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리앗 - 2014 앙굴렘 국제만화제 대상후보작
톰 골드 지음, 김경주 옮김 / 이봄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 너무 익숙해서 설마 그건가? 싶겠지만 '다윗과 골리앗'의 그 '골리앗' 맞다. 다만 철저하게 골리앗 시점인. 

 '다윗과 골리앗'이야기를 할 때 우리는 흔히 '다윗'의 입장에서 그 이야기를 써먹는다. 크고 힘센 골리앗을 작지만 용맹하고 기지있는 다윗이 쓰러트림으로써 '강자vs약자'의 상황에서 약자가 이기는 경우의 대명사로 다윗을 얘기한다. 그럼 골리앗은? 덩치만 믿고 자만하는 우둔함의 대명사?


 책은 그 설정을 뒤집는다. 골리앗은 호전적인 성격이 아니라 그저 덩치만 클 뿐인 평범한 사람이다. 전사가 아닌 유능한 행정병의 역할을 하고 싶지만 주변에선 그렇게 놔두지 않는다. 그는 항변하지만 어쩌겠는가. 군대에선 하라는대로 해야지.   


 그렇게 그는 시키는대로 최전방에서 혈혈단신 적군에 겁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매일매일 무장하고 나가서 외운대로 나와 싸울 자 있으면 나와보라고 말하고는 돌아온다.


 충실히 역할을 수행하지만 본부대에서는 그의 안부를 궁금해하지도, 연락이 오지도 않는다. 그런 나날이 계속되던 어느 날 어디선가 들려오는 음성. 그리고 날라오는 돌멩이.

 이 책의 마지막은 우리가 아는대로다. 알고 있는 결말임에도 골리앗의 시점으로 보는 돌멩이 그림은 임팩트가 강하다.

 다윗의 시점으로 생각했던 이야기는 전형적인 성공담이다. 그럼 골리앗은? 힘과 덩치로 단순히 강자vs약자의 싸움에서 약자가 이기는 이야기로 생각했던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에서 골리앗이 정말 물리쳐야만 하는 강자였을까? 우리가 지금 '골리앗'으로 상정하고 이기려고 하는 상대가 실상은 이 책의 골리앗과 같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