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부동산 시장 미래 - 부동산 패러다임 시프트
김광수경제연구소 지음 / 더팩트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최근의 경제상황을 보면 김광수 경제연구소의 일관된 비관론이 성과를 내는듯 하다. 전작부터 이어진 부동산 거품붕괴론에 동의하더라도 책 전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거품제거를 위한 현실적 대안보다는 정책당국과 경제학계 오피니언리더에대한 공격적 비판에 치중했다는 인상을 받게된다. 건설업계와 정부의 현실이 모순되었다면 그 모순된 현실을 타개할 방법과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중립적 씽크탱크를 지향하는 김광수 경제연구소의 본연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된다. 중립적 연구소를 표방하지만 실질적으론 정파적 관점에 가까운 비평이 양산되고, 이 과정에서 정책연구보다는 연구소의 입장 호응하는 지지층의 영향력 강화에 몰두하는 듯한 김광수 경제연구소의 모습은 정당부설 정책연구소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본 서적이 부동산 가격 폭등에 상처받은 사람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하고 과열된 부동산시장에 경고등 제시의 기능은 할수 있지만 지금까지의 김광수경제연구소의 연구물을 구독해온 독자들에게는 기존의 연구소 발간서적과 차별되는 새로운 내용을 제시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연구소 기존의 관점을 강화하는 데이터들이 보강되었지만 다양한 시각 제시,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제시란 측면에서는 김광수 연구소 내부적으로도 혁신이 필요해 보인다. 연구소의 지적대로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미래는 암울하다. 그렇다고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우리도 겪어야만 할까? 부동산 거품 붕괴에따른 고통이 개혁과 발전의 일부분이라도 경제 전체적으로 겪게될 고통의 강도를 줄이기위한 노력도 하지 않고 방관하는 것은 지식인의 직무유기라 할 수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