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어머니들
홍은희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을 존경합니다~~~~

 여느때처럼 하루일과를 정리하고 아이들을 재운 밤 늦은 시간에 훌륭한 어머니들의 책을 읽을 수가 있었죠.

 자정을 훌쩍 넘긴 시간이었지만 이 책을 읽은 감동은 잊을수가 없네요.

 연년생 두 아들을 키우는 엄마지만 아직까지도 엄마라는 말에 책임을 다하지 못한 부분이 많아서 책을 읽는 동안 아이들과 남편에게 미안한 맘을 금할 수가 없었어요.

 과연 난 이 아이들에게 무엇을 남겨 줄수가 있을까?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어요.

 아직은 엄마손을 많이 필요로 하는 개구쟁이 두 아들. 잠잘 때도 엄마곁을 서로 차지하려고 밤마다 전쟁을 치루는걸 행복이라고 또는 내가 그만큼 아이들에게 해준 보답이거니 생각한 걸 부끄러워지더군요.

 내가 아이들을 키우면서 위기에 부딪힐때마다 이럴땐 우리 어머니라면 어떻게 했을까? 하며 기억을 더듬어 가며 어머니의 발자취를 뒤따라가려고 안간힘을 썼던 때가 있었어요.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어머니일뿐 나 자신은 아니였으니까요

 얼마전 읽었던 '8살 이전의 자존감이 평생 행복을 결정한다'라는 책에서도 느낀거지만 자존감의 문제는 자기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라고 느끼는 것이죠. 바로 나 자신을 바라보는 느낌이라는 거죠.

 부모가 아이에게 하는 말은 반드시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과 예측과 일관성을 지킬수 있도록 구체적이여야 한다는 것이죠. 아이의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라는 것이었죠.

 이런 면에서 훌륭한 어머니들의 어머니들은 한결같이 자녀들에게 유산으로 남겨준 것은 ~긍정적인 사고방식(자존감)이더군요.

 멀리 떨어져있는 자녀에게 항상 편지로 모든 것을 나누며 스스럼없이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소프라노 조수미의 어머니 김말순씨의 자녀와 마음과 생각을 나누는 친구가 된 것과 달리  항상 가깝게 있지만 항상 다그치고 아이를 어쩔수 없는 벼랑에 내몰고 있는 제 처지가 너무나도 대조되어 마음이 저미듯 아려왔어요.

 자녀에게 가난에 굴복하지 않고 당당한 자세로 살아가는 것을 직접 체험케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어머니 채태원씨가 가르쳐준 삶의 자세에서 그 무엇보다도 당당함을 보았어요. 지금도 그 영향으로 이 명박 전 서울시장에게서는 가난의 그림자가 남아 있지 않다는 사실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깨달았어요.

  

자녀를 큰 사람으로 키우기 위해 어머니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는가?

 전 아이들이 정직과 흔들리지 않는 믿음의 표본이 되고 싶다고 말한 적 있었죠.

 아이들의 밝은  미래를 위해 이제부터라도 제 자신을 뒤돌아보고 모두가 변화를 겪어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