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이 슬픔에게
서재경 지음 / 대한기독교서회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픔이 슬픔에게라는 제목은 저자의 통찰이 그저 가벼운 종교성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진지한 공감으로서 이어졌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슬픔이라는 감정에 대해서 우리는 너무 지나치기만 한 것 같은 오늘날 이 시집을 통해서 잠시 슬픔을 진지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된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으로 글을 써내려간다. 시집은 슬픔이 슬픔에게, 기로에서, 친구야라는 묶음으로서 이야기를 전달해 가는데, 마지막에 해당되는 3부는 호칭으로서 마치 독자를 부르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시들의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prologue에 해당하는 시 한편은 성육신한 그리스도에 대한 감탄을 자연에 빗대서 소소하게 그러면서도 땅의 작은 모습에 충만했던 그리스도를 묵상하는 소리를 전달했다. 시인은 말씀에 무슨 집이 필요하시겠습니까 마는이라는 첫째 연은 성육신에 대한 교리에 대한 시인의 솔직한 질문이었고 어린아이 같은 의문이었다.

1슬픔이 슬픔에게에서 첫 시에서 저자는 슬픔을 막거나 참지말고 그저 온전히 느끼고 흘려보내자고 애통하는 이들을 위로한다. 그러면서 슬픔은 다만 슬픔에게/기대어 쉬고/슬픔은 다시 슬픔에게/위로가 되느니라면서 슬픔을 억지로 위로하지 말 것을 말하면서 슬픔을 그저 내버려두라는 간청을 한다. 슬픔을 위로하기에 급급한 이들은 결국에는 공감하지 못하고 감정을 정리하려고만 하게 된다. 이러한 차가움, 냉소에 대해서 시인은 경계하는 것이 독자에게까지 느껴진다. 오늘날 슬픔을 그저 슬픔으로 두고 그 슬픔이 위로가 될 때까지 두라는 말은 거짓 위로를 너무 쉽게하는 교회에게 건네는 조언과도 같음은 나만 느끼는 것일까?

2부의 첫 시, “기로에서에서 저자는 성경 인물 니고데모의 질문으로 시를 시작하면서 너라는 대상에게 불편한 짐이 되고 상처를 준 자신의 타성에 대한 반성을 표현한다. 그리고 어찌해야할까?라는 고민을 솔직히 보여주는데, 이 때 다시 태어남이라는 성경의 가르침은 그저 종교적 차원이 아니라 참 인간성으로의 회복으로까지 이어지는 듯한 릐앙스를 건넨다. 그저 신과 인간 사이의 화목만이 아니라 인간과 또 다른 너라는 인간 사이의 화해에 대한 고민이 자연스럽게 전달되고 시인과 같이 독자는 어느새 니고데모의 질문까지 답하게 되는 듯인 이야기로서의 시가 느껴진다.

3부의 시, “친구야에서 시인은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라는 동양적 속담을 성경의 산이라는 모티브와 자연스럽게 연결시켰다. 그래서 성경 속에서 의인이 가야할 산을 노래하면서 같이 가자는 동행을 요청하는데, 이 시는 자연스럽게 두 문화가 함께라는 주제로 묶이는 것을 보게 만들어 주었다. 친구야, 라고 부르는 것 같은 시는 제목과 함께 내용에서 의로운 산으로의 초대를 연상키셨다.

이 시집은 목회자로서의 영성에 대한 갈망과 함께 시인이라는 인간상의 만남으로서 두 긴장을 화해로 이끌었다. 잔잔하면서도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서 시는 맺어지는 듯하다. 종교적 차원의 사랑만이 아니라 그 근원의 사랑이 흘러넘침으로까지 표현됨은 이 시집만의 풍요로움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