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조 사코 지음, 함규진 옮김 / 글논그림밭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팔레스타인>은 만화책입니다. 몇년 전에는 아우슈비츠의 유태인들을 그린 아트 슈피겔만의 <쥐>가 제 마음을 잡아매었다면 이번엔 이 <팔레스타인>이 그렇군요. 하지만 만화로도 어떠한 다큐멘터리나 뉴스 못지 않게 그 생생한 현장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가 조 사코가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방문하여 겪는 이야기를 읽는 동안 우리 또한 그 현장에 와 있는 듯 하지요. 우리가 가끔가다 뉴스 시간에 듣는 그러한 먼나라 얘기가 여기서는 내 옆집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들리니까요.

처음에는 그들의 이야기가 경이롭다가 나중엔 지겹다고 솔직하게 고백한 조 사코의 얘기에 동조할 만큼, 그가 만나는 모든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자신이나 가족 중 한 사람이 죽었거나, 다쳤거나, 끌려갔거나, 집이 부서졌거나, 감옥에 갔거나, 고문을 당했거나... 합니다. (책에서는 '양동이에 담긴 눈물' 이라고 표현합니다. 어떤 난민의 엄청난 불행도 수많은 사람들의 눈물이 담긴 양동이에 고작 한방울 더하는 정도에 불과하다는 뜻이지요. 책을 읽는 동안 이 양동이에 제 눈물도 한방울 더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얘기에 자꾸 빠져드는 것이 우리의 식민지 시절과 오버랩되기 때문입니다. 얘기 속에 등장하는 감옥 얘기나, 고문 얘기나, 불공평한 통치 방식 모두 우리에게는 익숙(?)하지요. 우리는 식민치하에서 어떠한 나라도 (선의를 가지고) 우리를 도와주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도 그렇겠지요. 그럼 앞으로도 그들에게 이렇게 끔찍한 삶이 계속될 수 밖에 없을까요 ?

얘기만 들어도 암담하고 우울할 것 같다구요 ? 그러나 우리처럼 결국은 관망자일 수 밖에 없는 작가의 눈을 통해 그려진 이 세상을 결코 외면하고 지나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만화란 매체가 그렇듯이 재미있고 즐거운 요소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만화책 한권으로 이렇게 수준 높은 척 할 수 있는 주제에 쉽게 접근한다는 것도 매력적이지요;; (작가의 냉소를 닮아가는군요!)

결국 여기 나오는 삶의 문제들은 결코 먼 나라 얘기가 아니라 인간, 우리 인간과 삶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라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생각하고 또 생각하게 만듭니다. 전 이 세상만사 모든 문제를 개인적인 성찰에 도움이 되는 소재(?)로만 파악하는 끔찍한 이기주의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일까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