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
로셀라 포스토리노 지음, 김지우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의 푸틴대통령이 현대판 기미상궁인 검시관을 데리고 다닌다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있다. 전용 소금, 후추, 양념통까지 소지하고 다닌다는 기사를 읽으며 요즘같은 시대에 참 유난떤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하지만 고종의 독살설이나 조선왕들의 독살사건에 관한 이야기만 봐도 예전 왕들과국가정상들의 꾸준한 독살시도는 있어왔기에 예민한 반응도 이해가 된다.
그리고 역사속 인물중에도 자신이 독살당할것이 두려워 검식관을 둔 절대권력자가 있었으니 바로 아돌프 히틀러다. 문예출판사에서 출간된 [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은 역사상 가장 잔혹한 독재자인 히틀러의 음식에 독이 들었는지 감별하기위해 끌려간 여자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소설은 히틀러의 음식을 먹었던 인물로 당시 함께끌려간 15명의 여자중 유일한 생존자이자 실제인물인 마크 뵐크의 고백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한다. 책을 읽기전 제목만 봤을때 히틀러의 음식을 시식했던 인물들이 유대인이 아닐까란 생각을 했었더랬다. 이미 수많은 유대인들을 잔혹하게 학살한 히틀러의 만행이 역사속에 남겨져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각과는 다르게 히틀러의 음식을 시식했던 인물들 모두 평범한 순수 독일 여자들이다.

소설속 베를린에 살고있던 주인공인 로자 자우어는 한밤중 폭격으로 어머니를 잃고 남편의 고향인 그로스 파르치에서 시부모님과 함께 지낸다. 결혼후 1년만에 자원입대해버린 남편인 그레고어를 기다리며 시부모님과 살던 그녀. 어느날 느닷없이 들이닥친 나치친위대에 이끌려 10명의 여자들과 함께 히틀러가 먹게 될 음식을 미리 먹는 시식가로 살게된다. 독이 들어있을지도 모르는 음식을 하루 세번 먹으며 죽음의 공포를 매일 느껴야 하는 그녀들을 보자니 전쟁은 아군이나 적군이나 모든 사람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든다는 생각이 든다.

 

 

 



 

히틀러를 뽑은 건 제가 아니라고요. 그러면 아버지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일단 용인하면 그 정권에 대한 책임은 네게도 있는 것이다. 모든 인간은 각자가 속한 국가 체제 덕분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은둔자조차 말이다. 알아들었니? 네게는 정치적 죄악에 대해 면죄부가 없다, 로자.(196p)

식사후에는 개처럼 울었다던 마고 뵐크의 말처럼 음식을 거부하지 못한채 식사를 마친후 한시간동안 죽음의 공포가 얼마나 두려웠을까.
함께 시식가로 차출된 다른 여성들과 로자의 아버지, 남편인 그레고어와 로자를 사랑했던 친위대 장교 치글러, 그리고 나치 추종자는 아니었으나 히틀러의 음식을 먹으며 평생 죄책감을 안고 살게 될 로자. 광기의 시대속 생존을 위해 자신의 신념과 모순된 삶을 살아야 했던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인 [히틀러의 음식을 먹는 여자들]은 흔히 보았던 유대인의 시선이 아닌 전범국 사람들의 시선으로 바라본 전쟁과 그들의 삶의 이야기라는 것에 흥미롭게 읽은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