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대한 모든 것 1
제인 호킹 지음, 강형심 옮김 / 씽크뱅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호킹 박사에 대해서는 루게릭 병에 걸린 천재 물리학자로만 알고 있었다. 거동이 불편해서 휠체어에 몸을 의지하고 목소리를 내지 못해 컴퓨터로만 대화할 수 있다는 정도. 범인인 나는 그의 물리학적 업적에 대해 새까맣게 무지하다. 하물며 나는 그가 처음부터 몸을 움직이지 못했을 거라고 매우 섣부르게 단정짓기도 했다. 그래서 그도 건강했던 시절이 있었고 결혼도 했으면 아이도 낳았다는 걸 알았을 때 나는 괜시리 미안해졌다. 나는 책보다 영화 개봉 소식을 먼저 들었다. 예고편 에디 레드메인의 연기를 짧게 보았는데도 감탄이 나와 영화가 무척 기대가 되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내가 사는 지방에서는 상영관이 그리 많지 않았고 그마저도 대형 영화에 밀려 취소가 되어 영화를 놓치고 말았다. 사실 책을 보기 전에 영화 먼저 보려 했었는데 그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어쩌면 잘된 일인지도 모른다. 책을 먼저 읽는 게 더 나을지도 모른다, 라고 스스로 위로했다. 책을 다 읽으면 영화를 찾아서 볼 참이다.

  이 책은 스티븐 호킹과 25년 넘게 결혼 생활을 하다 이혼한 제인 호킹의 회고록이다. 그의 병을 받아 들여 결혼까지 했다는 건 굉장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을거라 사료된다. 그런데 어떠한 이유로 이 둘은 헤어져야만 했을까. 책을 받기 전에 나는 스포일러를 찾았다. 스티븐과 제인을 검색해서 결혼의 말로, 기사와 스캔들로 점철된 파경을 지켜봤다. 나는 이미 해피엔딩이 아닌 걸 알면서도 이 책을 읽고 싶었던 건 나 역시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나는 지독한 불신자로서 스스로도 믿지 못하기 때문에 사랑은 영원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의 노부부처럼 죽을 때까지 해로하는 사랑을 꿈꾸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사랑은 매우 드문 일. 사랑이라는 영원한 수수께끼를 풀 수 없었던 두 천재의 고뇌를 엿볼 수만 있다면 그들같은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

  몸이 불편한 이의 사랑은 참으로 지질하다. 자신의 약점으로 상대가 떠날까봐 끊임없이 눈치를 보며 언제나 상대가 떠날 걸 대비해서 방어적으로 군다. 혹여 다른 이유로 이별을 해도 핑계는 항상 자신의 약점이 된다. 뛰어난 천재인 스티븐은 어쩌면 치명적인 약점이 되어버린 자신의 병을 어떻게 받아들이게 되었는지 궁금하다. 내가 그였다면 아무리 사랑하는 여자가 있다고 해도 선뜻 결혼까지 하지는 못했을 것 같다."스티븐은 고향에서 나를 다시 보자 기뻐했다. 나는 스티븐이 우리의 관계를 좀 더 긍정적인 시각에서 보고 있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아마도 그는 모든 희망이 사라진 것은 아니며, 미래가 자신이 두려워하는 만큼 최악으로 치달을 필요는 없을 것 이라고 마음을 굳혔는지도 모른다."(p.65) 나는 불안했던 스티븐의 마음과 절망이 어떨지 궁금했는데 그저 그의 표정과 말투로 매우 짧게 묘사되어 있다. 이렇게 제인은 스티븐과의 첫만남과 데이트 그리고 결혼까지 아주 담담한 어조로 증언하고 있다. 일부러 과거의 자신과 감정을 떨어트려 이야기하는 듯 매우 건조해서 스티븐과 제인이 열렬히 사랑하는 느낌마저 들지 않았다. 또한 책을 읽으며 제인의 고뇌, 슬픔 등 내적인 갈등이 그리 크게 나와 있지 않은게 매우 아쉬웠다. 화자의 심리상태가 글에 크게 반영되지 않고 그저 역사를 줄줄이 이야기하고 간단하게 감회를 서술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우리 모두가 죽음으로 향해 달려가고 있다고 하더라도 죽음의 징후에 매우 가까운 이와 결혼 하겠다고 하는 건 가족들의 허락을 구하기 어렵고 스스로도 정말 큰 결심과 결단을 내려야 했을텐데 아무런 갈등 없이 만나고 결혼으로 바로 직행하는 느낌이 들어 의아했다. 그녀 집안이 독실한 신앙을 갖고 있어서 가능했던 걸까. 나는 종교가 없고 이기적인 인간이기에 모든 이를 사랑해야하고 이해해야하는 그런 인류애가 이질적이다.

  또 한가지 궁금했던 점은 나는 몇년 전 일도 가물가물하고 시간순서도 뒤죽박죽인데 어떻게 이렇게 그때 일을 누군가가 말한 내용이나 날씨 등을 무리 없이 말 할 수 있는가이다. 따로 특별히 일기를 쓰거나 해서 기록하지 않는다면 사람은 감정과 기억은 점차 희미해진다고 생각한다. 내가 앞서 지적한 매우 건조한 문장들은 기억을 떠올리는데 급급해서-사진이나 일기등으로 기억을 떠올리는데 문제가 없었다면- 오래 전 감정은 이미 시들어 사라진지 오래라 당시에는 무수히 아름다운 비유로라도 채울 수 없는 벅찬 감정이 돌이켜 글을 쓸 때는 그저 "그를 사랑하게 되었다."라는 짧은 문장이 된 건 아닐지 싶다. 그게 아니라면 제인은 사랑이라는 감정에 빠져 눈이 멀지 말고 그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라는 깨우침을 우리에게 주고 싶어서 그런걸까. 어쨌든 사랑의 과정이 와닿지 않은데 앞으로의 헤어짐에 눈물을 흘릴 수 있을지 모르겠다.

  자신의 커리어를 포기하고 육아와 집안일, 여기에 스티븐의 뒷바라지까지. 이런 선택을 한 자신이 원망스럽고 스티븐이 밉고 짜증나고 절망적이어서 모든 걸 벗어던지고 도망치고 싶었던 적은 없었을까. 나는 제인이 그런 마음이 들었다고 해서 뭐라할 사람은 그 누구도 없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아직 그들의 갈등이 표면에 드러나기 전인 1권의 내용만 읽어서인지 제인이 그 시절을 포장하고 싶어한다는 생각이 든다.  각각 다른 사람이 삶에 들어오고 둘은 이별을 한 걸로 알고 있는데 그렇게되기까지 매우 인간적인 면모가 2권에서 나오길 바란다. 아직 클라이맥스가 나오지 않아서 앞으로의 전개가 궁금하면서도 염려된다. 아- 우리는 어떠한 감정을 나눴던 간에 궁극적으로 모두 이별하게 되어 있다. 나는 자주 그 생각을 하며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 잘하려고 노력한다. 우리의 마지막은 어찌됐든 슬픔이겠지만 조금이나마 아름답게 기억되길 위해서. 마음이 하루종일 아프다, 이런 생각이 드는 날에는.

Copyright ⓒ 성난토끼 & 팔미호羊 All rights Reserve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