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 이종인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이라는 것이 나에게는 멀리 있는 같아 보이지만
살다보면 때론 아픈 시간이 찾아오고 새삼스럽게 삶과 
죽음이  사이가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숨결이 바람 때』는 ' 정말 이러다 죽을 수도 있겠구나'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암으로 하루하루 죽음을 가까이
마주하고 있는 서른 여섯 젊은 의사가 마지막을 맞이하는
이야기를 태도를 고스란히 담은 의미가 있는 책이다.

해외에서 베스트셀러였다는 것도, 유명인사의 극찬도
안에 담긴 의미를 전달하지는 못할 것이다

젊은 나이에 최고의 자리에 올라서 투병으로 빠른
나이에 죽음을 맞이한 스타는 많다, 하지만 칼라니티
서른 여섯살 의사의 마지막 순간이 기억되는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대하는 그의 생각,
어렵게 보면 철학적인 부분이 대단하기 때문일까?

아파보니까 사람마다 아픈 통증의 정도를 감히
이해하겠다는 말을 사용할 수가 없다, 그건 누구도
없는 것이고 나만이 안고 가야하는 외로운
고통이기도 하다, 그래서 지친다, 몸에서
무엇이 생긴다는 것보다 참을 없이 나를 조이는
통증과 외로움이 나를 무기력하게 만든다.










하지만 칼라니티는 의사였던 환자여서가 아니라
그런 고통 속에서도 마음이 강한 사람이었던 같다.
투병 생활 중에서도 레지던트 과정을 끝내고
2
권의 에세이를 기고하기도 하였다.

신경외과의로 최고의 의사로 손꼽히며 장밋빛 
인생을 눈앞에 두고 찾아온 암이라는 불청객 앞에
그가 이야기 했던 조금은 독특한 이야기들은
『숨결이 바람 때』의 마지막 페이지까지 함께한다.

죽음 속에서 삶이 무엇인지 찾으려 하는 자는

그것이 한때 숨결이었던 바람이란 알게 된다.

새로운 이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오래된 이름은 이미 사라졌다.

세월은 육신을 쓰러뜨리지만, 영혼은 죽지 않는다.”

죽음이 앞에 닥쳤는데 무슨 일을 하고
그리 바쁘게 살며 관리냐 싶지만 그렇게
죽고나면 과연 나는 후회없는 삶을 살았다
생각하고 있을까? .....










막연하게 내가 느끼는 아픔 앞에 무기력해지고
스스로를 관리하지 못하고 하던 것들을 놓아버렸던
자신을 다시 조금 찾기까지 걸렸던 시간들마저
답답하게 느껴지는데 아무것도 하지 않고 맞이하는
죽음이란 죽어서도 땅을 치고 후회하고 있을지도...

그래서 나는 『숨결이 바람 』를 읽으면서 그를
존경하고 그의 정신과 마음을 배우고 싶다는 마음이
간절하게 들기도 한다, 삶을 향한 끊임없는 투쟁

그는 자신의 투병 중에서도 의사로써의 모습을
다시금 돌이켜보는 시간이 되어 돌아오기도 했다.

순간 환자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했던 예전의 기억들이 몰려왔다.

걱정하는 환자에게 퇴원을 밀어붙였던 , 다른 급한 일들 때문에

환자의 고통을 외면했던 , 내가 진찰하고, 기록하고, 가지

진단으로 깔끔하게 분류해버린 환자들의 고통, 그리고 내가 보지

못한 고통의 의미들이 전부 부메랑이 되어 내게도 돌아왔다.

복수심에 불타고, 분노하고, 냉혹한 모습으로.”











레지던트 10년의 생활동안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많은 삶과 죽음의 사이에 서있는 역할을 해왔지만
환자의 고통은 환자가 되어보지 않으면 의사라는
직업으로는 평생 모를 그저 수치로 좋고 나쁨을
따지는 정도에 불과할 밖에 없을 것이다.

역시 처음부터 자신이 폐암 환자라는 것을
받아들이고 고통과 싸우며 삶을 살아가는 것이
가능했던 것은 아니었다, 계속이 느껴지는 죽음을
모른척 피해보지만 통증의 강도는 심해졌고
급격한 체중감량 몸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어쩔 없이 인정해야만 했었던 것이었다.

의사 시절 나는 중병에 걸린 환자들이 마주친 문제들을

어느 정도 이해했었고, 바로 이런 순간을 그들과 함께

깊이 파고들기를 원했었다. 그렇다면, 죽음을 이해하고

싶었던 청년에게 불치병은 완벽한 선물이 아닌가?

죽음을 실제로 겪는 것보다 죽음을 이해할 있는

방법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나는 그것이 얼마나 힘들지,

얼마나 많은 영역을 탐구하고, 조사하고, 정리해야

할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 ... 자신의 죽음을 대면하는

일이 이토록 혼란스러울 줄은 미처 몰랐다.”









죽음을 단조로운 황무지라 표현하는 폴은 초반
방황 속에 의사의 일을 제대로 해낼 없었다.
그에게 활기를 되찾아 것은 문학이었다.

내가 느꼈던 감정처럼 너무나 불확실한 미래가
그를 무기력하게 만들었고, 그는 죽음의 그늘이
사방으로 너무 짙어 모든 것에 의미가 없게
느껴졌었지만 불안감의 바다가 갈라지던
어느 순간이 있었다고 이야기한다.

'나는 계속 나아갈 없어'라고 생각하는 순간
그에 대한 응답이 떠올랐다.








죽음이 때까지 멈추지 마라

"그래도 나는 계속 나아갈 거야."

"나는 계속 나아갈 없어, 그래도 계속 나아갈 거야"

수술실로 다시 돌아갈 것이라고 그는 그럴
있는 사람이기에 지금과 다른 방식으로 사는 법을
찾아 삶을 살아가야만 했다. 죽음이 가까이에
있지만 그는 살아있는 칼라니티, 서른 여섯살의
신경외과 최고의 의사이기 때문이다.

『숨결이 바람 때』 뒤의 이야는 같지만
나만의 생각을 쓰자면 그는 분명 환자의 마음을
조금 이해하고 희망을 주는 의사였을 것이고,
아내와 사랑스러운 딸에게 충만한 기쁨을 주는
존재였으며 스스로를 칭찬할 있는 사람이었다고

아직 나는 책을 읽고 머릿속이 뒤죽박죽 복잡하다.
하지만 요즘 들어 점점 확실해지는 한가지는
아픈건 결코 특별한 것이 아니라는게 맞다는
힘든 것은 분명하지만 주어진 시간만큼
의미있는 인생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랄까?

부디 그의 마지막이 행복하였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