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티시 - 광신의 언어학
어맨다 몬텔 지음, 김다봄.이민경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이 우리를 이토록 자발적이고 열광적인 추종자/팬으로 만들까?

📍 종교, 다단계, 운동, SNS에 이르는 광신적 행동, 언어에 대한 분석


#도서협찬 #북서퍼2기 #아르테서평단 #컬티시 


“현대 담론에서 ‘컬트’라는 말은 신흥종교, 온라인 급진주의자 집단, 스타트업, 화장품 브랜드를 동시에 지칭할 수 있다.”


“음모론은 모든 일이 이유가 있어서 일어난다는 일종의 안도감을 제공하고, 그 지지자들에게 나머지 ‘쉬플’들은 보지 못하는 비밀에 접근할 수 있는 특별한 존재라는 기분이 들게 할 수 있다.”


👻

뉴스, 유튜브 등을 통해서 자주 광신적인 종교 단체나 다단계 사업의 문제를 듣게 된다.  과학의 힘으로 사람을 달에 보낸 지 55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사람들은 지구평평론, 창조과학회, 사이언스톨로지 등을 신봉한다. 처음에는 교육 수준이 낮은 이들만 빠진다고 생각했지만, 실상은 교육 수준, 소득 격차가 절대적인 차이를 가져오진 못한다. 결국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상한 컬트적 내용에 빠진다. 


이런 컬트들은 떄론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지만 기업들에 의해서 악용되기도 한다. SNS 알고리즘부터 화장품 마케팅과 같이 사람들의 마음, 습관에 대한 기업들의 전략의 ‘세뇌’라고 불릴만한 반복적이고 무비판적 태도 훈련과 크게 다르지 않다. 


『컬티시』에서는 언어학자인 저자의 연구를 따라 이런 컬트적 이야기들이 결국 언어를 통해 사기, 미혹, 범죄를 일으킨다고 주목한다. 단순히 불법적 영역만이 아닌 일상까지 들어온 광신적 행위(마케팅 같은)에 대한 안전하고 쉬운 해답은 없다. 


계속해서 비판적으로 주변을 돌아보고 무의식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것들에 대해선 나만의 언어로 확인하고 재구성하는 것, 즉 고민하면서 뭔가를 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게 당연하게 결코 쉽진 않다. 


언제부터 우리의 말이 이토록 강력했고, 언제부터 기업, 종교들은 이토록 마법적으로 되었나? 라는 생각으로 책을 덮었다. 


현대 담론에서 ‘컬트’라는 말은 신흥종교, 온라인 급진주의자 집단, 스타트업, 화장품 브랜드를 동시에 지칭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