 : 감성적 민족주의, 국가중심주의, 속도지상주의, 근거없는 관주의, 수단방법 중심주의, 이중규범주의

 


우리는
?  

관습, 개인/기업/국가의 특정 이념으로 인한 불평등을 스스로 자기성찰을 통해 비평하는 력을 발휘하지 못하는가?

p.175

수단방법 중심주의는 한국인의 한 성찰성과 반성찰 주의와 연결되어 있다.

자신의 삶을 리적, 도덕적, 인문학적으로 들여다보는 능력인 '성찰성'의 부족은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를

심화시키다.  수단방법 중심주의는 삶의 의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가로막는다. 그래서 유행에 을 갈아입고, 리색깔만 

색하는 표피적인 변신만 계속할 삶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진정한 자기 변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 2005 말의 우석 사건은 수단방법 중심주의의 단적이 보기이다

- 윤리를 시하는 과학기술 "강한 자들의 력을 정당화하고 약육강식의 법칙을 가르치는 일"_박충구, 2006

 

 

p.332

대한민국의 모습은, 무교-유교의 결체로 심층의 무교-유교 결합체라는 전근대성(현세중심적 조화론)과 표층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서구적 근대성이 서로 갈리며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 유교중심론 -> 종교혼합

- "한국인은 서구적 하드웨어와 유교적 소프트웨어로 작동한다"_Steinberg, 1997 / 서구 언론인

- 한국적 특성 : 무교 + 유교 + 기독교 + 사회주의(3.1운동 이후 ,중,일본 통해 유입)

     -> 생산력 진을 통해 물질적 행복을 추구하는 이데올로기로 머

 

 



지금 대한민국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 

느끼는가?  

예민하지 않은 사람도 스스로 느끼지 못하더라도 내 주변의 사람들이, 내 주변의 사람들의 가족이 죽어가는 것을  보면서 알게 되었으리라...

바이러스의 실체를 알고 그것을 고쳐야 하는데, 명확한 대책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

뭘~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그 답에 가까이 다가가고 싶어 책을 펼치고 또 펼쳐본다. 몇번을 읽어내려간다.

 

* 우리가 산해야 할 과거는?

- 한국의 문화적 문법 그 모든 것

- 일제식민지 재, 개발독재시대의 잘못된 관행의 청산

- 더 은 층에 재하는 유교적 잔재의 청산

 


* 한국의 문화적 문법과 변화를 위한 사회운동


P.471

* 문화적 문법을 고치어려운 이유

1. '문법'을 객관화시키는 쉽지 때문

2. 대부분의 사람가족주의와 고주의 문화적 문법의 '수혜자'이기 때문

3. 도덕적 불편함느끼기 때문

4. 그릇된 우월감찰의 장애물

5. 감상적 족주의가 성찰의 장애요인으로 작용

6. '소비자본주의'가 화되기 때문

7. 일상적 사용 어속에 '권위주의' 비롯한 문화적 문법의 요소들이 장되어 기 때문

8. 과거의 잘못된 의식개혁운동들 : 가의 강요가 아니라 시민사회 에서 자발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일반 국민에 서 

         한국의 '지도층'에 속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먼저 일어나야 한

9. 한국사회의 화를 추구하는 진보세력 내의 '치경제 중심주의'가 문화적 문법을 비판의 대상으로 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

10.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으로 제시된 요소들이 '한국인만이 가진 수한 문법'이 아니라 인류 보편적인 문법이라고 주장하는 

         변호의 논리 때문

 

 

P.483

* 한국의 문화적 문법, 어떻게 고쳐나가야 할 인가?

1. 권위주의, 연고주의, 등회피주의 를 우선 성

2. 세적 물질주의, 가족주의, 감정우선주의에 대한 문제제

3. 수단방법 중심주의, 이중규범주의 고치기

4. 감상적 민족주의, 국가중심주의에 대한 문제제기

 

 

P.532

* 문화적 문법의 변화를 위한 영역별

1. 종교 : 한국의 불교, 기독교 등의 종교기관이 스로 어떻게 갱신할 수 있느

2. 가족관계의 민주화 : 자유로운 의사소

3. 교교실의 민주화 : 교과서, 교육내용의 변화, 스승(교장,교사,학생간-상급생.하급생.학생.학생-)간 수평적 관

4. 대중매체의 공성 강화 : 로그램 생산자와 수용자 양쪽 모두의 변화 요, 매체 내부의 권력구조의 민주

5. 대학과 인문사회과학의 역할 : 인문사회과학적 교양 강화는 문화적 문법을 바꾸기 위한 지적자

6. 문학과 예술의 역

    - 모든 예술은 현실을 월할 수 있는 을 부여할 때 진정한 예술이 된다

    - 경제적 요와 정치적 자유를 기반으로 한국의 문화예술은 인간과 인간의관계, 인간과 사회의 관계, 의 양식

       공동체의 목표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7. 종교개혁과 종교단체의 민주화

     - 한국의 불교, 기독교가 가진 권위주의, 세속적 물질주의, 이기적 가족주의, 연고주의를 어나 자체개혁을 통해 

        보편적인 정의와 사랑을 가르치는 종교로 거듭나야 한다

    - 종교조직체계의 권위주의적 성격을 여적이고 민주적인 구조로 개

    - 경전의 시지를 현실에 비추어 주체적으로 해석하는 작업 진행(지금을 사는 우리들에게 삶의 기준을 분명한 언어로 제시)

 

 

의 메시지로 추천사를 대신한다. 

그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어보아야 한다.

대한민국에서 어나지 않았더라도, 대한민국에서 지 않더라도, 살고싶지 않아 이민을 준비하더라

그대, 우리라고 하는 스스로를 고자 한다면, 이 의 1장과 지막장에 접근하기를 리지 말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