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 - 감정 오작동 사회에서 나를 지키는 실천 인문학
오찬호 지음 / 블랙피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가질 있는 감정 이상의 부분을 짚어 『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 이야기하는 책이 있다. 무차별한 폭력, 권력, 학벌주의, 혐오, 강박관념과 같은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모두 똑같이 행동해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10 아이들부터 나이를 따지지 않고, 자신의 감정에 따라 무자비한 폭력을 아무렇지 않게 휘두르는 한국 사회의 모습 그대로를 보여주고 비판하는 실천 인문학

나를 위한 삶을 사는 그거 좋습니다. 저도 그런 삶을 살고 싶습니다. 하지만 자유롭게 산다는 것이 누군가에게 피해를 입히고 얼굴 화끈거리게 하는 행동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바는 아닌데, 소설보다 에세이를 많이 읽고 나만의 ,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얼굴 화끈거리고, 손가락질 받을 행동을 하고 있는게 우리의 현실, 나는 아닌 같다고 생각할 있죠, 저도 그럴뻔 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알게 모르게 괜찮지 못한 행동을 하고, 누가 만들었는지도 모르는 평균이라 부르는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또는 기준만으로 판단하고 생각하고 있더라구요.

오찬호 저자의  『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는 감정 오작동 사회에서 나를 지키는 실천 인문학을 전하고 있습니다. 이미 JTBC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이야기하는 강연을 한적도 있는데 감정이 잘못 작동되고 있는 사회의 예를 들어보면 아주 간단하고 와닿습니다.

살이 사람들에 대해 당연하듯이 불쾌감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이런 사람들이 많아지면 살이 사람은 혐오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데 이런 분위기 맞는걸까요? 자기 자신을 관리하지 못하면 혐오의 대상이 되고, 사람들은 강박처럼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수많은 투자를 하고.. 누군가는 자극 받아 좋잖아 이야기 있지만 역시 누군가 '' 대한 고정관념을 비난하는 괜찮지 못한 감정의 오류라는 것이죠.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당당하게 따지는 세상, 학교폭력 가해자를 당당히 감싸는 부모, 세금을 당당히 사적인 수단으로 사용하는 정치인은 기본, 층간소음, 노키즈존, 장애인 시설 반대, 사적 재산권의 남용 내가 가진 것으로 내가 잘못한 행동을 잘했다고 감싸는 세상, 남의 것을 것처럼 사용하고, 나의 권리라고 생각하는 시대











물론 오찬호 작가의 이야기에 무조건적으로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노키즈존' 잘못된 권리를 누리려 했던 행동이 만든 결과라고 생각하거든요, 이건 찬반이 분명히 존재하는 부분이기도 하고, 민감한 주제이기 때문에 노키즈존은 혐오라고 너무 강조하는 것은 아니지 않나 따져도 봅니다. 노키즈존이 아이들을 차별적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 행동이 만든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의미는 다르게 보이지 않을까요?

시간과 장소에 맞는 격식을 따지는 기성세대를 꼰대라 하면서 와이셔츠 안에 속옷 입었다고 고개를 절레절레하는 모습이라니. 오지랖과 훈계야말로 꼰대의 대표적인 특징 아니겠는가. 나의 반박에 평소 입는다는 자들은 아마 이럴 것이다. "패션에 대해서 안다고!" , 꼰대가 자주 하는 말이다.

호불호가 가릴만한 책인 같아요, 공감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내용도 확연히 보이고, 너무 강력하게 우리의 일상에서 감정의 오류라는 부분을 꼬집으니 기분이 좋지만은 않을 수도 있겠다 생각이 들지만 그래도 다수가 되지 못하는 소수를 비난의 이유로 꼬집고 혐오의 대상으로 삼는 행동은 옳지 못한 것이죠

많은 이들이 자신이 차별의 공기를 제공한 주범인 부정한다. 차별받는 사람만 있고 차벼하는 사람은 없는 이유다. 차별을 일삼는 자들이 역차별을 운운하는 비극이 탄생할 밖에 없다.











물론 오찬호 작가의 이야기에 무조건적으로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노키즈존' 잘못된 권리를 누리려 했던 행동이 만든 결과라고 생각하거든요, 이건 찬반이 분명히 존재하는 부분이기도 하고, 민감한 주제이기 때문에 노키즈존은 혐오라고 너무 강조하는 것은 아니지 않나 따져도 봅니다. 노키즈존이 아이들을 차별적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 행동이 만든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의미는 다르게 보이지 않을까요?

시간과 장소에 맞는 격식을 따지는 기성세대를 꼰대라 하면서 와이셔츠 안에 속옷 입었다고 고개를 절레절레하는 모습이라니. 오지랖과 훈계야말로 꼰대의 대표적인 특징 아니겠는가. 나의 반박에 평소 입는다는 자들은 아마 이럴 것이다. "패션에 대해서 안다고!" , 꼰대가 자주 하는 말이다.

호불호가 가릴만한 책인 같아요, 공감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내용도 확연히 보이고, 너무 강력하게 우리의 일상에서 감정의 오류라는 부분을 꼬집으니 기분이 좋지만은 않을 수도 있겠다 생각이 들지만 그래도 다수가 되지 못하는 소수를 비난의 이유로 꼬집고 혐오의 대상으로 삼는 행동은 옳지 못한 것이죠

많은 이들이 자신이 차별의 공기를 제공한 주범인 부정한다. 차별받는 사람만 있고 차벼하는 사람은 없는 이유다. 차별을 일삼는 자들이 역차별을 운운하는 비극이 탄생할 밖에 없다.












성공해야지만 살아남는 문제 많은 사회에서 실패해도 죽지 않을 상식적인 사회로의 객관적인 변화는 이를 희망하는 나와 너의 구체적인 실천이 있을 때만 가능하다. 그렇게 세상이 달라지면 우리들은 대단한 결심 없이 펴범하게 살아도 존엄할 있다. 변화는 매우 느릴지도 모른다. 하지만 개인의 변화 없이 나쁘든 좋든 사회가 변화된 적은 없다. 사회는 사람 하기 나름이다.

 『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라는 제목은 조금 자극적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괜찮지 않은 것이 없다면 사람의 감정 역시 그렇다는 이야기일테니까요, 그런데 조금 살기 힘든 세상이긴 같아요, 폭력에 너무 노출되어서 두렵기도 하고, 강박증처럼 대학교를 졸업하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똑같은 길을 가야만 평범하다고 생각하는 시선이 10, 20대의 삶을 팍팍하게 만드는 같기도 하거든요

하지만 조금 퍽퍽한 삶의 감정 오류 역시 고쳐나갈 있는 기회는 분명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잘못 정치를 바로 잡은 것처럼 말이죠. 복잡한 책이지만 틀린 부분이 있다는 것을 확실히 있는 책이기는 하네요, 마음 편치 않은 책이라는 말에 공감 백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