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를 통해 배우는 한국 고사성어
임종대 엮음 / 미래문화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종대. 한국 역사를 통해 배우는 한국 고사성어

 

 

   고사성어. 고등학교 때 이후로 고사성어에 대한 책을 읽거나 공부를 한 적이 없다. 일상생활에서도 참 많이 쓰이는 고사성어. 온라인 뉴스를 보다가도 고사성어를 잘못 인용하거나 잘못된 한자를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가장 많이 헷갈리는 고사성어 중 하나는 '부화뇌동'이 아닐까 싶다. 많은 사람들이 '부하뇌동'으로 잘못 표기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을 본 적이 여러번이다. 기자들 역시 실수를 자주 범하는데 이를 발견할 때마다 고사성어 공부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

 

   이 책은 중국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책이 아니라, 한국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를 담은 책이다. 그냥 의미만 달랑 설명해 놓은 책이 아니라 역사적 인물들, 배경은 어떻게 되는지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자인 임종대 씨는 고사성어와 고전에 대한 책들을 여럿 집필해오고 있다. 책날개에 있는 그의 사진이 있는데 한복을 입고 있다. 얼마나 우리 역사에 대해, 선조들의 삶에 관심이 많은지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본문을 간단히 살펴보면, 1장 유래, 2장 인물, 3장 지혜,지략, 4장 성패,정치,처세, 5장 마음,철학, 6장 사랑,충효 등 6개의 장으로 이뤄져 있다. 부록으로는 우리나라 속담을 함께 첨부해 놓았다. 마지막 페이지에는 고사성어 찾아보기, 인물 찾아보기를 넣어놓는 센스를 찾아볼 수 있다. 각 장은 주제에 맞는 고사성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잘 아는 고사성어도 있고, 생소한 고사성어도 있다. 고사성어와 관련된 하나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정말 재미있게 책장을 술술 넘겼다. 고사성어 책이라고 하면 딱딱한 이야기라고 생각될 수도 있는데 이 책은 고사성어 책보다는 재미있는 역사책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정도전과 태조의 대화를 통해 소개하는 '이전투구', 연산군의 흥청거리며 망하기를 자청했던 일화를 다루며 소개하는 '흥청망청' 조선시대 사찰 승려의 종류인 이판승과 사판승을 언급하며 풀어내는 '이판사판' 등 재미있는 고사성어 이야기들이 책 속에 산재되어 있다. 그만큼, 어느 파트를 집어 읽더라도 재미가 있다. 아는 고사성어는 좀 더 정확한 유래를 알아간다는 점에서, 생소했던 고사성어는 새로이 배운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책 같다. 책을 읽고 우리 선조들의 삶, 문화들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저자분의 다른 책들도 찾아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