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쳐야 미친다 -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정민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책의 제목을 처음 보았을 때 무슨 자기 계발서 같은 책인 줄 알았다.
책의 제목에서 내가 처음 느꼈던 감정은 불쾌함과 경멸감이었다.
의미 없는 토톨로지(tautology)를 남용한, 돈 좀 벌어볼까하는, 사람들 눈에 좀 띄어 볼까하는, 도발적이고도 노골적인 제목 짓기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스치듯 힐끗 본 지은이의 이름이 '정민'이다.
어?
내가 아는(물론 개인적인 친분은 전혀 없다) 그 정민 선생인가 싶어 저자 약력을 보니. 맞다. 
그 정민 선생이다. 
그래서 읽었다.  

미쳐야 미친다(不狂不及)


세상은 만만하지 않다. 그저 하고 대충 해서 이룰 수 있는 일은 어디에도 없다. 그렇게 하다 혹 운이 좋아 작은 성취를 이룬다 해도 결코 오래가지 않는다. 노력이 따르지 않은 한때의 행운은 복권 당첨처럼 오히려 그의 인생을 망치기도 한다.

불광불급(不狂不及)이라 했다.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는 말이다. 남이 미치지 못할 경지에 도달하려면 미치지 않고는 안 된다. 미쳐야 미친다. 미치려면(及) 미쳐라(狂). 지켜보는 이에겐 광기로 비칠 만큼 정신의 뼈대를 하얗게 세우고, 미친 듯이 몰두하지 않는 결코 남들보다 우뚝한 보람을 나타낼 수가 없다.


불광불급(不狂不及)이란 말이 좋아 옮겨 쓰고 보니, 손톱 밑에 박힌 가시처럼 신경에 거슬리는 말도 있어 몇 자 끄적여 본다.


1. 세상은 만만하지 않다.

물론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말은 아니다. 세상을 만만하게 보고 여기고 실제로 본인에게 세상이란 만만해서 아무렇게 대해도 되는 그런 존재일 뿐인 사람도 분명 있다. 이를테면 이건희 전 삼성회장 같은 사람들 말이다. 세상을 만만하게, 아니 우습게보지 않고서는 절대로 하지 못할 일들을 태연히 하는 걸 보면 말이다. 오래(상대적이긴 말이긴 하지만) 살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내가 보고 듣고 경험한 세상은 가진 자와 쥔자에게는 더없이 만만했다. 그렇지 못한 자에게만 만만치 않을 뿐.


2. 왜 복권 당첨이 당첨자의 인생을 망치리라고 생각하는지 그 정확한 연유는 알 수 없으나 짐작키로, 간혹 텔레비전 뉴스에 나오는, 어느 날 문득 생긴 일확천금 때문에 인생을 망친 복권 당첨자들의 사연이 그 말의 배경인 듯하다. 하지만 그런 사람은 아주 소수다. 나머지 복권 당첨자들은 잘 먹고 잘 산다.

비율로 따지자면 복권에 당첨에 되지 않는 사람들이 인생을 망치는 비율이나 복권에 당첨 된 사람이 인생을 망치는 비율이나 (역시) 짐작키로 비슷할 거다.

그러므로 운이 좋아 작은 성취를 이룬 사람 중에도 오래도록 그 성취를 우려먹고 사는 사람들도 분명 있다. 둘러보면 세상은 그런 사람들 투성이다. 세상엔 진짜보다 가짜가, 큰성취보다는 작은 성취를 이룬 사람들이 훨씬 더 많으니까 말이다.


3. 미치기(及) 위해서 미친(狂) 사람들의 일생이 결코 행복해 보이지는 않는다. 설사 본인은 행복하다 할지라도 그 주위의 사람들, 특히 가족들에게 끼치는 피해는 작심하다 못해 극심하다.

더불어 무언가에 미친(狂) 사람들이 남들이 도달하지 못한 어떤 경지에 미친(及) 건 분명한 사실이지만, 그 모든 미친(狂) 사람들이 어떤 경지에 도달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미친(狂)건 분명 아닐 거다. 그냥 그 무언가가 좋아서 거기에 미친(狂)거고 미치다 보니 미친(及) 것일게다. 쉽게 말해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는 결코 무언가에 미칠(狂) 수 없다는 얘기다.





4. 사람이 벽이 없으면 쓸모없는 사람일 뿐이다. 대저 벽(癖)이란 글자는 질(疾)에서 나온 것이니, 병 중에서도 편벽된 것이다. 하지만 독창적인 정신을 갖추고 전문의 기예를 익히는 것은 왕왕 벽이 있는 사람만이 능히 할 수 있다. - 박제가 <백화보서(百花譜序)>


좋은 말이다. 하지만 어떤 벽(癖)을 가지고 누구도 따라오지 못할 독창적인 정신을 이루어 내고 전문의 기예를 익혀도 그 모든 것이 결국은 사람 되는 것에 불과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5. 책 속의 여러 인물들 중에 특히 눈길이 갔던 사람 넷이 있는 데, 이덕무, 김득신, 홍대용, 홍길주다.


특히 김득신의 전설 같은 노둔함은 이 책을 읽는 많은 둔한 사람들에게 응원의 메시지가 될 것 같다. 나 역시 김득신 편을 읽고 웃음과 함께 그의 힘찬 응원 소리를 들은 것 같다.



김득신은 사마천의 <사기> 그중에서도 [백이전]을 11만 3천 번을 읽었다고 한다. 정말 대단하다 아니할 수 없다. 그런데 더 대단한 건 이렇게 읽고도 길가다 우연히 들려온 백이전 한 구절을 기억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말을 끌던 말구종도 기억하는 걸 말이다.


그는 만 번 이상 읽은 글이 36편이라고 <독수기(讀數記)>에 기록해 놓았다. <독수기>의 끝에 그는 이렇게 썼다.

<장자>와 <사기>, <대학>과 <중용>은 많이 읽지 않은 것은 아니나, 읽은 횟수가 만 번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에 <독수기>에는 싣지 않았다. 만약 뒤의 자손이 내 <독수기>를 보게 되면, 내가 책 읽기를 게을리하지 않았음을 알 것이다.

 

김득신의 노력은 정말 상상을 초월한다. 아마도 인간이 같은 책을 몇 번이나 반복해서 읽을 수 있을까? 하는 물음의 한계지점을 보여 주는 것 같다. 
 

나는 여태껏 같은 책을 두 번 읽어 본 적이 드물다.  요즘 들어서야 반복해서 읽는 다는 것의 중요성을 깊이 느끼고 있다. 사실 한 번 읽어서 잘 이해가 되지 않는 책도 두 번 세 번 읽는 사이 절로 이해가 되고 또 이해가 되는 책도 반복해서 읽으면 놓쳤던 부분을 발견하게 되며 세 번 반복해서 읽으니 책의 내용에 더해서 뭔가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는 경우도 드물지 않더라.  

세종대왕께서도 한 책을 최소한 오십 번은 반복해서 읽었다는 말을 어딘선가 들은 듯 하다.  

인류역사상 최고의 언어학자가 그냥 탄생하는 것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