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1 코기토 총서 : 세계 사상의 고전 1
장자 지음, 이강수.이권 옮김 / 길(도서출판)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자에 관한 책들은 무척 많다. "노자가 압축적이고 시적이라면, 장자는 유장하고 산문적이다." 노자와 장자를 흔히 이렇게 대별해 평가한다. 하지만 이 말은 어폐가 있다. 역설의 구라쟁이 장자, 그 명성을 익히 알려진 바다. 동서양 고전을 통틀어 장자만큼 흥미진진한 구라쟁이는 드물다. 그에 필적할 만한 인간을 꼽으라면 라블레 정도가 있지 않다 싶을 정도다. 하지만 장자라는 인물, 아니 장자라는 책이 보여주는 세계는 서양 근대 초입의 라블레 정도가 아니다. 우주적인 상상력의 근원에는 다양한 빛깔의 어둠이 들어 있다. 혼돈에 관한 일화를 드는 것만으로도 그 다양한 빛깔의 어둠이 빚어내는 황홀경에 취하기에 충분하리라. 그동안 장자의 한글번역은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그 중 부동의 권위를 자랑했왔던 것이 바로 현암사판 장자였다. 안동림 교수가 번역한 현암사판 장자는 그러나, 눈을 피로하게 한다. 읽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다닥다닥 원문과 번역문이 줄지어 나오는 책의 면면은 휴식을 허락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에 길에 출간된 이강수, 이권 선생이 같이 번역한 길판 장자는 시원하다. 장자의 시원한 사유에 걸맞게 편집도 시원하게 했다. 그리고 책값의 문제가 걸리긴 하지만, 장자의 내편, 외편, 잡편을 각각 따로 책을 내려고 한다. 그 첫번째 책 장자 내편으로 미루어보건대, 읽는이를 고려한 편집에서 단연 다른 판본보다 훌륭한 가독성을 보이지 않을까 싶다. 편집상의 맛이야 그렇다치고, 그렇다면 번역의 상태는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 이 문제 역시 걱정할 것이 못된다. 이 책은 노자와 장자 철학연구로 30여 년의 세월을 보낸 연세대 이강수 교수와 그의 제자 이권 선생이 함께 번역했다는 점에서 신뢰감에도 의문의 여지가 없다. 믿을 만하다. 우리는 결정본이라는 개념이 무척이나 약하다. 오늘날 일본의 학문적 발전은 번역을 통해 이루어졌다. 만약 우리나라처럼 정본의 개념이 없었다면 그들은 딛고 일어설 발판을 만들지 못해 오늘날과 같은 학술적 발전을 거두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게에도 뛰어난 번역에 후한 점수를 주고, 그것을 우리 자신의 유산으로 수용하는 당당함이 있어야 한다. 서양 고전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가 수천년 동안 함께 문화적 자양분을 나누어왔던 동양고전에서도 그런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본보기이지 싶다. 현대적 감각에 맞게 편집하되, 내용의 치밀함과 정확도는 고전적인 기준을 그대로 따른다. 물론 새로운 연구성과의 반영도 있다. 앞으로 잇따라 소개될 장자의 외편과 잡편에도 기대감을 갖는다. 부드러운 상아빛 표지에 원문과 번역문 그리고 주해를 부담없이 볼 수 있도록 시원하게 편집한 의도가 단순한 편집 기술 이상인 것처럼 보인다. '형식은 그 운명을 결정한다.' 불현듯 이렇게 말한 한 리얼리스트의 말이 떠오른다. 책값이 부담되지만 구해둘 만한 책이란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벤저민 엘먼 지음, 양휘웅 옮김 / 예문서원 / 2004년 9월
평점 :
절판


중국 청나라의 학풍은 매우 치밀하고 정교하다. 강희, 건륭, 옹정제 등의 뛰어난 군주들이 청나라의 문화를 화려하게 가꾸었다. 중화주의가 무서운 것은 그것을 거부하는 자들을 닮게 한다는 데 있는 것이다. 사실 싸움꾼은 자신의 적을 닮아가기 마련이다. 청나라는 오랑캐가 세운 나라였지만, 한족이 하지 못했던 많은 일들을 했다. 그중 하나가 성리학의 철옹성을 허물어뜨린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도 주먹구구식으로 난폭하게 처부순 것이 아니라 아주 주도면밀하고 계획적으로 반성과 비판을 통해 허물어뜨렸다. 그것을 수행하는 최고의 수단이 바로 고증학이었다. 유학사를 통해 아무 반성없이 전수되어왔던 그릇된 지식(경전의 권위에서 나온 거짓 신화들)이 청대 말엽에 활동했던 고증학자들의 손에서 그 진위가 가려진 경우가 무척 많다. 이 책은 미국 중국학자인 벤저민 엘먼의 박사학위 논문을 단행본으로 묶은 것이다. 유학 공부자들에게는 거의 필독서로 꼽히는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이 번역되었다는 사실이 매우 반갑다. 서구 학계의 중국학(동아시아학)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에 모자람이 없는 작품이다. 이 책은 우리의 사상사와도 무관하지 않은 흐름을 짚어준다. 추사 김정희의 존재가 아로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청대 강남 지역의 학자들이 얼마나 행복한 환경에서 고증학을 꽃피웠는지 잘 나타나 있다. 역설적인 것은 고증학이 그렇게 허물어뜨리려 했던 유학의 신화를 뒤흔들자 청나라마저 갈피를 못잡고 흔들리게 됐다는 사실이다. 의식의 지배관계, 권력관계(그람시의 용어로 하면 헤게모니)가 얼마나 위협적인가를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사방의 잡다한 사상을 빨아들여 성장한 한족이데올로기의 극복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던 것이다. 유학의 해체를 불러왔던 고증학은 사실은 유학의 깊이를 구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청에서 비롯된 것이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강남 지역의 학자 집단이 보여줬던 역동성, 그리고 그들의 활동을 정책적으로 지원했던 청나라 조정, 그리고 또 그들이 맘껏 정보를 교환할 매체를 제공해주었던 인쇄출판문화 등의 당대 환경이 잘 묘사되어 있는 책이다. 중국은 한족의 나라가 아니라 중국 인민들의 나라다. 고증학의 역설적인 운명을 생각하면서 역사의 흐름은 인위적인 노력으로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한다. 그렇다고 운명론적인 관점으로 손을 놓고 있을 것도 아니겠지만 말이다. 아무튼 이 책은 한국유학사와 나란히 봐야 할 중요한 흐름의 집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