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정상입니다
하지현 지음 / 푸른숲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내가 심리학자와 정신과의사의 책을 읽는 이유는 두 가지다. 내가 이상한건가/아닌가. 혹은 쟤가 이상한건가/아닌가. '내(쟤)가 어딘가 이상한 것 같은데 딱 꼬집어서 뭐라고는 못하겠다. 그런데 이게 일상에 크나큰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큰건 아니어서 아무렇지 않은 척 생활은 가능한데 어딘지 찝찝하다. 가까운 누군가에게 말 할 수도 없고 상담을 받자니 치료를 받을 정도는 아닌 것 같은데 그렇다고 문제가 없진 않은 것 같다. 이게 대체 뭘까?' 싶을때 그들의 책을 집어든다.


 그리고 대부분의 저자들은 용했다. 아직 한마디도 안했는데 자리에 앉자마자 "이것 때문에 왔지?" 하고 알아맞추는 용한 점쟁이처럼, 그들은 내가 전혀 생각지 않은 곳에서(고민했던 주제가 아닌 다른 주제의 책을 읽다가) 내가 아직 말로 표현하기도 애매할 정도로 막연했던 의문점을 (나도 끄집어내지 못했던 심연의 고민을) 정확하게 짚어내어 말해준다. 그것도 정확한 용어를 들어서. 그렇다는 건 내가 끌어안고 괴로워했던 고민은 앞서간 수많은 사람들의 것이기도 했다는 것이다. 나는 마음이 편해진다. '내가 이상한건가'에 대한 불안이 해소되기 때문에. 남들도 다 그렇다는 걸 확인했기 때문에.


 이 책도 그런 식이다. 현대인이 하는 고민은 사실 매한가지다. 요즘 뜨고 있는 것들로 말하자면 "혼자 있는게 편해요 (그걸 사람들이 이상하게 봐요)", "인간관계 때문에 힘들어요(사회성이 부족해서일까요)", "자존감이 바닥이에요(나빼고 다들 좋아보여요)", "앞길이 막막해요(실패한 인생같아요)"등등. 다른사람도 그렇다고 해서 내 고민이 상쇄되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내가 어딘가 문제있는 건 아닐까'에 대한 불안은 해소된다. 이것만 해소돼도 어쩔 수 없이 평생 안고 가야할 고민과 괜히 끌어안고 힘들어하기만 했던 것이 구별된다. 


 책의 장점은 무엇보다 저자가 정신과 의사라는 점이다. 사람들은 병 아닌가 걱정만 심하게 해도 병이 난다. 특히 지금은 정보가 많아 어디서 주워들은 증상만 듣고 병을 끼워 맞출 여지가 많다. 점점 더 심각한 병을 떠올리고 스스로 병을 진단해 먼저 결론짓고 의사를 찾아간다. 내가 과거에 이런경험을 했고 이러저러해서 지금 이렇게 된거 아닐까요. 


 저자는 그런 그들의 얘기를 먼저 차분히 들어주고 결론만 "너는 정상이야"라고 말해주는 것이 아닌 항목별로 조목조목 따져준다. '네가 이런 생각을 갖고 그런 감정을 느끼는 것은 상황에 따른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그것이 어떤 행동으로 이어진다면 나쁜 사인일 수 있지만 너는 다행히 이러저러했으니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니 괴로워할 필요 없는 정상인이고 그안에서도 어떤 점은 너만의 특장점이다.' 라면서 자신이 생각하지 못했던 좋은 면모를 발견해준다.(예를 들면, 자신이 똥같다고 얘기하는 분에게 그럼에도 당신에겐 이런저런 장점이 있으니 당신은 황금똥이다.라고 말한다)


 해결책은 대부분 우리가 비합리적(비정상)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사실은 학문적으로 연구된 굉장히 합리적인(정상적인) 마음의 작동방식인 것이고 따라서 그런 생각과 마음을 갖는 너는 정상이다. 그러니 네가 생각하고 있는 고민을 조금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라는 것이다. 어떤 부분에서는 기대를 완전히 져버려야 하고(예를 들면, 타인과 내 생각이 같을 것이라는 것) 어떤 건 살면서 계속 할 수 밖에 없는 고민(예를 들면, 인간관계)이다. 중요한 건 너무 그것들에 매몰되지 않는 것. 그리고 앞으로 편하게 안고 갈 수 있는 나만의 타협점을 찾는 것이다.


 굉장히 쉽게 얘기해준다. 이런저런 전문용어 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어체의 심리상담이다보니 쉽게쉽게 간 듯 한데 이런 면이 읽으면서 강신주의『다상담』을 떠올리게 했다. 돌직구라기보다는 타이르는 듯 친절히 얘기해주지만 그렇다고 에둘러 얘기하지도 않는다. 분명히 알려준다.


 스무개도 안되는 상담사례지만 이 중에 하나라도 해당 되지 않는 사람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 또한 그랬고. 요즘 젊은이들의 고민은 비슷비슷하니까. (20-30대가 읽으면 딱인데 대학생보다는 대학생 이후의 미혼자들이 보면 적합한 사례들이다.) 나도 했던(하고 있는) 고민들이 있어서 뭔가 물어보고 털어놓고 싶었던 답답한 마음이 읽으면서 많이 해소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