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환대
장희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실의 시간대를 담은 개인들의 기록❞



“우리 모두에게는 자신조차 모르는 너무나 많은 면이 있고, 당신의 눈에서조차 보이지 않는, 당신이 갖고 있는 그 작은 점에 누군가는 자신의 마음을 두고, 살고 싶어진다는 것… 모두 자신에게 기대고 있는 누군가의 마음을 잊지 않기를.” 

_ “작가의 말” 중에서


-

『우리의 환대』

장희원 소설집 | 문학과지성사



한줄 끄적임 : 상실의 시간대를 담은 개인들의 기록

+앞으로 기다리고 읽게 될 작가님을 발견했다(!)


#도서협찬 #문학과지성사 


✍️

이 책을 다 읽고 나니 계속 찾고 읽게 될 작가님 한분을 또 만난 것 같아서 기뻤다. 장희원 작가는 19년에 등단했고 이번에 첫 소설집을 냈다. 첫 소설집은 작가들에겐 정체성, 방향에 대한 첫 걸음이기에 나름 중요하다고 생각해왔는데, 이번 소설집을 읽고 나서는 그 생각이 더 확실해졌다. 


책을 읽는 내내 상실을 마주하는 사람들을 발견할 수 있었고 개인의 서사에 그치지 않고 연결된 슬픔과 이별에 대한 그리움이 안개처럼 다가왔다. 아홉 편의 단편들은 성별, 나이, 배경, 상황이 다른 인물들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상실을 마주한 삶을 증언하는 듯하다. 


죽음, 자해, 실종, 간호, 추모, 회피 등 여러 모습의 상실은 각자의 상황, 성향, 선택들에 의해 여러 모습으로 변주된다. 그 모든 갈림길 가운데 등장인물들은 끊임없이 고민하고 머뭇거리다가 때론 확신있게 더 어렵고 어두운 길로 발걸음을 향한다. 


100명의 죽음이 한 사건이 아닌 100개의 개별적 사건이라는 말이 있다. 이 책에선 그런 개별적 상실의 이야기를 마음을 써서 기록해간다. 그리고 혹여나 우리가 놓고온 이들의 마음, 이야기를 향수에 잠기게 만들기도 하는 것 같다. 


오랜만에 머뭇거리며 뒤를 돌아보게 만드는 이야기들을 읽었다. 겨울에 더 상실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면서 지나가는 얼굴들을 한번 더 보게 된다. 그런 책이다.





문장들 📖

“잠시동안 그들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한참 후 아내가 깊게 한숨을 내쉬었다. 운전기사가 힐끗 뒤를 돌아봤다. 그는 아내가 본능적으로, 이제 영원히 아들을 잃었음을, 자신들이 도저히 좁히지 못할 어떤 경계선을 기어이 넘어버렸음을 깨닫는 중이라고 여겼다…그는 눈을 뜨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조금만, 조금만 더…… 그는 자신이 감히 쳐다볼 수 없을 만큼 저 빛 너머의 모습이 눈부시다는 듯 자꾸만 두 눈을 움찔움찔 떨었다(69-70).”


“유진은 그들의 대화를 듣고 이 절에 모든 게 타버렸는데도 사람들이 많이 오는 이유가 화마에 남은 작은 목재 불상이 있어서라는 것을 알았다. 어쩐지 거짓말 같았다. 모든 게 타 버렸는데도 남은 것. 그런게 정말 가능한가. 영원히 남는 것. 사라지지 않는 것이(152-153).” 




책 소개 📚

2020년 제11회 젊은작가상 수상 작가 장희원의 첫번째 소설집이다. “마음의 온기가 삭막한 이 시대의 희망처럼 읽힌다”(오정희·성석제)라는 심사평과 함께 201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장희원은 일상 속 소외된 마음과 그 이면에 남아 있는 희망을 정확한 문체와 사려 깊은 묘사로 꾸준히 그려왔다.


“모두 자신에게 기대고 있는 누군가의 마음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고 작가의 말에서 밝혔듯이 <우리의 환대>는 타인을 환대하는 용기야말로 자기 자신과 세계를 사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오랜 시간 세공하듯 다듬어진 아홉 편의 이야기를 관통하는 주제가 ‘부재’인 것 역시 지나간 시간과 흩어진 마음마저 껴안으려는 작가의 선하고 단단한 의지가 엿보인다고 볼 수 있다.


장희원의 소설에서는 스스로 세상을 등진 딸이 엄마에게로 가 마음을 어루만지기도 하고, 오래전에 사랑했던 사람과 펄펄 내리는 눈을 맞을 수도 있다. 사랑이 끝났다고 생각했을 때, 우리가 다시 한번 마음을 확인하게 되는 것처럼 소설 속 인물들은 서로의 부재를 확인하고 더 밝고 선명한 세계로 나아간다. 이미 사라진 대상과 시간을 보여줌으로써 사랑을 증명하는 게 문학이라면 신예 장희원은 이러한 작업을 그 어떤 부침 없이 감각적으로 또 믿음직하게 해낸다.


#우리의환대 #장희원소설집 #우리의환대_서평단 #문학과지성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