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의 마지막을 앞둔 사람의 마음을 나는 가히 짐작조차 할수가 없다.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낸 경험도 없어서 그저 드라마나 영화등 방송매체를 통해 죽음으로 인해 사랑하는 사람이나 가족을 떠나보내는 장면을 보며 눈물 지을뿐. 분명 사람마다 생의 마지막을 대하는 무게조차 저마다 다를테고 말이다. 마지막을 앞둔 사람과 떠나보내야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자면 제일먼저 슬픔으로 다가온다. 그야말로 억장이 무너지는 슬픔은 누구도 피할수 없기에 상상조차 가늠하기 두렵다. 하지만 다산에서 출간된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은 죽음이란 소재를 조금 다른 시각으로 그려낸 소설이다. 멕시코인 작가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의 형의 마지막 생일파티에서 영감을 받아 썼다는 소설은 가끔 영화에서 본적있는 우리네 정서와는 좀 다른 미국식 감성이라고 해야할듯하다.
암선고를 받고 마지막 생일을 앞둔 빅 엔젤을 중심으로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은 시종일관 유쾌하게 그려진다.

암선고로 남은 삶이 한달이라는 시간을 앞둔 빅 엔젤은 마지막 70세 생일에 친족과 가족들을 부르며 성대한 파티를 준비한다. 하지만 생일파티 일주일전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자신의 생일전으로 미뤄진 어머니 장례식에 늦게 일어난 가족들 때문에 속이 터진다. 고집도 쎄고 까칠한 성격에 집안의 가장인 빅 엔젤. 멕시코인 아버지가 미국인 여자와 바람을 펴 낳은 동생인 리틀 엔젤. 말많고 탈많은 집안 남자들을 따뜻하게 품어주는 아내 페를라. 암으로 거동이 힘든 아버지의 병간호를 하는 딸 미니. 아버지인 빅 엔젤과의 불화로 집을 나간 첫째아들 인디오. 미군에게 속아 입대까지 했지만 결국 불법체류자가 된 막내아들 랄로.

 

 

 



 

"자네의 인생 여정이 나와는 조금 다른것뿐이야. 죽음이란 시카고행 열차를 잡아타는 것과 같아. 노선은 백만 개나 되고, 기차는 모두 밤에 운행하지. 어떤 기차는 완행이고, 어떤 건 급행이야. 하지만 모두 낡고 커다란 기차 보관소에 있어. 간단해. 잘 죽는다는 건 불알 두 쪽으로 배짱을 부려야 하는 일이야. 불알 두쪽을 걸고 깡으로 믿는 거라고." (366p)

소설속 주요 캐릭터들이 워낙 개성이 강한탓인지 나이에 대한 언급이 없었더라면 중년의 나이대로 생각하며 읽었을지도 모르겠다.
무엇보다 노년의 주인공들이 이제는 변해버린 모습 그대로 서로를 사랑하는 모습은 잔잔한 울림을 주어 유난히 기억속에 남아있다.
빅 엔젤의 부모인 돈 안토니오에서부터 4대에 걸쳐 멕시코 이민자들의 고단한 삶등 한가족의 대서사시같은 이야기덕분에 500페이지넘는 꽤 많은 분량의 소설인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추운겨울 '죽음'을 앞둔 가족들의 용서와 화해를 그려 울다가 웃는 따뜻함을 전해줄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