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유럽 신화 - 바이킹의 신들 ㅣ 현대지성 클래식 5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지음, 서미석 옮김 / 현대지성 / 2016년 2월
평점 :

그리스 로마 신화와 함께 신화계의 양대산맥이라고 불린다는 [북유럽 신화].
이책을 읽으면서 그리스 로마 신화와는 다른 생소함을 느꼈다.더군다나 서론부터 시작되는 신들의 세상이라는 배경속 장소지명과 다양한 이야기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은 왜이렇게 헷갈리는지 도통 집중할수도 없었다. 아무래도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만화나 소설등 서적을 통해 많이 접해본적이 없어 익숙하지 못한탓도 있을것같다.
하지만 고대인들의 상상세계가 만들어낸 신들의 이야기는 어느 지역에서 만들어졌건 흥미로울수 밖에 없지않을까.
신화의 대다수가 매우 격렬하고 극적인 이야기들이다. 또한 파노라마처럼 천천히 전개되는 에피소드들로 이루어져 있다. (50p 서론중에서)

서론을 지나 천지창조에 대한 이야기는 설화다운 재미가있다. 얼음이 녹아 흘러내린 물방울로 만들어진 서리거인 이미르. 이미르의 겨드랑이에서 흘러나온 땀에서 태어난 사악한 서리거인들이다.
아우둠라라는 염소가 얼음을 핥아 인간이 태어나고 그인간의 손자인 오딘형제가 이미르를 죽인 몸으로 신들의 세상인 '아스가르드' 인간들이 살고있는 중간세상인 '미드가르드' 죽은자들의 세상인 '니플하임' 거인들의 땅인 '요툰하임'등 아홉개의 세상이 만들어진다.
북유럽 신화속 신들의 세계인 아스가르드의 주된 활약을 보여주는 오딘과 토르, 로키. 주신이라 할 수 있는 오딘은 그리스로마신화의 제우스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한쪽 눈이 없는 애꾸눈에 드라우프니르라는 황금팔찌를 차고 궁니르라는 절대 과녁에서 빗나가지 않는 창을 들고 다니는 오딘. 거기다 그의 어깨에후긴과 무닌이라는 두마리의 까마귀가 앉아있어 폭력과 전쟁을 나타내는 성격과 동시에 마술사로서의 능력도 지녔다.
신들의 수호자이자 신들의 서열중 두번째인 오딘의 아들 토르와 변신을 잘하고 교활하며 익살스러운 로키등 많은 신들과 거인들과 난쟁이들까지 [북유럽신화]속에 다양한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이그드라실의 세 번째 뿌리는 서리 거인들이 점령하고 있던 요툰하임지역으로 깊이 파고 들어갔다.
그 뿌리 아래로는 현자 미미르가 지키고 있는 샘이 흐르고 있었는데 누구든 그 샘물을 맛보기만 하면 진실을 꿰뚫어 볼 수 있는 통찰력을 갖게 되는 신비한 샘이었다. 해임달은 언젠가 라크나로크가 닥쳤을 때 살아있는 모든 피조물을 불러모으는데 쓰기 위하여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뿔나팔을 그 샘가에 놓아두었다. 그리고 오딘은 그 샘물을 한 모금 맛보기 위한 대가로 자신의 한쪽 눈을 희생해야만 했다. (86p -지혜를 얻으려 자신을 바친 오딘중에서)
책을 읽다보니 재미있는점이 몇군데 눈에 띈다. 우선 신들도 늙고 죽음을 맞는다는것.
청춘의 황금사과를 가지고있던 이둔이 티아지라는 거인에게 납치당한뒤 신들은 늙어버리고 세계종말을 만들었던 신들과 거인의 전쟁인 라그나로크에서 많은 신들이 죽음을 맞이했다.
두번째로는 이야기속에 자주 나오는 9라는 숫자. 아홉개의 세계와 이그드라실에서 오딘이 거꾸로 매달려있던 9일, 오닌의 황금팔찌인 드라우프니르가 9일이 지날때마다 변화하고 바니르의 풍요의신 프레이르의 청혼에 9일을 기다려 달라던 게르드, 미드가르의 뱀이라 하는 요르문간드의 독이퍼져 아홉 발자국을 옮기고 쓰러져 죽은 토르의 이야기등 북유럽 신화에 자주 언급되었다.

비교적 따뜻한 지중해날씨인 그리스에서 생겨난 신화와는 달리 북유럽 신화는 고대 북유럽사람들의 춥고 척박한 환경때문인지 때론 거칠고 잔인하면서 황량한 느낌까지 든다. 그럼에도 인간적이면서도 개성넘치는 북유럽신화속 신들의 이야기는 읽을수록 묘한 매력이 있는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