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 가게에 갈까? - 헬싱키 중고 가게, 빈티지 상점, 벼룩시장에서 찾은 소비와 환경의 의미
박현선 지음 / 헤이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육선진국이며 자일리톨껌과 자작나무가 떠오르고 사랑받는 캐릭터 무민이 살고있는 나라인 핀란드. 언젠가 핀란드의 교육와 복지에 대한 다큐를 방송으로 시청한후 북유럽국가라 하면 핀란드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되었다. 북유럽풍 인테리어가 아직도 많은 사랑을 받고 깨끗한 자연환경과 소박한 일상을 살고있는 핀란드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한번도 가보지 못한 나라지만 호감가는 나라로 마음에 남아있다. 
헤이북스의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는 핀란드사람들의 삶에 평소 궁금증이 많던 내게 무척 흥미로운 책이다.

 

 



책은 판매방식에 따른 중고가게나 개성넘치는 빈티지상점들, 다양한 형태의 벼룩시장까지. 핀란드에서 가구디자인을 공부한 현직 디자이너인 박현선저자가 10년넘는 오랜시간 핀란드 헬싱키에 살면서 그들의 소비와 환경에 대한 생각을 인터뷰와 취재를 통해 기록했다.
방송을 통해 소박한 핀란드사람들의 일상을 엿보았듯이 고가의 럭셔리 브랜드보다 보통 사람들의 일상이 그대로 녹아든 물건들을 사고팔기도 하는 핀란드사람들.
책속에 실려있는 사진속 중고가게들을 보면 국내 주변에 볼수있는 중고가게와는 많이 다른 모습이다. 책속 비영리단체에서 벌이는 기부형 중고가게인 헬싱키의 '피다'는 환한 가게분위기와 다양한 물건들이 정돈되어있고 시내곳곳 번화가에 위치해있어 접근성이 좋은 중고가게다. 핀란드사람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들을 고르며 일상처럼 드나드는 곳이다.
무엇보다 인상적인건 판매희망자에게 자릿세를 받고 진열장을 대여해주는 판매 대행 방식의 가게다. 자신이 직접 희망하는 가격을 정하고 판매를 중고가게에 맡기는 편리하면서도 익명성까지 보장되는 판매방식으로 핀란드사람들이 자주 이용하고있다한다.

 

 



재사용은 재활용과는 달리 특별히 다른 가공 과정을 거치지 않고 물건을 있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아주 간단한 수리를 거쳐 사용하는 것이다. 중고문화는 이 재사용 문화의 중심에 있다. 개인이 중고 문화에 참여함으로써 소비자가 물건의 수명을 늘이는 주체가 되어 선형 경제에서 순환 경제로 그 모양새를 변형시키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51p)

개인적으로 나는 중고물건을 좋아하지 않는다. 싸더라도 누구의 일상을 거치지 않은 새상품을 좋아해서 중고가게에도 거의 가지않는다. 책을 읽자니 소비와 환경문제에 무심했던 나자신이 부끄럽다. 오래된 물건에 가치를 매기고 환경을 생각하는데서 비롯된 핀란드의 소비문화. [핀란드 사람들은 왜 중고가게에 갈까?]는 많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