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붕가붕가레코드의 지속가능한 딴따라질
붕가붕가레코드 지음 / 푸른숲 / 2009년 10월
평점 :
언니가 좋아할 것 같은 노래예요 라고 추천받은게 아마 올 여름. 그렇게 '아마도 이자람 밴드' 와의 만남은(순전히 나 혼자서의 만남이겠지만) 부산에서 놀던(?) 동생의 추천이었지 싶다. 이자람의 목소리라면 내 남자도 바꿀 수 있다는 '아마도 이자람 밴드'부터 기상시간이 정해져 있다고 그리 외쳐주시던 '청년실업'이니, 소녀들을 춤추게 한다는 '치즈스테레오'니 보여주는 공연과 들려주는 음악을 하는 '장기하와 얼굴들' 까지. 이 밴드들의 공통점은 기분 나쁠 정도로 가슴을 후벼파게 만드는 가사들을 지니고 있다는 것일테지. 같은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젊은 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그들이 써내는 음악이나 가사는 지독하리만치 덤덤하고 슬프도록 현실적이다. 잔잔한 리듬감도 가지고 있는데 아마 이걸 어쿠스틱하다고 표현하는 것이리라. 응 그래. 나의 취향을 담은 밴드들을 얼싸안고 있는 회사. 그게 붕가붕가레코드였다.
수공업 음반을 제작하고 밴드를 기획하는 회사에서 책을 냈단다. 나름 회사에서 유명해진 한 사람. '장기하' 의 얼굴을 표지로 삼고 자그마치 지속가능한 딴따라질이라는 요상스런 제목을 달고서. 남들 보기 민망한 회사이름은 전혀 개의치 않는다. '붕가붕가' 란 단어는 애견까페나 애묘까페에 가면 흔히 쓰이는 단어다. 다른 말로 '마운팅', 개나 고양이가 봉제인형이나 사람 다리에 매달려 비비적대면서 자신의 욕구를 해결하는 행위를 일컫는 단어다. 주류 대중음악(일반적섹스)과 기존 인디음악(자위) 사이인 대중지향적 인디음악을 위한 단어가 붕가붕가라는 것인데 내 마음에 드는 음악을 만들어 남에게 들려주고 싶고 결과를 남에게 맡기는 회사를 잘 표현한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사실 어감이 좋아 회사 이름에 쓰고 싶었는데 거창한 뜻을 여기저기 갖다 끌어다 썼다는 걸 알게 되었을 땐 그럴 줄 알았다며 혼자 피식 웃고 말았지만.
흔한 자기계발서들은 주장한다. 자기가 할 수 있는 것에 자기가 하고 싶은 것에 무조건 올인하고 열심히 하다보면 성공할 것이라고 말이다. 대체 무엇을 믿고 남의 인생에 그렇게 잘난듯이 충고를 할 수 있는 건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그렇게 젊은 친구들에게 충고를 한다. 아직 젊고 가능성만 믿고 현재를 대충 살아가고 있는 나에겐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다. 어떻게 발을 들여놓아 볼까 걱정하다가 에이씨 조금 더 간보자 싶어 발을 빼고 멍하니 쳐다보고 있다. 아마 다른 친구들도 다르지 않을까. 붕가붕가 레코드 사람들은 그런 젊은 친구들과 다르지 않다. 생계 걱정않고 음악에 매달릴 깜냥은 못되고 열악한 음악시장을 의지로 돌파할 근성도 없지만 그렇다고 돈만 벌겠다고 음악을 포기할 용기도 없다. 소심하게 생업과 음악을 같이 하기 위해 찾는 '지속가능한 딴따라질' 꿈만 좇기엔 두렵고 돈은 벌어야 하는 젊은 세대들이 찾은 방법일테지.
나에겐 확고한 신념도 없고 큰 일을 치룰만한 용기도 없다. 그렇다고 끈기가 있길 하나 단지 하루하루 살아가는 게 전쟁이고 나의 삶이다. 조금 소심하게 큰일 치루지도 못하고 근근히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에 요즘은 어찌할 수 없는건가 싶어 웃음이 나기도 슬프기도 하다. 이 회사에 있는 밴드의 노랫말이 어떻게 젊은 친구들의 가슴을 울리게 되는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뿌옇게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