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에 읽는 손자병법 - 내 인생의 전환점
강상구 지음 / 흐름출판 / 2011년 7월
평점 :

손자병법을 영어로 번역하면
전쟁의 기술이라고 한다. 하지만
손자는
싸우기 보다는
그 전에 잘
살펴보고, 싸우게 되면
적의 의지를 꺾고,
고립시켜보고, 그래도
안 될 경우에
직접 부딪히라고 한다.
어떻게 보면 피하기만
하는 처세처럼 보이지만
싸움은 잃을 것이
많다,
수백만의 군사를
잃을 수도 있고, 재산을 버려야할 수도 있다
때로는 내가
가진 것을 내놓고도
더 많은 것을 빼앗길 수 있는
것이
전쟁이라 섵불리
싸워서도 안돼며, 이길
수 없으면 지켜야하고,
이길 수
있을 때만 공격을
감행하라고 하였다, 비겁해
보일수도
있지만 우리가
사는 삶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같다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손자의
싸움의
기술은
싸움이
아니라
시대는
다르지만
경쟁의
시대를
살았던
그들에게
생존의
기술에
더
가깝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그렇게 해석할 수 있는 것이 손자병법에서 유명한
지피지기 백전백승은 본래 백전불태라 썼었다.
적을 알고 나를 아는 것만으로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지지 않는 것을 더욱 중시했기 때문이다.
명심보감도 어렵지만 손자병법도 어렵다
오히려 짧은 문장들이 뒤섞인 손자병법은
읽는 방법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어
문맥도 봐야하고 문구도 봐야한다, 거기에
역사적 배경까지 갖춰진다면 우리도 꽤
괜찮은 손자병법을 해석할 수 있겠지만
『마흔에 읽는 손자병법」은 마흔이 되지 않았어도
큰 줄거리와 중국 고사를 더불어 전개해 조금 더
이해가 쉽기도 하다, 무엇보다 우리가 살고 있는
한국 역사에 등장하는 예화를 주로 설명하고 있어
더욱 현실성 있게 다가오는 느낌도 있지만 그만큼
저자의 생각도 많이 담겨있다는 것과 이 내용이
꼭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좋겠다.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해석한만큼 우리의 역사가
많이 녹아있고, 현실성 있는 이야기도 많지만
그만큼 손자병법 원문 그대로는 조금 묻힌 느낌
하지만
손자가
제시하는
전쟁의
큰
흐름을
살리고
그에
해당되는
구체적인
병법과
전술에
우리의
역사를
담아
가장
이해하기
쉬운
손자병법을
해석한
것은
원문
그대로를
풀어놓은
책들보다
이해하기도
쉽고
실제로
와닿는
내용도
더욱
많아
좋은
것
같다.
중국의
고사와
우리의
삼국사기를
읽는
소소한
재미를
넘어서
손자의
전쟁이라는게
단어
그대로가
의미하는
싸움을
넘어서
삶을
살아가는
우리의
처세
방법에도
해당된다는
것을
알면 『마흔에
읽는
손자병법」에서
또 다른
의미로
많은
것을
전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나 역사의 중심에 있던 인물들의 말을 통해서
사람사는 세상에서 행동해야할 처세가 가장 잘
표현되고 있지 않나 개인적으로는 생각된다.
“그 이름도 거창한 《손자병법》은 어쩌면 비겁의 철학, 새가슴의 철학 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안에서 진정한 승리가 무엇인지
단순히 힘이 세고 사람이 많다고 이길 수 있는게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손자가 말하기를, 병법은 적국을 온전히 보존하면서 이기는 것을 으뜸으로 치고
적국을 쳐부수는 건 그 다음이다. 적국을 온전히 보전하면서 이기는 것을
으뜸으로 치고, 적군을 전멸시키는 건 그 다음이다. 그래서 백 번 싸워 백 번
이기는 걸 최고라 하지 않는다. 싸우지 않고 굴복시키는 것을 최고라 한다.”
한 권의 책을 다 읽고나면 보기 싫어도 한 번쯤은
손자가 말한 내용만을 정리한 손자요결을 쭈욱 읽어가며
그 안에 있는 의미를 더듬거리며 읽는 것도 도전하고픈..
가장 중요한 것은 싸움을 결정 할 줄 아는 것
그게 모든 손자병법의 시작이자 끝이 아닐까 싶다.
필요할 때는 뒤로 물러설 줄도 아는 센스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