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밥 낮은산 작은숲 1
김중미 지음, 김환영 그림 / 낮은산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책을 고르고 저는 먼저 책을 읽어 봅니다. 그래야 아이와 대화도 되고, 아이가 느끼는 점, 또 부모로서 제가 느끼는 점이 어떻게 다른지 이해할수 있어서요....

"종이밥" 책을 읽고 서른이 넘은 나이에 추책 맞게도 눈물을 보이고 말았다.   가난한 동네에서 나고 자랐다는 작가와 그림을 그린 선생님 때문일까? 이야기는 정말 생생하게 가슴을 후벼팠다.   세상에 굶어 죽는 아이들이 있다는걸 우리아이는 모를것이다.    종이밥에서 물론 송이가 굶어 죽는것은 아니지만 아이는 가난하고 고된 어린시절을 지내면서 종이를 씹어 먹는 버릇이 생겼다.  배가 고플때  종이를 씹어 먹으면 밥풀 냄새가 난다는 송이의 말에 눈시울이 붉어졌다.

" 철이가 학교에서 돌아와 열쇠를 따고 방문을 얼때까지 송이는 단칸방에서 혼자 놀았다.  철이가 방문을 열면 송이는 눈이 부셔 눈도 제대로 못 뜬채 뒤뚱뒤뚱 걸어와 철이에게 안겼다.    송이가 혼자 놀던 방바닥에는 언제나 종이 조각이 흩어져 있었다. 송이는 그 때부터 종이를 씹기 시작했다... 

심심하고 배고플때, 할머니가 보고 싶을 때 송이는 종이를 먹었다"     책 본문 중에서...

부모님이 어린시절 사고로 돌아가시고 할머니 할아버지와 사는 철이에게 남겨진 돌이지난 여동생 송이 그 아이는 이제 커서 초등학교에 입학할 나이가 되었다.  늙고 병들어 이제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할머니는 송이를 좀더 편하게 지낼수 있는 절로 보낼 결심을 한다.     아무것도 모르고 새 책가방과 새옷이 생겨 좋아하는 송이의 모습에 오빠 철이는 가슴이 아프다.  매일 귀찮게 하는 동생이지만 동생이 없는 생활을 생각하니 철이는 상상이 가질 않는다.   아픈 할아버지와 손자 , 손녀를 위해 눈물 한번 보이지 않고 억척이로 살아가는 할머니는 송이를 보내기 전날  부엌에서 혼자 눈물을 흘린다.  이 모습을 본 철이도 이불 속에서 함께 눈물을 흘리지만 차마.. 송이를 보내지 말라는 말을 하지 못한다.  

종이밥은 가난한 가정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읽으면 눈물이 나고 짠한 마음이 드는데. 우울하지 않다.  송이의 밝고 명랑한 모습때문에 코끗이 더 찡해오는것이 이상하다.

종이밥에 나오는 이야기는 전혀 허구가 아님을 느끼게 될것이다. 아직도 우리나라에도 한평도 안되는 판자촌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이웃들이 있으니 말이다.

자신이 절에 가서 살게 될 거라는걸 모른는 송이는 이른 아침 할머니의 손에 이끌려 절에 가게 된다.  할아버지도 오빠 철이도 어찌하지 못하고 송이의 뒷모습만 바라본다.   해질녁... 할머니의 뒤를 따라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송이를 보고 오빠는 너무 기뻐한다.   어린 손녀딸을 차마 절에 떼어 놓고 올수 없어 이른 새벽 도망치듯 아이를 데리고 절에서 내려왔다는 할머니의 말......

종이밥은 어렵고 가난하지만 서로 사랑하며 아끼고 살아가는 가족이야기이다.    아이가 책을 읽고 가족의 소중함 그리고 우리 주위에 힘들고 가난한 이웃들을 돌아볼줄 아는 아름다운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3-16 10:3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