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또 덧글답니다 ^^; 확인차....(확인을 하게 될런지, 전혀 새로운 답변을 듣게 될런지 모르지만)
제가 몇개의 문장을 적고, 그것이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나온 것인지 인식론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인지 적어볼께요.
디오스 광고를 보고
내러티브-디오스의 광고에는 붉은색 냉장고, 딸기 여배우의 붉은 색 립스틱이 등장하며, 여배우는 냉장고 옆에서 무척 행복해 보인다.
인과론적-디오스의 잡지광고의 카피에는 여성을 남성으로부터 '좋아함'을 받아야하는, 그래야 '행복해 진다'라는 남성적인 이데올로기가 강조되어 있다.
위의 예에서는 내러티브의 관점과 인식론적 관점을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었는데요....
영화 '엘리펀트'를 보고
1. 내러티브-무차별 살상을 하기 전 두 소년은 샤워중 키스를 한다.
2. 내러티브-게이인 두 소년은 살상의 막이 오르기 전 키스를 한다.
3. 인과론적-두 소년이 살상전 키스를 했기 때문에 그들은 게이이다.
4. 인과론적-무차별 살상전 두 소년의 키스를 동성애적 코드로 읽기에는 무리가 있다.
모든 서술을 인과론적 관점, 혹은 내러티브의 관점으로 생각해 본다는 것에 무리가 있는 것인지, 아닌지 한번 생각해 봅니다. 지금도 생각중...
제가 보기에는 2번 문장과 3번 문장은 바라보는 관점만 다르지(이 점이 무지 중요하지만), 내용은 같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내러티브와 인과론은 바라보는 관점의 문제일 뿐, 비슷한을 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머릿속에 또 제 꼬리를 문 한 마리의 도마뱀이 출연했습니다. 내러티브는 인과론을 담고 있고, 인과론은 내러티브를 담고 있고... 아니야.... 1,2번이 내러티브가 아닌가? 방식을 말하고 있다기에는 무린가? 아~~ 모르겠다. 머리 안돌아가는 아침에 수업준비 안하고 뭐하고 있지? 그래도 답글 부탁드립니다.^^; -내 질문-
아~~ 제가 오해한 부분이 있는 것도 같고.... 내러티브는 하나의 이야기(전개방식)이라고 했는데, 저는 그 내러티브를 이루는 구성요소(맞는 표현인지 모르겠지만)중 하나를 문장으로 하나 '띡' 써놓고는 그것을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보았느냐 보지 않았느냐를 거론한 것 같아요.(특히 영화 '엘리펀트'를 예로 들었을 때)
내러티브와 내러티브 차원의 해석은 다른 것이겠지요. 그 전개방식에 흥미를 가지고 영화를 바라보는 것....
예를 하나 든다면...(와~~ 오늘 참 예도 많이 든다^^)
영화 '엘리펀트'를 보고.
미국을 대단히 놀랍게 할 살상극이다. 하지만 그 살상은 예고도, 심지어 작은 기척도 없이 일어난다. 외모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학생. 다이어트를 하는 치어리더들. 왕따를 당하는 학생. 학교의 풍경을 사진으로 남기는 학생. 씨알도 안먹히는 고리타분한 말솜씨와 권위주의적인 교장. 모두 우리에게는 익숙한 풍경이다. 날씨는 또 얼마나 화창한가. 따스한 봄날씨이다. 그곳에 형제는 총을 매고 들어가는 것이다. 관객들은 평범함이 총부리 아래에서 무참히 쓰러져 가고 있는 것에 대하여 가슴을 움켜쥐고 있는데 영화속 당사자들은 태연하게 총알을 대상이 보이는 대로 날려댄다. 마치 그것이 일상인 것처럼...... 평범인 것처럼...... -어리버리 또 내 글-
디오스의 예; 연출자는 소비 욕구를 자아내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전제).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종의 전략(행복해 하는 여자의 이미지를 연출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나름대로의 전개 방식(내러티브; 붉은색 냉장고, 딸기 여배우의 붉은 색 립스틱)을 설정한다
엘리펀트의 예; 3과 4는 인식론적 관점에 해당하는 예가 맞음. 1과 2는 그 자체로 인식론도 내러티브도 아니다. 영화 감독이 1이나 2와 같은 장면을 구성한 것은 나름대로의 의도가 전제되어 있는데, 그러한 의도와 관련해서 1과 2를 설정한 것을 해석하는 것이 내러티브다. 예를 들면, 감독이 '무차별 살상에 임하는 사람의 심리를 암시하기 위해 장면 1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장면 1은 살상자의 심리를 드러내는 내러티브가 된다.
정리하면, 사람들의 매트릭스에 대한 관심은 인식론적 관심과 내러티브적 관심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가상과 실재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이고, 후자는 가상과 실재와는 무관하게 가상과 실재의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보여주는가?(이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사람들에게 보여 준다는 것은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인식틀이 무엇이고, 가상과 실제의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으며, 어떤 구성과 어떤 설정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해석되어지는지 등에 대한 감독의 선입견이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 관심을 갖는 것으로 구분된다. -교수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