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책 읽어드립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서평이벤트 #햄릿 #스타북스 #스타북스햄릿
.
✔️셰익스피어의 글을 제대로 읽은 적이 없다. 어렸을 때 몇장 읽으면 희곡체가 너무 장황하고 지루해서 금세 책장을 덮었다. 그런데 얼마 전 ‘책 읽어드립니다’라는 방송에서 ‘햄릿’을 다뤘는데 그 내용이 재미있어 꼭 한번 읽어보고 싶어졌다. 이 책의 표지는 존 에보릿 밀레의 ‘오필리아’다. 내가 예전부터 좋아하는 작품이라 다른 많은 ‘햄릿’ 번역서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개중 눈길이 갔다.
_
덴마크의 왕자인 햄릿은 아버지가 돌아가시자마자 왕의 자리를 차지한 숙부와 남편의 동생과 재혼하려는 어머니에 대해 분노한다. 햄릿은 선왕의 죽음이 숙부가 꾸민 독살이란 사실을 알게 되며 복수를 다짐한다. 허나 뚜렷하고 명쾌한 계획보다는 실성한 척하며 남들의 폐부를 찌르는 독설만 하고 돌아다닌다. 그러다 연인이었던 오필리아의 아버지를 실수로 죽인다. 이에 오필리아는 햄릿과 다르게 진짜로 미쳐버리고 결국 물에 빠져 익사하고 만다. 아버지와 여동생이 햄릿으로 인해 모두 죽었다는 걸 안 레어티즈는 지금의 왕과 햄릿을 죽이기로 공모한다. 그러다 결국 이해당사자들이 다 죽는 결말로 끝이 난다.
_
희곡이라 마음 속으로 대사를 연기하듯 읽었더니 꽤 재밌었다. 셰익스피어의 삶과 인간에 대한 통찰을 그대로 느끼려면 영문으로 읽으라고 하던데 나는 영어가 짧아 그러지 못해 좀 아쉽다. 번역되는 과정에서 평면적이고 단순화 되지 않았나 싶게 대사가 단조로왔다. 그럼에도 글에서 고개를 끄덕이는 부분이 많았다. 햄릿이 진짜 미쳤는가, 아닌가 설왕설래 한다던데 내가 읽기에는 자기가 어찌할 수 없는 상황에 그저 미친 척하는 듯 보인다. 하지만 읽으면서 이해되지 않았던 건 아무리 미친 척이지만 오필리아의 아버지 폴로니어스에게 그토록 무례하게 굴었냐는 거다. 자신을 사랑의 반대에 정신이 나간 거라고 주위 사람들이 여겨 눈을 돌리고 싶어서일까. 나는 책을 읽으면서 제일 속상했던 건 아들과 딸을 끔직이 아끼고 보살피려던 폴로니어스와 그 아들딸이 햄릿 가家의 복수극에 얽혀 다 죽었다는 점이다. 그들은 아무런 잘못이 없었는데 너무 불쌍하다.
_
선왕의 망령이 진정 아버지였을까?? 책을 다 읽은 지금은 햄릿의 귓가에 복수를 속삭였던 그는 악마가 아니었을까라는 탄식이 나온다. 아니지, 아들인 햄릿이 모든 진실을 토해낼 수 없게 눈은 가리고 정조마저 없던 백치인 왕비의 잘못인가. 아니지, 햄릿의 아버지가 가졌던 모든 것을 빼앗은 숙부의 탐욕이 모든 일의 원흉이겠지. 인생사 참으로 복잡하고 다난하다. 햄릿을 보면 사춘기 시절 내가 생각난다. 나도 세상 모든 것들, 나조차도 추하고 역겹다 여기며 죽음을 바랐으나 그 뒤 미지의 세계가 두려워 지금껏 살아왔다. 지금은 햄릿의 그 청년의 결벽이 시간의 힘으로 조금씩 무뎌진다는 걸 깨달았다. 햄릿이 조금만 더 인생의 풍파를 겪었다면 사랑하는 오필리아에게 창녀 운운하며 어머니에 대한 분노를 전가하지 않고 좀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었을텐데 안타깝다.
_
다른 출판사에서 나온 ‘햄릿’은 각주나 해제가 실려있다는데 이 책은 그렇지 않은 점이 좀 아쉬웠다. 하지만 이 편이 상상을 확장할 수 있다는 다른 면도 있겠다. 마지막으로 좋아하는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햄릿으로 분한 연극이 있다는데 찾아 봐야겠다. 그 후에는 그 실존의 고뇌와 슬픔은 이해하지만서도 책을 읽는 내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이랬다저랬다 조금은 한심했던 햄릿에 대한 인상이 달라질 수 있을런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