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에 나쁜 곤충은 없다 -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부터 별을 사랑한 쇠똥구리 까지 우리가 몰랐던 곤충의 모든 것
안네 스베르드루프-튀게손 지음, 조은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12월
평점 :

곤충의 짝짓기를 본적이 있다. 우연히 영상을 통해 본 사마귀 짝짓기에서 교미후 수컷을 잡아 먹던 암컷 사마귀의 행동과 짝짓기를 하던중에 머리를 암컷에게 먹히고도 짝짓기 행동을 멈추지 않던 수컷 사마귀의 모습이 기억에 강하게 남아있다. 물론 모든 수컷 사마귀가 잡아먹히는건 아니겠지만 짝짓기 상대를 잡아먹는 암컷의 모습은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한 자연현상이라 한다. 그에 반해 함께 날아다니며 다정한 하트모양을 만들며 짝짓기를 하는 푸른실잠자리의 모습은 로맨틱해 보이지만 자신의 암컷이 다른 경쟁자와 찍짓기를 못하도록 감시하는 행동이라 하니 곤충의 세계는 참 신기하기도 하다.

노르웨이생명과학대학교 교수이자 노르웨이자연연구소 과학자문으로 활동하는 안네 스베르드루프-튀게손은 이처럼 우리가 몰랐던 신기한 곤충의 세계를 책 한권에 담아 출간했다. 그의 첫 책인[세상에 나쁜 곤충은 없다]에서는 9개의 장으로 나뉘어 다양한 곤충들의 탄생과정에서 부터 생존방식, 후손을 남기려는 곤충의 독특한 짝짓기, 먹이사슬, 식물과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인간과 곤충의 밀접한 관계까지 흥미로운 이야기가 펼쳐져 징그럽고 혐오스럽다는 곤충에 대한 생각의 틀을 조금씩 바꾸어준다.
책의 내용중 무엇보다 흥미로운 이야기는 곤충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잘 돌아가게 아주 많은 일들을 한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1년에 핫도그 6만개의 분량의 음식쓰레기를 먹어치우는 개미의 활약과 달달한 초콜릿을 만들어 내는 초콜릿깔따구의 고된노동. 설탕결정을 만들어내는 만나깍지진디. 범죄 해결에 간접적인 도움을 주는 파리와 플라스틱 문제에 도움을주는 밀웜등. 때론 동물의 먹이가 되고 식물의 종자를 퍼뜨려 생물의 수를 조절하며 자연의 균형에 도움을 줄뿐 아니라, 함께 공존하며 인간의 삶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는 가장 작은 생명체인 곤충들. 그들의 보이지않는 활약에 신기하고 놀랍기만 하다.

자연은 당혹스러울 정도로 복잡한 시스템이고, 우리 인간은 그 수백만 종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곤충은 이 독창적인 시스템의 중요한 일부다. 바로 이 사실이 우리 중에서 가장 작은 것들, 이 세상을 지탱하는 이상하고 아름답고 기이한 곤충들을 이 책에서 다루려는 이유다. (9p)
"우리 인간이 곤충에 의존해서 살아가므로 그들의 안녕은 우리에게도 중요하다"라는 저자의 말처럼 곤충의 대한 기존의 생각들의 변화와 곤충이 친환경 양질의 식량이 될수 있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은 되지만 나는 아직 고기대신 곤충으로 단백질을 섭취할 자신은 없다.
흥미로운 곤충들의 세계를 볼수있었던 [세상에 나쁜 곤충은 없다]. 가독성이 정말 좋은 책인데다 색다른 재미를 느낄수 있는 매력적인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