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드 뉴욕
이디스 워튼 지음, 정유선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유서깊은 전통을 지닌 가정에 태어나 꽤 유복한 어린시절을 보냈다는 미국작가 이디스 워튼은 <순수의 시대>로 여성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책으로는 읽어보진 못했지만 영화를 통해 보았던 순수의 시대는 세남녀의 사랑과 미국 상류층에 대한 비판을 잘 담아냈던 영화다. 개인적으로 두 여주인공에 비해 남자주인공이 맘에 안들었던 기억으로 남아있던 영화다. 퓰리처상을 탄 최초의 여성이라는 문구에 홀려 읽게된 레인보우 퍼블릭북스의 [올드 뉴욕]은 이디스 워튼의 단편집이다. 국내 처음 소개되는 번역본 네편이 담긴 책은 제목에서 느껴지는것처럼 클래식한 표지도 인상적이다.
유럽여행을 보내는 아들을 통해 명화를 구입해 가문의 갤러리를 소장하고 싶었던 아버지의 이야기를 그린 첫번째 이야기인 [헛된 기대]. 파혼을 한 사촌동생 샬럿의 딸아이를 입양하게 되는 델리야. 성장한 아이가 결혼을 하게되면서 샬럿과 대립하게 되는 델리아의 감정을 잘 담아낸 [노처녀].
전쟁의 트라우마를 겪는 중년의 한 남자 헤일리. 그를 바라보는 젊은 시선을 담은 [불꽃]. 호텔에서 함께있는 모습이 목격되면서 불륜으로 치부받았던 남녀의 숨겨진 진실을 그린 [새해 첫날].
무엇보다 모성애를 소재로 쓴 두번째 단편인 [노처녀]는 자신이 낳았지만 평생 이모로 살아야 했던 샬럿과 수양딸의 모습을 통해 실현되지 않은 과거의 환상을 꿈꿨던 델리아의 내면을 섬세하게 묘사해 제일 인상깊게 읽었던 이야기였다.

소설은 상류층출신의 작가여서일지 작품속에 담긴 상류층의 허영과 위선을 잘 묘사하며 때론 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 상류사회의 부조리한 관습등을 꼬집는다.
레이시 씨는 오래전부터 자신이 주는 용돈이 남아돌 정도는 아니더라도 적당한 편이고 "후한"편이라고 아내가 믿도록 납득시켰다. 레이시 부인은 이 문제를 친척들에게 이야기할 때 남편이 친절하게 자신의 재산 관리를 도맡아주었다며 감사의 눈물을 찔끔거렸다. 레이시 씨가 아내의 재산을 수완 좋게 잘 관리했기에 아내의 실리적인 형제들은 그녀가 레이시 씨의 허락을 얻고 돈을 쓰는 데 동의하는 편이었다. (27p)
"모든 처녀들이 언니 말처럼 다 참한 건 아니야."(144p)
짧은 분량의 단편이라 풍부한 이야기꺼리는 많진 않았지만 미국 상류층의 생활모습을 볼수있었고 여성작가의 특유의 섬세한 내면묘사로 많은 부분을 공감하며 고전치고는 꽤나 잘읽혔던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