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러 가자고요
김종광 지음 / 작가정신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놀러 가자고요? 방금 전까지 여행을 다녀와서 오히려 놀러갔다온 시간을 되돌리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아 질색을 했더니 근래 읽어보기 힘든 입담꾼이 우리가 사는 모습을 그대로 담아 놓은 같은 이야기가 담겨져 있더라.

에세이는 질렸다, 솔직히 말하면 비슷한 사진 비슷한 문구, 독특한 이야기로 나를 사로잡는 작품이 있기는 했지만 출판업계에는 유명한 작가만 계속 소설책을 출간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도전하는 작품은 보기 힘든 같다.

"놀러 가자고요" 라고 써있어서 나는 오히려 놀러 다녀온걸 돌리고프다! 싶은 기분으로 시계를 하니 올려 놓았더니 

도시와 무언가 섞이지 않는 듯한 시골, 시골경찰이라는 예능 속에서 경찰관의 도움을 받으며 떠나가 있는 자식들을 그리워하는 연로하신 할머님과 땡볕에서도 조금이나마 일하시려고 바삐 움직이는 모습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섞이지 못하는 느낌이 드는 나의 생각을 뒤집어주는 판과 같은 이야기 "놀러 가자고요"

호랑이가 살았던 곳이라 '범골'이라 불리는 곳을 배경으로 9편의 단편 소설이 들어있는 작품 속의 농촌의 풍경이나 노인들의 모습은 쇠락해있지도 않으며 쓸쓸하지도 않다

성염구가 마을을 대표하는 역사서를 만들겠다는 이유로 여기저기, 이런저런 사람들을 만나 모은 자료들로 시작되는 「범골사 해설」 속에는 확증은 업지만 무언가 달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명씩 있고 분들의 이야기는 적당히 유쾌하면서도 진짜 어른의 세계를 보여주는 ' ' 가르쳐주고자 하는 사람들의 말년의 모습과 욕망, 그리고 체념을 고스란히 비춰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상 누구와 싸우지 않아도 된다.

'미래' 위해 투쟁하지 않아도 된다.

적당한 체념, 적당한 욕망, 무한한 요령과 끈기를 획득한 '진짜 어른들' 세계













단편소설로 이루어져 있는 김종광의 작품이 이해 되지 않는다면 작품 해설을 슬쩍 들여다 보는 것도 좋을 같다. 한국소설 중에서도 농촌소설인 같지만 뭔가 아리송한 느낌이 드는 김종광의 작품은 과거와 현재가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는 시간의 이동이 자꾸만 벌어지고 있다.

길어진 서두를 뒤로하고 범골 달인 열전을 들어가면 아이코 작가인지 입담가인지 흡사 정자에 모여 앉아 이야기꾼이 전해주는 흥미진 것들을 듣는 기분이 드는 소설사실 성염구는 결혼한 와이프와 새로운 터전을 잡기 위해 알아보다 국문학자 임교수가 칼럼 범골을 찾아 갔는데 사석에서 만난 임교수가 던진 이야기가 공감이 가더라! 그래그래 <좋은생각>에는 좋게 글을 쓰지만 입으로 말하면 아이고 지긋했던 시절아

"나는 고향 하면서 되지도 않는 감상에 빠지는 것들이 싫어요. 굶주려서 아무거나 주워 먹고 배탈 기억밖에 없어. 아버지한테 술주전자로 두드려 맞기나 하고, 꿈속에 다시 볼까 두려운 고향이여."

"칼럼에 뭔데?"

"그럼, 고향을 나쁘다고 쓰냐? 말은 나쁘게 있어도 글은 좋게 수밖에 없다니까. <좋은생각> 몰라?"

모내기의 달인들, 견인의 달인, 부업의달인, 바둑의 달인들 같은 범골 달인 열전 넘어 노인회장 김사또의 아내 오지랖이 집집마다 전화를 걸며 놀러 가자고요 외치는 이야기가 우여곡절이 많아 인상적이더라, 전화를 걸었더니 귀가 안들려 누구냐 묻는 사람, 자식자랑 하기 바쁜 사람, 노인회장과 오지랖댁의 부부사이부터 생일떡은 기본이요, 전화있는 집은 걸어 삼백 통을 2 3 걸려 했네

그런데 유일하게 반대한 사람 말이 목이 메이더라

땅속에 묻힐 것들이 기어코 놀러 가겠다니. 어이가 없어. 팔구십 노인네들이 버르적버르적 기어 다니는 보고 뭐라고 하겠어? 단체로 고려장 왔나 그럴 아냐.

소싯적 만큼 놀아본 범골 어르신들이 가르쳐준다는 수가 세월의 흐름에 어느새 체념하고 순응하며 사는 모습, 악착같이 살기 보다는 자신네를 어느정도 감추려고 하는 같아 마음이 찡하기도 하더라.

「산후조리」는 구제역이라는 문제를 앞에 두고 임신을 '얼간년' 산후조리를 하게 이야기다. 안되는 소이지만 자식같이 키운 얼간년과 새끼마저 한꺼번에 죽을 있다는 상황 앞에서 어떻게는 살려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과 반대되는 목소리로 뒈져라, 뒈져! 외치는 목소리에서 차마 생명을 놓칠 없는 끈질긴 모성이 느껴졌다.

12편의 단편소설을 나눠서 읽다보면 능청스러우면서도 인생의 삶을 감정적 보다는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 무척이나 인상적이었던 「놀러 가자고요」 도움을 받으면서 살아가는 노인의 모습이 아니라 속에서 서로의 씁슬함과 그리움을 공유하며 우리의 마음 속에 '고향'이라는 단어로 주는 한결 같은 느낌

평범한 시골도시에서 사는 청년들과 어르신들의 조금은 조미료 달인이야기와 도시와 공존하며 살아가고 있는 모습까지, 동떨어져 도움이 필요한 모습이 아니라 마을은 마을대로 형성되어 하루, 365, 수년, 그리고 고향이라는 곳으로 유지되어가고 있다.고향은 곳은 멀리 떨어진 어려운 곳이 아니라 마음 켠에서 매일 품고 있는 곳이라는 새삼 공감하는 나는 고향으로 놀러가고 싶은 마음이 순간 순간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