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열린 세계 현대사
기-파트리크 아제마르.세르주 코르델리에 지음, 권수연 옮김, 서정훈 감수 / 글담출판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받으신 분들이라면 한결같이 책의 두께도 두께지만 방대한 세계사의 나열에 놀랐으리라 생각되네요.

 우리 아이들은 아직 한참어려 이 책을 읽힌다는 것은 무리이고, 전 고1인 조카에게 공부에 도움되리라 확신하며

 신청했어요. 대신 힘든 서평의 뒷감당은 당연 이모인 제가 해야하지만요.

 이 책의 표지 소개글에서  프랑스에서 성인판 세계연감이 꽤 큰 이슈를 남기며 성공을 거둔 뒤 나온 청소년판이라기에   

 더 흥미를 느꼈어요. 한 시대를 살아가면서 시대의 흐름을 이해한다는게 그닥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자칫 지나칠 수 있는

 세계현대사의 흐름을 단지 이해만이 아닌 다양한 각도(지리,정치,경제,문화적인 접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어

 종합적인 사고력을 중시하는 현재의 교육추세에 딱 맞는 책이라고 할 수 있어요.

 첨엔 읽는 것에 부담을 느꼈는데 한 장씩 넘기다 보니 어느새 빠르게 넘어가는 순간이 있더군요.

    ▶ 세계 현대사.1945년부터 오늘날까지의 세계

    ▶ 세계 현대사의 주역, 세계의 모든 나라

    ▶ 현대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14가지 키워드

 이 책의 구성을 보자면 제 1장에서는 2차세계대전이 종결된 시점인 1945년~ 현재까지 다루고 있어요.

 부족한 이해관계는 부분적으로 삽입된 지도와 중요팁으로 보충을 해주니 (전 개인적으로 본 지문보다 박스글에 적힌

 내용에 더 흥미가 가더군요) 한결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네요.

 그간 우리가 배워왔던 세계사는 수박겉핥기식의 주입식이라면 이 책에서는 상호이해관계나 그 사건의 주변정세와 흐름을

 다각도로 비춰주니 정말 세계의 정세를 파악할 수 있게 잘 만들어진 것 같아요.

 세계사의 흐름을 알고 나면 세계 현대사의 주역인 세계의 모든나라를 대분류하여 정확하고도 명료하게 소개하고 있어요.

 솟아나는 애국심?에 특히 아시아를 소개하는 글을 유심히 보았는데  작가의 객관적인 입장에서 바라본 한국에 대한 서술을

 자세히 보게 되더라구요. 각 나라들에 대해 읽으면서도 그렇구나~ 하는 수긍이 가더군요.

 현대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14가지 키워드를 읽고 나면 앞서 읽었던 세계사의 흐름이나 각 나라간의 연결고리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1990년대를 들어서면서부터 세계화라는 말이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세계화의 다양한 의미를 요즘은 세계화라는 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면서 세계화라는 말이 퇴색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네요.

 현 60억 명을 넘어선 세계 인구가 110억 명 수준에서 정체될 전망이라는 예측과 함께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그 증가 속도는

 크게 느려지고 있다니 심히 걱정이 되네요. 늘어나도 걱정 줄어도 걱정. 천년만년 살지 못하지만 미래의 우리 아이들에게는 생존의

 위협이 되겠지요.

 이렇게 방대한 양의 세계사의 흐름을 복잡하지 않으면서 연결고리가 끊어지지 않게 기술한 부분은 정말 놀랍네요.

 분명 읽기 쉽지는 않지만,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정말 도움이 될 만한 세계연감이고 소장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