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잘해요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오랜만에 한국 소설을 읽었다. 그것도 남성작가의 한국 소설을 읽은 것은 간만이었다. 굳이 이렇게 나누고 싶진 않은데 남성작가와 여성작가는 그 문체가 다르고 속도감이 다르다. 여성작가의 문체가 평평하게 퇴적이 많이 되어 삼각주가 생겨버리는 느린 물살의 강 하류 같다면 남성작가는 자꾸 아래로만 흘러가는 속도 빠른 상류같은 느낌이 든다. 처음 이기호 작가를 만났다. 전작의 단편에서 특유의 유쾌함이 매력이라는 이야기는 예전부터 들어왔었다. 작가가 처음으로 내는 장편에선 어떤 이야기를 했을까. 작가만의 조금 더 깊은 성찰이 있지 않을까 책 표지를 보는 순간부터 기대도 되고 설레기도 했다.

   어린시절부터 시설에서 자란 나와 시봉이 있다. 시설은 나와 시봉을 길들이기 위해 약과 폭력을 이용했다. 메스껍던 약에 중독되고 폭력에 익숙해질 때쯤 시설의 복지사들은 나와 시봉에게 죄를 묻는다. "네가 뭘 잘못했는지 알아?" 내가 대체 무슨 죄를 지은걸까, 내가 지은 죄를 이야기 하지 않으면 더욱 큰 폭력이 다가온다. 아이러니한 건 나에게 날아오는 주먹을 피하기 위해 짓지도 않은 죄를 고백하면 그 죄로 인해서 결국 주먹이 날아온다는 것이다. 결국 복지사들의 정당성을 인정하기 위한 폭력이 되기 위하여 나와 시봉은 짓지도 않은 죄를 고백하고 그 죄를 나중에 저지른다.


   나와 시봉은 쌍둥이처럼 항상 함께 다닌다. 시설을 나와서도 같이 생활한다. 밖에 나와서 사과를 대신 하는 일을 한다. 누군가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데 시봉과 나에겐 그 모든 일상조차 죄에 해당한다. 시설에서 그렇게 해왔기 때문에 남의 일상을 죄로 만들어 사과를 해야 한다. 죄가 된 일상은 결국 사람의 관계를 무너트리는 계기가 되고 망가지는 것만 남는다. 그 속에서 나와 시봉이 헤어지는 순간, 관계가 무너지는 순간 나는 성장한다. 사랑을 하고 새로운 길을 향해 걸어간다.


   작가의 단편에 대한 명성때문이었을까. 내 기대감때문이었을까. 생각만큼 [사과는 잘해요] 가 매력적으로 다가오진 못했다. 일상을 죄로 만들어버리는 나와 시봉의 세계는 흥미로웠으나 조금 가볍게 느껴졌다. 이야기를 유쾌하고 진지하게 이끌어나가려 하는 노력은 엿보였다. 결국 그 노력은 소설의 페이지를 빨리 넘길 수 있게 만드는 일만 했을 뿐 내용이 마음 깊이 다가오진 못하게 했다.작가가 단편을 잘 쓰는 작가인지 아니면 다른 식의 장편도 쓸 수 있는 작가일지 조금 더 많은 책을 지켜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