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EBS <인문학 특강> 최진석 교수의 노자 강의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진석.생각하는 힘 노자인문학

 

 

   동양사상하면 공자를 가장 먼저 떠오르게 된다. 동양사상에 대해 처음 접한 것은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시간. 동양철학 파트와 서양철학 파트로 나누어서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 교과서에서는 공자에 대한 내용이 노자, 장자보다 많았다. 대학교 때에도 동양철학 수업을 듣거나 따로 공부한 적이 없어서 노자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 책을 읽게 된 이유 중 하나다.

 

   노자의 사상으로 생각하는 힘을 얻는다. 이 책은 단지 노자의 사상을 소개만 하는 책이 아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노자의 사상을 간략히 언급하고, 각 강의 마지막 페이지에 '노자가 필요한 시간'이라는 코너를 넣어 현재의 문제들을 노자의 사상으로 풀어낸다. 이 책은 현재 서강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중인 최진석 교수가 EBS <인문학 특강>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과 노자 사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던 것을 바탕을 엮은 책이다. 딱딱한 동양철학서가 아니라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노자 개론서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노자 사상의 기본은 유무상생이다. 자연의 질서를 인간의 질서를 응용하자는 것이다. 자연의 질서를 노자는 '도'라고 불렀고, 세계를 '유'의 영역과 '무'의 영역으로 나누었다. 즉, 노자 사상에서는 무와 유가 공존하는 '유무상생'이 중심이다. 최진석 교수는 책에서 유무상생이라는 단어보다는 '관계'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유무상생'을 좀 더 현대적으로 표현한 단어 중 가장 가까운 단어가 관계이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관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질문들에 답을 해 나아간다.  

 

   작년부터 급작스럽게 대한민국에서 인문학 열풍이 불고 있다. 대기업들은 서로 경쟁하듯이 인문학 지식을 공채시험에서 평가하겠다고 하고, 면접에서도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최진석 교수는 인문학을 공부하는 목적에 대해서 단순히 인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인문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한다.  노자의 무위자연에 대해서 달달 외우는 거이 아니라 당시대에 '노자는 왜 그런 생각을 했을까?'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하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앞으로 어떤 식으로 인문학에 접근해야 하는지 많이 배웠다. 최진석 교수의 EBS <인문학 특강>도 시간이 날 때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