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이데올로기
마조리 켈리 지음, 제현주 옮김 / 북돋움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기업에 대하여 기존의 관점에 비해 급진적 혹은 선구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았다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원가회계의 공헌이익 개념과 유사한 매출액에서 재료비를 뺀 나머지를 모두 주주와 노동자가 나누는 관점을 제시한점은 신선하기도 하면서도 이미 대기업을 중심으로 생산성 향상부분에 대한 성과보상 상여금으로 지급이 되는점을 볼때 저자가 제시한 시각이 점차 제도화되는 방향으로 확산될수도 있을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는 나아가 기업의 지배구조와 관련하여 주주중심이 아닌 이해관계자중심의 관점으로 할것을 드러내고 있다. 저자가 주주의 위험부담에 따른 보상을 과소평가하지 않았나 하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기도 하지만 현재와같은 극단적 주주이익극대화를 위한 기업지배구조하에서는 오히려 저자와 같은 개입주의적 시각이 빛을 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경제민주화와 관련된 논의도 결국 견제와 균형의 민주주의 원리를 경제권력 내부에서도 구현되어야 한다는 시각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주주총회, 이사회, 감사위원회로 구성된 기업내 3권분립이라는 제도도 저자의 시각하에서는 주주만을 위한 좁은 의미의 경제민주화로 볼 수 있다. 기업의 이해관계자중 주주와 채권자를 주사용자로 보는 시각의 반영인 복식부기 시스템의 재무상태표가 그러한 관점을 재생산 한다는 저자의 분석은 매우 설득력있는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종업원의 퇴직금,연금 충당부채,종업원 주식매수권등이 각각 분리되어 대변의 항목을 구성하는것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형태로 부채와 자본과 별도항목으로 노동자 혹은 사용자의 청구권항목이 재무상태표의 항목으로 회계제도가 앞으로 변화할지 지켜보는것도 이책을 읽으면서 생각해볼수 있는 재미라 수있다. 기업지배구조와 회계학의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데 유용하지만 매우 도발적인 내용들이다. 저자의 시각이 일정부분은 사민주의적 시각이라고 볼수도 있지만 미국식 리버럴(개혁적 보수주의)에 좀더 가깝다고 보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